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공식에서요.

오일러 공식에서요.

작성일 2009.11.2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학생인데여

 

오일러 공식에서 e^i(파이)+1=0이잖아요..

 

근데 이 식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e^i(파이)=cos(파이)+isin(파이)를 집어넣는데요.

 

여기서 우변의 파이는 180의 의미가 되어 -1이 되고

 

좌변의 i를 계수로 갖는 파이는 원주율이 된다고 하는데

 

좌변의 파이도 180이 되야 되지 않나요?

 

cos(원주율 파이)는 0.998정도로 나오던데용

 

궁금해요 내공 100검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중학생이신데 오일러공식 공부하시는거 정말 대단하시네요

 

질문자님이 궁금증을 가지신 것은

 

아마 '호도법'에 대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호도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는 초등학교때와 중학교때 각도를 표시할 때

 

오른쪽 위에 조그마한 동그라미로 '도'를 표시했습니다.

 

예를 들어 45도, 75도, 180도 , 등등 이렇게 표시했지요.

 

 

하지만 고등학교 이후부터는

 

이런 '도'의 개념보다는

 

'라디안'이라는 개념을 더 자주 쓰게 됩니다.

 

 

 

반지름이 r이고, 호의 길이가 r인 부채꼴이 있다고 합시다.

 

이 때의 부채꼴의 사잇각의 크기를 1radian 이라고 정의합니다.

 

호도법은 물론 '라디안'을 단위로 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뜻하는 단어이구요.

 

 

반지름의 길이 r 인 원에서는,, 반원 둘레가 파이r 인 것 아시죠?

 

그런데 이것은 반지름의 (파이) 배 이므로, 180도 = (파이)radian 입니다.

 

그런데 radian 을 거의 생략해서 쓰므로

 

파이=180도를 의미합니다.

 

 

 

 

원의 넓이 구할때 쓰는 ㅠr제곱이나, 원의 둘레 구할 때 쓰는 2ㅠr

 

에서의 파이도 모두 라디안으로 표시된 파이 입니다.

 

 

 

그리고 삼각함수에 대해서 배우셨나요?

 

중학교 과정에서는 보통 90도까지의 삼각비(사인, 코사인, 탄젠트)

 

를 다루지만

 

고등학교 과정부터는 360도 까지의 삼각비도 배우게 됩니다.

 

 

cos(파이) 의 값은 실제로 -1 입니다.

 

좌변의 파이도 물론 180도를 의미하는 것이구요.

 

---------------------------

중학교 3학년 때에 학교에서 배우지만

고등학교 1학년 과정에서도 삼각함수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이 때 호도법에 대해 자세히 배우실 수 있습니다.

 

혹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질문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직 호도법의 의미를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요

여기서 각도의 π와 원주율의π와 완전히 같은 놈으로 보셔서는 안되요

여기서 π를 쓰는것은 단위도 (rad)을 쓰기 때문에 무턱대고 60분법으로 변환하면 안되요

즉 님이 범하신 오류는 예를 들어 온도의 단위가 섭씨 가 있고 K(캘빈온도)가 있잖아요

샤를의 법칙에 온도를 대입할때 절대온도를 대입하셔야 하는데 섭씨온도를 대입하면 오류가 생기잖아요

그래서 단위를 맞추워서 미지수에 대입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sin(π)=0이 됩니다. cos(π)=-1이구요

그리고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 건 대 i는 허수 단위로 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오일러 공식에서요.

... cos(원주율 파이)는 0.998정도로 나오던데용 궁금해요 내공 100검니다 안녕하세요 중학생이신데 오일러공식 공부하시는거 정말 대단하시네요 질문자님이 궁금증을...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 사용해서 성립함을 증명하는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오일러 공식에 따르면 임의의 복소수 z에 대해 exp(iz) = cos(z) + i...

오일러 공식과 항등식

오일러 공식오일러 항등식의 차이가 뭔가요??? 오일러 공식오일러 항등식은 모두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이름을 딴 것인데, 각각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지고...

오일러 공식, 항등식

오일러 공식은 정확이 어떤 식이고, 오일러 항등식은 정확히 어떤 식인가요..? 두개가 같은 식은 아닌 것 같은데, 정확히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복소수와 오일러공식의 관련성

복소수와 오일러공식과 무슨 관련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ㅠㅠ 오일러 공식은 다음과 같고 복소수 체계에서 지수함수와 삼각함수의 관계성을 보이는...

수1 세특으로 오일러 공식 쓸까 하는데

수1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ex. 수2 내용, 미적분 등..)은 아예 생기부에 안적어준다고 해서요 오일러 공식 못 쓰나요? 네 오일러 공식은 수1과 관련돼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