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민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수학관련>

만민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수학관련>

작성일 2009.07.1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어느날 문득 개념원리 문제가 막히는것이 있어, 인터넷검색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제 문제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발견했습니다

아래 내용이 바로 그것입니다.

 

개념원리 수1 (상) 확인체크 56번 좀 알려주세요
jiwonsulhwa 2006.02.18 08:36 
답변 1| 조회 186
 

문제를 풀다가 중간에 막혀서 몇시간동안 고민을,,

 

문제를 풀다보면

 

(a-6)a(a+1)-(a+1)(a-10)=0

(a+1)(a-2)(a-5)=0

 

 

이라고 전개과정 없이 바로 인수분해된 답만 나와있는데

 

정말 어떻게 해서 저렇게 나오는지 모르겠어요ㅠ

 

혼자 끙끙대다 질문합니다ㅠ

 

풀이과정 좀 상세하게 알려주시길,,,,

신고

의견 쓰기
질문자 채택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re: 개념원리 수1 (상) 확인체크 56번 좀 알려주세요
tjdcjf121 2006.02.18 08:39  
 아! 그렇군요ㅠ 친절하고 빠르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a+1로 묶어내면 (준식) = (a+1){a(a-6}-(a-10)} = (a+1)(a^2-7a+10) = (a+1)(a-2)(a-5)입니다

a^2-7a+10 요고 인수분해 하시는건 아시죠?

만약 a+1로 묶어내는게 이해가 안되시면 a+1 = A로 치환하면

(준식)=(a-6)aA - A(a-10)이니까 A로 묶으면

           A(a-2)(a-5)이고 A를 다시 a+1로 고치면

           (a+1)(a-2)(a-5)가 됩니다

여기까지가 질문과 답변입니다

자 이제 밑에부터 제 질문입니다.


모든 3차방정식은 일단 a+1로 묶는건가요 진정한 해법을 알고싶습니다.

만약 다른문제가 나오더라도 a+1이면 해결될것이라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정말 궁금한 근본적인 문제는 왜 a+1이 처음부터 나왔냐는겁니다.

 -1을 대입했는데 식이 맞아서 그런겁니까 그건 수학으로 푸는것이 아니고 완전 찍어대는것이잖습니까?

 그런방식으로 풀다보면 한계가 나올것같습니다.

100까지 찍어찍어 봤는데도 식이 성립하지 않을경우, 이럴경우는 a+1로 놓을수 없잖습니까. 

조립제법같은 방법따위는 이미 많이 들어봤습니다.
수학공부는 원리공부 아니겠습니까??
원리를 알려주는 책자체가 별로 없더군요
이게 바로 한국교육입니다.
오바마가 한국교육의 속을 경험했더라면 한국교육을 본받자는 말을 수정할지도 모르겠군요..
제가 경험한 몇몇의 학원강사님들은 친절하게 그런것도 잘 알려주시고, 가끔가다가 지식인에서도 그러하신 분들도 본것같은데, 이번 제 질문도 잘해결해주시면 조금ㄳ할듯.
내공은 좀 있을듯.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3차방정식을 풀기위한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위와 같이 운 좋게 인수를 찾아내는 방법

2. 근의 공식

 

1번 방법은 들어맞는 인수가 적절한 게 없으면(이를테면 1 같은 게 없는 경우) 한참 헤메게 되는, 그냥 아무거나 넣어보고 들어맞는지 보자는 방법이죠. 사실 이런 방법이 맘에 들지 않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넣어볼 수 있는 숫자를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수항을 최고차항의 계수로 나누어 얻어지는 수의 약수(음과 양의 약수 모두) 중에서 인수를 찾는 방법입니다.

 

(ax-b)(cx-d)(ex-f) = 0이라는 방정식이 있다면

 

ace*x^3 -(bce+acf+ade)x^2 + (bde+bcf+adf)x -bdf = 0으로 전개되겠죠

 

상수항을 최고차항의 계수로 나눈 값은 -bdf/ace 이며 보통 정수 해를 가진다면 a=1, c=1, e=1일 것이므로 결국 이 값은 -bdf가 됩니다. 약수 중에는 당연히 b, d, f가 포함될 것이므로 bdf의 약수로 정수해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유리해를 가질 경우 2배, 3배 등을 하여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제한이 많은 것은 사실입니다.

 

2번 방법은 가장 확실히 해를 찾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2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같은 개념으로 각 항의 계수만 이용하여 해를 구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너무 어려운 방법입니다. 간단히만 소개해드리면,,

 

우선 최고차 항의 계수로 방정식을 나누어 최고차항 계수를 1로 만듭니다.

 

최고차항 계수가 1인 그 방정식의 해는

 

 일 때,

 

라고 할 때

 

 

로 주어집니다.

만민이 궁금해하는 질문입니다<수학관련>

... 그리고 제 문제에 관련질문과 답변을... -1을 대입했는데 식이 맞아서 그런겁니까 그건 수학으로... 구하는 방법이죠. 하지만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너무 어려운...

공부하는 이유가 궁금해

... 진심으로 궁금해요 공부를 하는 이유가 인생을... 공부 관련 책을 찾아봤음에도 답이 나오지 않아 질문을... 물론 수학관련, 과학관련에는 필요하겠지만.) 학생들이 배우는...

편입 관련해서 궁금해

... ㅠㅠ 그리고 편입을 하는 방법도 궁금해요! ㅠ 안녕하세요(*^-^*) #질문 저는 대학교 2학년 1학기를 끝내고... (자연계 +수학) 공부에 전념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영어 수학 과외

... 대학 관련 준비 철저히 하는데를 가고싶어요!!!! 답변 부탁 드려요..ㅠㅠㅠㅠㅠㅠㅠ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ㅠㅠㅠㅠㅠㅠㅠ <답변> 영어 실력 향상에 대해 궁금해하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