돌림힘의평형문제 도와주세요ㅠㅠ

돌림힘의평형문제 도와주세요ㅠㅠ

작성일 2017.08.14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하ㅠㅠㅠ 제가 물리를 독학하는데
인강쌤은 아무런 논리적이유도없이 그냥 A의 오른쪽끝을 기준으로 돌림힘의평형이 되어야한다고 설명하시는데
물리를처음접하는저에겐 정말 당연하지가않네요..
뭐 외울수도없고...참

이런문제는 어떤 논리적접근을 해야하는건가요?

도움되는말이면 뭐든지 열심히듣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막대 B와 C의 전체 질량중심이 A의 오른쪽 끝에 있을 때 평형이 유지되는 최대 한계가 됩니다. 위 그림에서 A점의 오른쪽 끝의 좌표를 0이라고 하면, B의 질량중심은 원점(0)으로부터 -d/2인 지점에 있고, 따라서 C의 질량중심은 대칭적으로 원점으로부터 +2/d인 지점에 있어야 합니다. B와 C의 질량중심의 차이는 d가 되므로 답은 3번이 되겠습니다. 이 문제는 B와 C의 질량이 서로 같으므로 쉽게 해결될 수 있지만, 만일 질량이 다르다면 x의 최댓값도 달라지게 됩니다. 단, A의 질량은 변화하더라도 문제의 답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문제를 잘 읽어보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x의 최댓값을 구하라고 했습니다.


x의 최댓값을 구하라는게 뭔 말인지를 생각해봅시다.
머릿속으로 생각해보면, x가 최대한 간다면

c의 중간부분(무게중심 부분)은 B의 오른쪽 끝을 넘어갈 수가 없거나(왜냐하면 기울어지니까)
아니면 C가 오른쪽으로 가다보면
A의 오른쪽 끝 부분에서 B와 C가 함께 기울어질 수도 있고

이런 걸 고려해서 x가 최대 몇일때까지 C가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느냐를 묻는것입니다.
이런걸 분석하기위해 어디에서 기울어지는지를 기준으로 잡는것입니다.

쓰고 보니 제가 블로그에 작성해놓은 문제와 비슷한 문제네요.



참고해보세요.
http://blog.naver.com/seolgoons/221020487387
좀 어려운 문제입니다만, 접근 방법만 참고해보시면 될듯합니다.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처음엔 못 풀었는데, 다시 풀어보니 감이 잡히더라고요.

... 교육과정에 따른 풀이는 아니지만, '질량 중심'으로 푸는것이 수월합니다.


학교 갔다가 버스타고 집에 오는 길에... 풀었네요.

어쨌든... 제 풀이를 소개해드립니다.



질량 중심이란, 어떤 물체가 있을 때. 그 물체가 부피를 가지고 있을때. 또는 길이를 가지고 있을 때.

그 물체는 여러 입자들이 모여서 형성된것이잖아요?

그렇다면, 그 입자들의 질량이 어떻게 분포해있는지를 계산해서, 물체 하나의 질량이 어느 한 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지점이 바로 질량 중심입니다.

진짜 설명을 개떡같이 했는데....


그냥 무게 중심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물체의 어느 지점에 손가락을 올려야 똑바로 균형을 유지하는가 이것이지요.


다음은 질량 중심을 구하는 과정입니다.





다음과 같이 풀어보세요.






이제 모의고사 문제로 가 봅시다.



 

 


어이쿠... 어려워 보이죠.


이런 막대, 균형 문제는 돌림힘으로 푸는 것이 교육과정이지만

질량 중심은 너무나도 좋은 스킬이기때문에 추천드리고싶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선, 간단한 상식을 알고 있으면 됩니다.


1* 막대 D가 오른쪽으로 최대한 이동한다.... 단 균형이 깨지기 전까지!

만약 균형이 깨질락 말락 할때까지 간다면? 그 지점은 어디일까?

D의 무게 중심이 C의 오른쪽 끝까지 갔다면 휘청거릴것이다. 그곳이 바로 x의 최대값이다.


2* 아니면 이렇게 생각하면 어떨까? 막대 D가 오른쪽으로 최대한 이동한다... 단 균형이 깨지기 전까지!

만약 균형이 깨질락 말락 할때까지 간다면?... 위와 똑같이 생각해보면?

D의 무게 중심이 오른쪽으로 가고 있는데. C와 D를 합쳐서 생각했을 때

그 합친것의 무게중심이 B의 오른쪽 끝까지 갔다면 휘청거릴것이다. 그곳이 바로 x의 최대값이다.


위 둘 중 어떤 상황을 생각해야 할지는....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3* 이제 x의 최솟값을 찾아보자...

D가 왼쪽으로 간다.... 어떻게 될까...

똑같이 생각해보면,

D, C, B를 합친 것의 무게중심이 A의 맨 왼쪽 끝에 가있을때가 바로 휘청거릴 때이고.

그 때가 바로 x의 최솟값일것이다.



다시 말씀드리면,

질량 중심은 원점(기준점)을 정하는것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도 역시 기준점을 어디로 잡느냐에 따라 식이 달라집니다.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도록 기준점을 잡을 수도 있고요.

저는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 기준점을 그냥 문제에 주어진 대로 사용했습니다.



이제 식을 세워봅시다.



 

 


 


힘듭니다.


재미있는 게, 위에서 설명했던

1*과 2*에서의 상황인데요.


1* 막대 D가 오른쪽으로 최대한 이동한다.... 단 균형이 깨지기 전까지!

만약 균형이 깨질락 말락 할때까지 간다면? 그 지점은 어디일까?

D의 무게 중심이 C의 오른쪽 끝까지 갔다면 휘청거릴것이다. 그곳이 바로 x의 최대값이다.


2* 아니면 이렇게 생각하면 어떨까? 막대 D가 오른쪽으로 최대한 이동한다... 단 균형이 깨지기 전까지!

만약 균형이 깨질락 말락 할때까지 간다면?... 위와 똑같이 생각해보면?

D의 무게 중심이 오른쪽으로 가고 있는데. C와 D를 합쳐서 생각했을 때

그 합친것의 무게중심이 B의 오른쪽 끝까지 갔다면 휘청거릴것이다. 그곳이 바로 x의 최대값이다.

 문제를 푸는 데에는 결과적으로 2*이 사용되었습니다.


문제에서 결과적으로 나온 xmax = 6L인데.

1*의 상황으로 풀게 되면 xmax = 7L이 나옵니다.

본질적으로 막대 D의 무게중심이 C의 오른쪽 끝까지 갈 수가 없었다는 것이지요.


제 수준에서 1*과 2*중에 어떤것을 바로 선택해야하는지

그 방법을 알려드리기는 힘드네요...


만약 실제 시험 상황이었다면, 1*을 선택하고 틀린 걸 깨달은 상황이라면 시간이 많이 허비된 상황이겠죠.

저도 처음에 1*로 풀고 나서 다시 생각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A막대의 오른쪽 끝점에 대한 B막대와 C막대의 무게의 평형에 관한 문제입니다.

왼쪽 부분의 무게에 의한 토크:


오른쪽 부분의 무게에 의한 토크:

여기서 mg는 막대의 무게이고, 상기 두개의 토크가 같으면 평형을 이룬다.

정리하면,

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물리는 기초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돌림힘이 평형이 된다는 의미는 회전운동처럼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알짜힘이 0일 때 물체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마지막 조건이기도 합니다.


그러면 돌림힘의 기준이 왜 이곳인가라는 의문이 있지요 !

기준은 아무데나 해도 됩니다. 그래서 인강샘이 설명을 하지 않았겠지요 !

그럴 이해하는 것은 개념의 문제이며, 미주알고주알 설명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나머지 계산은 산수에 불과하므로 기본개념을 정확히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그러고 나서 기준점을 아무데나 두고서 계산해보시면 온전한 이해가 될거예요..



물리1 돌림힘의 평형

... 도와주세요! 목운동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막대가 수평을 유지하려면 ↑ 방향과 ↓ 방향의 힘이 평형을 이루어야 하고, 돌림힘평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문제에서...

돌림힘 물2

... 알려주세요ㅠㅠ 돌림힘 문제는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 힘을 표현하고, 힘의 평형, 돌림힘 평형 두 개의 식을 사용해서 풀면 됩니다. 그리고 축을 어디로 잡으면 편할 지...

돌림힘의 평형문제

... 않고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수식으로 납득시켜주세요 ㅠㅠ 물체 밑면의 끝부분을 회전축으로 잡고 무게중심에 의한 돌림힘을 구해보세요. 물체가...

정적평형 문제 하나만 도와주세요 ㅠㅠ

... ※ 정적평형이라 알짜 돌림힘이 0인데, 이 문제에서 기준 축을 어디로 잡으면 편리한지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르레의 질량을 무시하고 풀겠습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