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역학]비틀림에너지 질문입니다.

[재료역학]비틀림에너지 질문입니다.

작성일 2015.02.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위 사진에서와 같은 구조물에서, 뚫린 구멍이 beta만큼 차이가 나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한 부재를 beta만큼 돌려서 핀을 끼운 뒤, 평형상태가 되도록 했을 때, 최종적인 변형에너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두 부재의 전단탄성계수 G는 동일하고, 2차모멘트와 길이값만 다르네요.

제가 궁금한 점은 이것입니다. 튜브를 beta만큼 회전시켜서 핀을 끼우던, 봉을 beta만큼 회전시켜서 핀을 끼우던 간에, 핀을 끼운 후, 평형상태가 된 지점의 변형에너지와, 핀을 끼우기 전, beta만큼 회전된 단일 부재의 변형에너지와 그 값이 같아야 하는데, 왜 다른 것인지가 궁금합니다.

상식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지 않으니, 핀을 끼우고, 평형상태가 되던, 말던 토크를 가해 beta만큼 회전시켰을 때의 변형에너지는 어디로 가지 않잖아요??? 근데 왜 다를까요... 
(수식을 모두 쓰지 않고, 왜 다른지만 말씀드리면, 평형상태에서의 변형에너지는 튜브와 봉의 단면2차모멘트가 모두 들어가 있는 상태의 수식이 됩니다. 하지만, 평형상태 이전, 즉 beta만큼 회전시킨 튜브(또는 봉)의 경우 한 부재의 단면2차모멘트만이 변형에너지 산식에 들어가게 되죠. 두 값이 다를 수 밖에 없게되겠죠...)

도와주세요, 고수님들 .,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두 부재 중의 하나를 비틀고 체결한 후 놓으면 에너지손실이 없다 ?

--> 탄성에너지의 크기는 달라집니다.

 

다음의 내용에 대해서 생각해보세요.

 

1. 어느 부재를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서로 체결할 수 있고 놓으면 그 상태는 동일합니다.

    그런데, Tube A를 각도 beta 만큼 회전한 상태와  Bar B를 각도 beta 만큼 회전한 상태가

    같은 탄성에너지를 가지고 있을까요?

   

2. Tube A와 bar B는 2차모멘트 값이 다릅니다.

    비틀림강성은 전단강성과 2차모멘트의 곱으로 나타납니다.

    만일 tube의 두께가 아주 얇다면, 그래서 2차모멘트가 거의 0이라면

    Bar B를 회전했다가 A와 체결하고 놓는 상황은

    Bar B만 돌렸다가 체결하지 않고 그냥 놓는 경우와 같게 됩니다.

    그래도 탄성에너지는 그대로일까요?

 

물체에 변형을 가했다가 놓으면 그 탄성에너지는 급속히 운동에너지로 전환됩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죠.

생각을 많이 하신 것 같은데 이 정도 힌트면 문제의 단서를 충분히 찾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

[재료역학]비틀림에너지 질문입니다.

... 변형에너지를 묻는 질문입니다 두 부재의 전단탄성계수 G는 동일하고, 2차모멘트와... 비틀림강성은 전단강성과 2차모멘트의 곱으로 나타납니다. 만일 tube의 두께가 아주...

재료역학 질문

... 맞다면 회전각이나 탄성에너지를 구할때도 T앞에 인장 압축에 따라서 +,-를 붙여야 하나요 최대전단응력 구할때의 T는 축력(인장력이나 압축력)이 아니라 비틀림모멘트...

1번문제 질문입니다!! (재료역학)

... 저렇게 주어져 있을때 부재에 저장된 변형에너지는 U=T•θ /2 (= 비틀림토크 • 비틀림각 /2 )입니다. 그러므로 U= 500 x 0.007 /2 =1.75 N•m 가 됩니다....

물리...기본 질문입니다.

... 그렇다면 비틀림은 어느 범주에 속하는 것 인가요?... 아아....재료역학 하는데 모멘트 개념 잡으려다가 여기까지... 어떤 에너지 형태의 저장이 이루어지거나, 소성변형과...

구조역학 관련 기초 과목 질문입니다,

... 재료역학은 전체 범위가 다 기본지식이 됩니다. 응력/변형률/단면2차모멘트/축력/휨/전단/비틀림/모어써클... 방법과 에너지법으로 나뉩니다. 위 목차에서는 1~3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