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에서 상대성이론 모순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인터스텔라에서 상대성이론 모순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작성일 2014.11.11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하는 상대성 이론에 대해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상대성 이론의 기본적인 전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

특수상대성이론은 빛의 매질(媒質)로서 에테르의 존재를 부정하고 광속도가 모든 관측자에 대하여 같은 값을 가지며, 빛보다 빨리 운동하는 입자는 없고, 또 자연법칙은 서로 같은 양식으로 운동하는 관측자에 대하여 같은 형식을 보존한다는 원리를 기초로 해서 세운 이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대성이론 [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우주 어디에도 관찰자에 전혀 상관없는 절대공간과 절대시간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으며, 시간과 공간은 각각 관찰자에 따라 정의될 뿐이라는 것이다. 각 관찰자의 시공간의 관계는 로렌츠 변환으로 설명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대성이론 [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

재가 궁금한 점은 인터스텔라에서 주인공이 우주선을 타고 블랙홀 근처에 내려가는데 그곳에서의 1시간이

현재 지역에서의 7년과 같다라고 합니다.

 

이 내용인즉 상대성 이론에 의하여 블랙홀 주변의 중력이 강하여 빛의 속도를 늦춰서 상대적인 시간차이가 난다는 것인데 그것은 주인공이 블랙홀 주변의 행성으로 내려가있고, 그를 관찰하며 기다리는 우주선에서 해당 행성의 주인공을 관측했을때에 대한 상대적 공간과 상대적인 빛의 속도로 인한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까진 영화 내용이 맞다라고 생각하는데 하지만 주인공이 다시 행성에서 우주선으로 도착했을때에는

상대적인 지역이 다시 한지역으로 됨으로써 빛의 속도차가 없기 때문에 우주선에서 대기하던 사람과의 23년 차이는 없어진다는게 맞는거 같은데 영화에서는 그 상대적 공간이 없어진 다음에도 23년의 세월차가 유지되는것이 맞는것인지 궁금하네요.(물론 빛보다 빠른 입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현실적으로 증명될수 없고 저런 특수한 상황에대한 이해가 필요.)

 

그리고 가장 모순된건 상대성이론이 성립되려면 위의 전제중하나인 빛보다 빠른 입자는 없다가 되어야하는데 블록홀이란 특수한 상황에서 빛이 블랙홀에 의해 느려지고 주인공의 우주선은 블랙홀에 영향을 안받아서??? 빛보다 빨리 다시 원래 우주선으로 되돌아오는 모순된 점이 생기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해서 재가 잘못알고 있는 점을 설명해주시거나 논의하실분 계신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천동설이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에 의해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전에 등장했던 일종의 오개념이었던 것처럼...

뉴튼 역학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1929년 에드윈 허블에 의해 우주(시공간)가 팽창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 전에 등장했던 일종의 오개념들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팽창하는 우주를 설명하지 못합니다.



상대성이론에서 흔히들 착각하는 것이 실체(實體)의 시간이 팽창되는(느려지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입니다.

시간팽창(=길이수축)이 일어난다는 것은, 상대방의 과거를 본다는 것입니다. 즉, 실체가 아닌 실체의 과거 이미지/홀로그램/허상을 본다는 것이지요.

가령, 철수가 광속 가까이 운동하는 동안에 실체의 철수는 이미 늙어 죽었는데, 영희는 철수의 젊은 모습(과거 모습)을 본다는 겁니다. 철수나 영희나 관찰하는 것은 상대방의 과거 이미지(허상)일 뿐이라는 겁니다.

철수가 여행을 끝내고 돌아왔을 때, 영희가 더 늙어 있거나 하는 일은 없습니다.


멀리있는 것이 작게 보이는 이유는 길이수축(=시간팽창)되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는 태양은 8분19초 전 과거의 태양입니다.

지금 현재 태양이 갑자기 사라진다고 가정해 봅시다.

갑자기 사라진 태양으로 인한 중력파가 지구에 도달하는 8분 19초 동안...
지구는, 아무것도 없는, 태양이 사라진 빈 공간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며...
지구에 사는 우리는 일광욕을 하며, 태양광 발전을 하며...
식물들은 광합성을 합니다.

즉, 태양이라는 실체가 사라져도, 가짜 태양(태양의 허상)만으로도 8분 19초 동안, 태양과 지구 사이의 모든 물리법칙이 완벽하게 작동한다는 겁니다.

이걸 확장하면, 실체의 우주는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어도, 허상만으로도 모든 물리법칙이 완벽하게 작용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에게 관측되는 우주는... 모든 물질과 공간은 홀로그램(허상)이라는 것이지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미시세계(양자세계)를 설명할 수 없는 이유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는 시간과 공간의 대칭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우주의 과거에 살고 있습니다.



빛은 운동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재가 궁금한 점은 인터스텔라에서 주인공이 우주선을 타고 블랙홀 근처에 내려가는데 그곳에서의 1시간이

현재 지역에서의 7년과 같다라고 합니다.


이 내용인즉 상대성 이론에 의하여 블랙홀 주변의 중력이 강하여 빛의 속도를 늦춰서 상대적인 시간차이가 난다는 것인데 그것은 주인공이 블랙홀 주변의 행성으로 내려가있고, 그를 관찰하며 기다리는 우주선에서 해당 행성의 주인공을 관측했을때에 대한 상대적 공간과 상대적인 빛의 속도로 인한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블랙홀 주변의 중력에 의해 빛의 속도가 늦춰진다는건 틀린말입니다.

빛의 속도에 다다를 수록 움직이는 물체의 시간은 느리게 갑니다. (우리 몸의 피의 움직임도 느려짐)


 

여기까진 영화 내용이 맞다라고 생각하는데 하지만 주인공이 다시 행성에서 우주선으로 도착했을때에는

상대적인 지역이 다시 한지역으로 됨으로써 빛의 속도차가 없기 때문에 우주선에서 대기하던 사람과의 23년 차이는 없어진다는게 맞는거 같은데 영화에서는 그 상대적 공간이 없어진 다음에도 23년의 세월차가 유지되는것이 맞는것인지 궁금하네요.(물론 빛보다 빠른 입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현실적으로 증명될수 없고 저런 특수한 상황에대한 이해가 필요.)


유명한 쌍둥이역설이죠. 쌍둥이가 한명은 지구에서 생활 하고 있고

다른 쌍둥이는 우주선을 타고 거의 빛의 속도로 우주를 여행하고 지구로 돌아왔을때

우주 여행을 한 쌍둥이는 지구에 남아 있던 쌍둥이보다 더 젋어져 있죠

왜냐하면 빠르게 움직이면서 생체시간등 모든 시간이 느리게 갔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가장 모순된건 상대성이론이 성립되려면 위의 전제중하나인 빛보다 빠른 입자는 없다가 되어야하는데 블록홀이란 특수한 상황에서 빛이 블랙홀에 의해 느려지고 주인공의 우주선은 블랙홀에 영향을 안받아서??? 빛보다 빨리 다시 원래 우주선으로 되돌아오는 모순된 점이 생기는 것 같은데 이에 대해서 재가 잘못알고 있는 점을 설명해주시거나 논의하실분 계신가요...



사실 빛의 속도가 블랙홀의 영향을 받는걸 이해하기 위해선 일반 상대론을 이해 해야합니다.

블랙홀은 아주 큰 질량을 가진 물체가 아주 작은 밀도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 물체때문에 생긴 주변의 중력장

은 아주 큰 곡률로 휘어지게 됩니다.

(검은색 큰 고무판에 탁구공을 올렸을때와 골프공을 올렸을때 고무판이 각 공의 주변에서 휘는 정도를

상상 해보세요)

그렇기 때문에 빛이 이 큰 곡률을 빠져나올 에너지를 가지지 못하기때문에 블랙홀의 어느 임계영역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습니다.

그리고 블랙홀에는 이벤트 호라이즌이라는 임계영역이 존재 합니다. 이 부분이 딱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지 않고 빛이 존재 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자님 질문자체가 이해가 안되는데
1. 지구/우주선에 기다리는사람/행성착륙팀
각각 세부류의 공간에서는 각자 시간이 다르게 흘러요. 중력이 크면 클수록 그 중력의 영향을 받는 공간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간다고 합니다 따라서 세 부류의 사람이 있는 공간에서는 시간이 각각다르게 흐르게 됩니다. 각각 다르게 흘렀다가 우주선으로 돌아온순간 같은 중력을 같은공간안에서 받게되므로 서로 같은시간이 흐르게되겠죠.

2.블랙홀속에 들어가서 우주선이 나온것도 아닐뿐더러 영화에서보면 그 행성은 블랙홀의 영향으로 점점 블랙홀과 가까워져 간다는.. 영향을 받아서 점점 중력이 세지고 그행성에서는 시간이 느리게 간다뿐이고.. ㅇㅋ? 걍단지 근처 블랙홀에 영향을받는 큰 중력이 있는행성에 갔다가 돌아온것뿐임

상대성이론 모순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하는 상대성 이론에 대해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상대성 이론의 기본적인... 가장 모순된건 상대성이론이 성립되려면 위의 전제중하나인...

상대성이론 인터스텔라질문

상대성이론에서 시간지연현상이 일어나는데 상대적으로... 이건 모순아닌가요? 이해가잘안가네요 내공걸게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정확하고 명확한 답변이 없어서 답변을...

상대성 이론

인터스텔라를 보며 상대성 이론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상대성 이론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그런 생각의 모순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어떤물체가 빛의속도까지 가속당하는(?)...

... 이게 맞는지요.....오류가있다면 설명해주세요ㅠㅠ부탁드립니다~ (혹시 저 말이 맞는거라면... 빛의 속도를... 이것이 상대성이론의 기본이 되죠..그리고 빛의 속도에 가까이...

4차원, 시간은 입자인가요?

... 좋은답변 부탁드립니다. 음.. 저도 완전히... 특수상대성이론도 이것에서부터 출발하는것이죠.... 이러한 질문모순을 내포하고있습니다. 앞에서 절대속도를...

상대적 빛의 속도에 대하여

... 맞는지 의심이 됩니다. 항상 궁금해 하던 것을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지식인분들께서 평범한 시민의 궁금증 해결을 도와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마도 여기에 상대성이론을...

우주팽창....

... 질문의 의도는 \'끝이 없는데 팽창한다는건 모순이다\'..... 지적 감사드립니다... 양자역학과 완벽히 상충되는 상대성 이론을 합치기 위해서 나온 이론인데. 여기서 더 나온...

진화론

... 아래 책의 내용을 잠시 인용하여 드립니다. "...... 것이 맞는지 어떻게 판단할수 있는가? 1. 이집트 - 신은... 현재 과학에는 상대성이론, 원자론 등 무수한 이론이...

우주에 관한 건대여,,

... 질문의 의도는 \'끝이 없는데 팽창한다는건 모순이다\'..... 지적 감사드립니다... 양자역학과 완벽히 상충되는 상대성 이론을 합치기 위해서 나온 이론인데. 여기서 더 나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