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7.08.09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학용어들 좀 알려주세요

 

고1오니까 이제 정신이 드네요...

 

수학을 해보려니까 집합기호같은것도 잘 모르겠어요

 

수학에서 나오는 기호나 용어같은것좀 설명해주세요

 

정말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좀 길텐데 ..

 

ㅎㅎ

 

답변확정해주세요 ..

 

더 궁금하시면 .. 메일도 보내주시교요  

 

열공!!!

 

 

가감법(method of elimination by adding and subtracting): 연립 1차방정식을 풀 때, 두 방정식의 양변에 적당한 수를 곱해서 두 식을 변변 더하거나 빼어 하나의 미지수를 소거한 다음, 1원방정식을 유도해서 푸는 방법.

가법정리(addition theorem(of trigonometric of addition), =덧셈정리): 3각함수의 가법정리라고도 한다. 3각함수에 있어서 를 로서, 를 로서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정리를 말한다.





(부호동순)

가분수(improper fraction): 분수에서, 분자가 분모보다 클 때, 이것을 가분수라고 한다.

가비의 리(componendo): 이면, 이 성립하는 것을 뜻한다. 비례식 a:b=c:d에 대해서는 a:b=a+c:b+d, a+c:b+d=c:d

가산(可算, denumerable, countable): 자연수의 집합과 1-1대응이 만들어질 때 이를테면, 짝수의 집합, 정수의 집합, 유리수의 집합 등은 가산이다.

가설(假說; hypothesis): 條件(assumption), 假定이라고도 한다. 조건문 p→q에서 명제 p를 그 조건이라 한다.

가수(假數, mantissa): 10진 기수법에서 쓰여지는 양의 수 N은 , n은 정수)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 된다. logN의 정수부분 n을 그의 지표, 소수부분 log N'을 그의 가수라고 한다. 숫자의 배열이 같은 수들의 경우 가수가 같다.

가약(可約, reducible): 旣約에 반대되는 말로 약분이 가능함을 말함.

가언 삼단논법(假言 3段論法, conditional syllogism): 3단논법의 일종으로서 다음과 같이 추론한다. 만약, A이면 B이다. 그런데, A는 참이다. 그러므로, B는 참이다. 이를테면, x≠0이라면 이고 2≠0이다. 그러므로, 이다.

가우스의 기호(Gauss' notation): 실수 x에 대항, x를 넘지 않는 최대의 정수를 나타내는 기호 [x]. a가 정수로서 a≤x0이면 [x]는 x의 정수부분을 나타내고, x=0이면 [x]=0, x
가평균(假平均, temporary average): 많은 수의 자료의 평균값을 계산할 때, 직접 계산을 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평균값에 가깝게 생각되는 값을 가평균으로 해서 이용하며 계산이 간단해진다. 자료를 으로 해서, 를 가평균으로 취하면, 평균값 m은

으로 구해진다.

각(angle): 한 점에서 두 사선에 의해 만들어진 도형으로, 종류로는 평각, 직각, 예각, 둔각, 동위각, 맞꼭지각, 엇각, 내각, 외각, 대각, 내대각, 중심각, 원주각 등이 있음.

각기둥(prism): 평행평면 위에 있는 다각형을 밑면 및 윗면, 측면(평행4변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둘러싸인 입체이다. 만약, 이 입체의 측면이 밑면에 수직이면 직각기둥,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빗각기둥이라고 한다. 만약, 하나의 각기둥의 밑면이 정n각형이면, 정n각기둥이라고 한다. 밑면과 윗면 사이의 거리를 높이라고 한다. 밑넓이 B, 높이 h인 각기둥의 부피는 V=Bh이다. 직4각기둥은 직평행6면체 또는 직6면체라고 부르며, 그 높이가 밑면의 한 변과 같은 직평행6면체를 정6면체라고 한다. 빗4각기둥은 또 평행6면체라고도 부른다. 같은 넓이의 밑면과 같은 높이를 가진 각기둥은 같은 부피를 갖는다.

각뿔(pyramid): n각형으로 된 하나의 밑면과, 3각형으로 된 n개의 측면으로 둘러싸인 입체이다. n개의 3각형은 한 점인, 꼭지점에 모이고 꼭지점은 밑면의 평면 위에는 없다. n개의 측면은 각각 한 개의 변을 밑면과 공유하고 있다. 만약, 각뿔의 밑면이 외접원을 가지며, 꼭지점으로부터 밑면에 내린 수선이 이 원의 중심을 지난다면, 이 각뿔은 정n각뿔이라고 부른다. 각뿔의 두 개의 측면은 측면의 한 변에서 만나며, 밑변은 밑면의 변이라고 부른다.3각뿔, 4각뿔, 5각뿔의 경우에만 밑면의 변과 측면의 변이 같은 정n각뿔을 얻는다. 그의 밑면의 변과 측면의 변의 길이가 같은 정3각뿔을 정4면체라고 부른다. 밑면의 면적이 G, 높이 h인 각뿔의 부피는 이다.

각뿔대(frustum of pyramid): 각뿔을 밑면에 평행이고 꼭지점을 지나지 않는 평면으로 잘라 꼭지점을 가진 쪽이 부분을 없앤 입체. 본래의 각뿔의 밑면과 자른 자리의 평면을 이 각뿔대의 밑면이라고 하고, 두 밑면 사이의 거리를 그 각뿔대의 높이라고 한다.

각의 꼭지점(vertex of angle): 각의 두 변의 교점.

각의 변(side of angle): 각을 만드는 두 개의 사선.

각의 이등분선(bisection of angle) : 임의의 각을 2등분한 사선.

간접 측정(indirect proof): 가정으로부터 차례로 추론해서 결론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고, 결론을 부정해서 모순을 유도함에 따라 주어진 명제가 참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배리법).

거듭제곱(power, repeated square): 어떤 수나 문자를 거듭하여 곱한 것.

거듭제곱근(radical root): x를 거듭제곱하여 a가 될 때, x를 a의 거듭제곱근이라 한다.

거듭제곱수(radical number):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수를 거듭제곱함으로써 얻어진 수를 말하나, 제곱수(평방수)는 정수의 제곱으로 되어 있는 수를, 세제곱수(입방수)는 정수의 세제곱으로 되어 있는 수를 의미한다.

결론: 명제 'p 이면 q이다.'에서 q를 의미하며 종결부분을 말한다.

결합법칙(associative law): 결합률이라고도 하며 덧셈 곱셈에 대하여 x + ( y + z ) = (x + y ) + z , x(yz) = (xy)z 이 성립하는 것을 말함.

경우의 수(number of cases):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방법이 전부 m가지일 때, 그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m이라 한다.

경험적 확률(experimental probability): 통계적 확률, 후천적 확률이라고도 한다. 관측으로 어떤 사건 E가 관측된 횟수가 r이라 하고, N→∞일 때의 r/N의 극한값 p를 이 사건 E가 일어나는 확률이라 정의한다. 이와 같이 정의된 확률을 경험적 확률이라 한다. 실제의 통계적 자료에서 r/N의 극한을 구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나 이론상에서는 위와 같이 정의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경험적 확률로서 N이 상당히 클 때의 r/N을 생각해도 지장은 없다.

계급(class): 도수분포표에서 자료의 측정 내용을 구간별로 나눈 것.

계급값: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자료값.

계급의 크기(class interval): 도수분포표에서 계급의 구간 폭을 의미함.

계단함수(step function): 이를테면, f(x)=[x](가우스 기호)와 같이 그 그래프가 계단 모양으로 되는 함수.

계수(coefficient): 단항식에 있어서 어떤 문자에 주목했을 때, 다른 인수 전체를 그 문자의 계수라고 한다.

계승(factorial): 양의 정수 n에 대하여 최초의 n개의 정수의 곱을 'n 계승'이라 불리며 n!=1·2·3…(n-1)·n으로 쓴다. 여기서 0!=1로 정의한다.

계차수열(階差數列, progression of difference): 계차가 만드는 수열.

고유치(characteristic value, eigenvalue, proper value): 정방행렬 A의 고유방정식 |A-λE|=0의 근을 말한다. A를 (복소수체 위의)선형공간 X에(또는 그의 부분에) 작용하는 선형작용소라 할 때, 복소수 λ가 A의 고유치라 함은, Ax=λx (x≠0)를 만족하는 x∈X가 존재하는 것을 뜻한다. 이 때 x를 고유치 λ에 속하는 고유원(eigenelement) 또는 고유벡터(eigenvector)라고 한다. X가 함수공간일 때에는 고유원(固有元)이라는 말 대신 고유함수(eigenfunction)라는 말도 쓰인다.

곱셈정리(multiplication theorem): 「사건 A가 일어나는 확률을 p, 사건 A가 일어났을 때 사건 B가 일어나는 확률을 q라고 하면 사건 A와 B가 함께 일어나는 확률은 pq이다.」라고 하는 정리.

공리(axiom): 무증명 명제라고도 한다. 수학의 이론은 순수하게 논리적으로 세워져 있다. 그러나 그 이론에 있어서의 명제나 그 증명의 전제를 거슬러 올라가서 더듬어보면 그 이론에 있어서 처음부터 가정되어 있는 몇 개의 사항을 만나게 된다. 그들의 사항을 그 이론의 공리라 한다. 이를테면 보통의 기하학에 있어서는 직선, 평면의 기본적 성질, 평행선의 기본적인 성질 등을 공리로 삼는 일이 많다. 이들은 그 기하학의 범위 내에서는 증명하려 하지 않고 이들을 논리적인 출발점으로서 그 전체를 세운다. 공리라는 말은,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본에 있어서의 공준, 공통 개념에 유래하나 그 이래 자주 기하학을 세우기 위한 전제 조건과 같이도 생각되어 있었다. 마침내 공리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이론 체계를 세울 때의 기초에 놓이게 되어, 현태의 수학은 모두 각각의 공리로부터 세워지고 있다.

공리주의(axiomatism): 모든 이론은 엄밀한 공리적 방법으로 건설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말한다. 힐베르트는 이 주장을 강하게 주장하였고, 특히 유클리드 기하학의 공리계를 거론하여 공리 사이의 관계를 음미하였다. 현대의 수학은 모두 공리적 방법에 의하여 세워져 있는 것이다.

공배수(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배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소인 수를 최소공배수라 한다.

공분모(common denominator): 두 개 이상의 분수를 통분했을 때의 공통인 분모를 말함.

공비(公比, common ratio): 등비수열 참조

공사건(空事件, null event):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사건으로 생각하여 이를 공사건이라 한다.

공선(共線, collinear): 세 점 또는 그 이상의 점이 동일한 직선 위에 있을 때 그들의 점은 공선이라고 한다. 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벡터가 동일 직선에 평행인 경우, 그들은 공선이라고 한다. 평면 위의 벡터가 공선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그들이 1차 종속이어야 함.

공식(公式, formula): 계산의 방법이나 법칙을 문자로 나타낸 식을 말한다.

공액 복소수(conjugate complex number): 켤레 복소수라고도 한다. 복소수 a+bi(a,b는 실수)에 대하여 a-bi를 말한다. 가우스평면에서 두 켤레 복소수는 실축에 관하여 대칭이다.

공액 쌍곡선(conjugate hyperbola): 켤레 쌍곡선이라고 한다. 쌍곡선 과 과는 서로 공액(켤레) 쌍곡선이라고 한다. 켤레 쌍곡선은 점근선을 공유한다.

공액(conjugate): 켤레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수학의 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액근( conjugate roots): 켤레근이라고도 한다. 실계수 방정식이 허근 a+bi를 가지면 반드시 공액(켤레) 복소수 a-bi도 하나의 근이 된다. 이와 같이 서로가 공액(켤레) 복소수가 되어 있는 두 근을 공액근(켤레근) 또는 공액(켤레) 허근이라고 한다. 실계수 방정식의 허근에는 반드시 공액근이 있으므로 실계수의 방정식의 허근은 짝수 개다. 따라서 홀수차의 실계수 방정식은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공약수(common divisor): 두 개 이상의 수에 공통된 약수를 말하고 이들 중 최대인 수를 최대공약수라 한다. 공인수(common factor)라고도 함.

공역(codomain): X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할 수 있는 값의 영역.

공유점(common point): 두 개의 도형에 공통인 점을 말한다. 만나고 있을 때는 만나는 부분에 있는 점, 접하고 있을 때는 접점이 공유점이다.

공준(公準, postulate): 요청(要請)이라고도 한다.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본의 공리 중에서 기하학적인 내용을 갖는 공리를 말한다.

공집합(empty set, null set):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 기호로는 { }, Ф를 사용함.

공통 공리(共通公理, common axiom): 보통 공리라고도 한다.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본의 공리 중에서 기하학적인 내용 이외에 사용되는 공리.

공통근(共通根, common root): 공유근이라고도 한다. 두 개 이상의 방정식에 공통인 근을 말한다.

공통내접선(共通內接線, internal common tangent): 점수통접선이라고도 한다.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의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양쪽에 있는 것을 말한다.

공통수선(共通垂線, common perpendicular): 두 개의 직선, 한 직선과 하나의 평면, 또는 두 개의 평면에 공통인 수선을 말한다. 두 직선이 평행일 때는 무수히 많은 공통 수선을 그을 수가 있다. 그러나 공간에서 비틀린 위치(꼬인 위치)에 있는 두 직선에 대해서는 공통 수선은 오직 한 개뿐이다.

공통외접선(共通外接線, external common tangent): 외공통접선이라고 한다.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 중에서 그들 두 개의 원이 이 접선의 같은 쪽에 있는 것을 말한다.

공통인수(共通因子, common factor): 공통인자라고도 하며 다항식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항에 공통인 인수를 그들 항의 공통인수라 한다. 공통인수는 그것을 공통으로 갖는 항의 공약수이다.

공통접선(共通接線, common tangent): 두 개의 원에 공통인 접선을 말한다. 두 개의 원이 그 접선의 한쪽에 있든가, 양쪽에 있든가에 따라서 공통내접선과 공통외접선으로 나뉘어진다. 두 개의 곡선에 대해서도 그들에게 공통인 접선을 공통접선이라 한다.

공통접선의 길이: 두 개의 원의 공통접선에서 두 접점간의 거리를 말한다.

공통현(共通弦, common chord): 두 개의 원에 공통인 현을 말한다. 두 개의 원이 만날 때, 그들의 교점을 연결하는 선분이다.

교각(交角, angle of intersection): ①두 직선 또는 두 곡선의 교각: 두 개의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을 그 두 직선의 교각이라 하며, 두 개의 곡선이 만날 때는 그 교점에 있어서의 두 곡선의 접선의 교각을, 그 두 곡선의 교각이라고 한다. ② 두 원의 교각: 두 개의 원이 만날 때, 그 교점에 있어서 각각의 원에 그은 접선이 만드는 각을, 그 두 원의 교각이라 한다. 특히 두 원이 직교할 때는 교점과 두 원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반지름)은 직교한다. ③ 두 평면의 교각: 두 개의 평면이 만날 때, 그 두 평면이 만드는 2면각의 크기를 그들의 교각이라 한다.

교대급수(交代級數, alternating series): 교항급수, 교번급수라고도 한다. 을 모두 양수라고 할 때, 급수 즉, 양의 항과 음의 항이 교대로 나오는 급수를 말한다.

교대식(交代式, alternating expression): n 개의 문자 의 정식 또는 유리식으로서, 그 중의 임의의 두 개의 문자를 바꿔 넣으면 원래의 식과 부호만이 다른 식이 되는 것을 의 교대식이라 한다. 이를테면, a-b는 a,b의 교대식, (a-b)(b-c)(c-a)는 a,b,c의 교대식이다.

교대행렬(交代行列, skew symmetric matrix, alternating matrix): 행렬 A의 전치 행렬 A'라 할 때, A'=-A가 되는 행렬을 교대행렬이라고 한다.

교분할(交分割, crosspartition): 하나의 집합 M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 가 될 때, 을 M의 분할이라고 한다. 하나의 집합을 두 가지로 분할하여 와 로 했을 때, 이들을 사용한 더욱 세분된 분할 를 두 개의 분할의 교분할이라 한다.

교선(line of intersection): 두 평면이 오직 한 직선을 공유할 때에 만난다 라고 하며 그 직선을 두 평면의 교선이라고 한다. 두 개의 곡면의 만나는 선을 교선이라 할 때도 있다.

교점(point of intersection): 일반적으로 직선과 직선 또는 직선과 평면은 오직 한 점을 공유할 때 만난다고 하며, 그 점을 그들의 교점이라 한다. 또, 곡선과 곡선, 곡선과 곡면 등이 유한 개의 점을 공유할 때, 그들의 점을 교점이라 한다. 단, 접할 때는 이것을 접점이라 불러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교집합(intersection set): 집합 A와 집합 B의 어느 쪽에도 포함되는 원소 전체의 공통부분의 집합.

교축(交軸, tranverse axis): 절축이라고도 한다. 쌍곡선의 두 개의 대칭축 중에서 그 쌍곡선과 만나는 쪽을 말한다.

교환법칙(commutative law): 두 수 a, b에 대하여 a + b = b + a 가 성립하는 것을 말함.

구(sphere): 한 점 O로부터 일정한 거리 r에 있는 공간의 점의 자취(공)이다. 이 때 O를 구의 중심, r을 반지름이라 한다.

구고현의 정리(勾股鉉 定理): 중국에서 직각3각형의 세 변을 각가 구·고·현이라 불리고 있었다. 피타고라스 정리와 같다.

구대(球帶, zone of sphere): 구 띠. 구면과 만나는 평행인 두 평면의 사이에 끼인 구면 부분을 말한다. 원의 호를 그 호와 만나지 않는 지름의 둘레에 1회전하여 얻어지는 곡면(구면의 일부분)이다라고도 할 수 있다.

구면(球面, spherical surface): 구의 표면을 말한다.

구면각(球面角, spherical angle): 곡면 위의 두 개의 곡선의 교점에 있어서 두 곡선에 그은 접선이 이루는 각을 그들의 두 곡선이 이루는 각이라 한다. 구면 위에서 두 개의 대원이 이루는 각을 구면각이라 한다. 이 각에서 두 개의 대원을 그 변이라 한다. 구면각은 그 변이 되는 두 대원을 포함하는 두 평면이 이루는 각과 같다.

구면거리(球面距離, spherical distance): 구면 위의 두 점 A, B가 있을 때 A, B를 지나는 대원의 호 AB 중 짧은 것의 길이를 A, B 사이의 구면 거리라고 한다.

구면곡선(球面曲線, spherical curve): 하나의 구면 위에 있는 곡선을 말한다.

구면기하학(球面幾何學, spherical geometry): 구면 위의 기하학이라고도 한다. 구면 위의 도형에 관하여 연구하는 기하학을 말한다. 이를테면, 구면 위의 두 점 A, B를 연결하는 구면 위의 길 중에서 가장 짧은 길은 A, B를 지나는 대원의 호이다. 따라서, 3차원공간 유클리드 기하학과는 여러 점에서 다른 데가 나타난다. 이를테면, 3각형이 내각의 합은 180。보다 크다는 것.

구분구적법(區分求積法, mensuration by parts):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데 있어서 원래의 도형을 몇 개로 분할하여 그 각 부분의 넓이 또는 부피를 구하여, 그들의 합을 만들고 나서 분할을 한없이 잘게 했을 때의 극한값으로서 원래의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를 계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식을 정밀하게 하여 이론적으로 조립한 것이 정적분이다. 구분구적법의 생각은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이나 케플러의 맥주통의 부피를 구하는 방법 등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미분적분학이 탄생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구적법(求積法, quadrature): 미분방정식을 푸는데 있어서 부정적분을 유한 회 함으로써 해를 구하는 방법을 구적법이라고 한다. 특수한 형을 한 미분방정식은 이 방법으로 해가 구해진다.

구점원(九點圓, nine point circle): 오일러원, 포이에르바하의 원이라고도 한다. 3각형의 각 변의 중점, 세 개의 수선의 발, 수심과 각 꼭지점을 잇는 선분의 중점은 동일 원주 위에 있다. 이 원은 위의 9점을 지나므로 9점원이라 불리고 있다.

구좌표(球座標, spherical coordinates): 구면 좌표라고도 한다. 공간에서 직교좌표계를 취한다. 공간의 임의의 점 P에 대하여 z축과 P를 포함하는 평면과 xy 평면과의 교선을 OA라 할 때, , ∠zOP=θ, ∠xOP=φ, 0≤r
구태(球台, spherical segment): 구(내부를 포함한)를 두 개의 평행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그 두 평면에 끼워진 부분을 말한다.

군(群, group): 공집합이 아닌 집합 G에 속하는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해서 a, b의 곱(product)이라고 하는 G의 원소 c가 일의로 정하여지고, 이 원소 c가 c=ab로 표시될 때, 이 대응 (a,b)→c를 G에서의 승법(multiplication)이라고 한다. G가 군 또는 승법군(multiplicative group)이라는 것은, ⅰ) 승법이 결합법칙(associative law) a(bc)=(ab)c를 만족하고, ⅱ) G의 임의의 두 원소 a, b에 대해서 ax=b 및 ya=b가 되는 G의 원소 x, y가 일의로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조건 ⅱ)는 단위원(unit element)의 존재 즉, G 중에 특별한 원 e가 존재해서 G의 임의의 원소 a에 대해서 ax=xa=e가 되는 x(이것을 a-1로 쓰고 a의 역원(inverse element)이라고 한다.)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귀납법(歸納法, induction): 논리적인 추리의 방법에는 연역법 이외에 특수한 것으로부터 일반으로 혹은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으로의 추론이 있다. 이것이 귀납법이다. 귀납법은 발견적, 창조적인 요소가 있으며, 사회과학이나 실험적 자연과학에서는 그 기본적인 연구 태도의 하나이다. 귀납법적으로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하는 그러한 추리의 방법을 귀납법적 추리라고 한다.

귀류법(歸謬法, reductive absurdum): 배리법(背理法)이라고도 한다. 어떤 명제를 증명할 때, 그 명제의 「결론이 거짓이다」로 가정하여 추론을 진행시키면 원래의 명제의 가정에 모순되든가, 또는 이미 참이라고 알고 있는 사실에 모순된다라는 것으로부터 원래의 명제인 「결론은 참이다」라고 하는 증명법을 말한다.

귀무가설(歸無假說, null hyphothesis): 통계적 가설이라고도 한다. 가설검정에서 그 適否를 검정하려고 하는 가설을 말한다.

그리스의 삼대문제: 3대 문제라고도 한다. 다음의 세 문제를 말한다. ①주어진 각을 3등분하는 일(각의 3등분 문제) ② 주어진 입방체의 두 배의 부피를 갖는 입방체를 만드는 일(입방체 배적 문제, 데로스의 문제) ③주어진 원과 같은 넓이를 갖는 정4각형을 만드는 일(원적 문제). 이들은 유명한 작도 불능 문제이다. ①,②는 자와 컴파스만으로는 만들 수 없다는 것은 1837년 완쨀이 처음으로 증명하였다. 또, ③이 자와 컴파스만으로는 만들 수가 없다는 것을 1882년 린데만이 증명하였다.

극값(extreme value): 극대값과 극소값을 총칭하여 극값이라고 한다.

극대(maximal): x=a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x)가 충분히 작은 양의 수 δ를 취하면 0
극방정식(polar equation): 극좌표에 관한 방정식을 말한다. 이를테면, 평면 위의 직선의 극방정식은 rcos(θ-ω)=p이다. 단, p는 극에서 이 직선까지의 거리, ω는 극에서 이 직선에 내린 수선과 시선과의 이루는 각이다. 또,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반지름 a(>0)의 원의 극방정식은 r=a이다.

극소(minimal): x=a를 포함하는 범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x)가 충분히 작은 양의 수 δ를 취하면 0
극좌표(polar coordinates): 평면 위에 한 점 O와 O로부터 나오는 반직선 OX를 취한다. 이 평면 위의 임의의 점 P를 취하여 OP=r, ∠XOP=θ (0≤r
극한(極限, limit): 하나의 무한수열에서 어떠한 작은 값을 취해도 제N항보다 뒤의 수열의 항은 모두 α와 그 선택된 작은 값 이하만이 틀리지 않은 하나의 수 N을 항상 찾아낼 수가 있을 때, 그 수열은 일정한 값 α에 가까워진다고 하며 α는 이 수열의 극한이라 한다.

극형식(極形式, polar form): 극표시라고도 한다. 복소수 z를 가우스 평면 위의 한 점 P로 나타내고, 원점 O와 점 P와의 거리를 r, ∠xOP를 θ라 하면 z=r(cosθ+isinθ)로 쓸 수 있다. 이것을 복소수 z의 극형식이라 한다. 여기서 r을 z의 절댁값, 각 θ를 z의 편각이라 한다.

근(root): 방정식의 해 또는 해집합을 말한다.

근사값(approximate value): 참값을 반올림, 버림을 하여 얻거나, 어떤 측정에 의하여 얻은 측정값과 같이 참값대신 사용하는 참값에 가까운 값을 말한다.

근의 공식(formula giving roots): 방정식의 계수를 써서 그 근을 계산하기 위한 공식으로 가장 잘 사용되는 것은 2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다. 3, 4차방정식도 근의 공식이 있으나 실용적이지 않다.

근호: 근의 기호, 루트(root)라고도 하며 수의 거듭제곱근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급수(級數, series): 수열 의 항을 차례로 합의 기호 +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항의 수의 유한, 무한에 따라 유한급수와 무한급수로 나뉘어진다.

기대값(expectation): n개의 배반사건 이 일어나는 확률이 각각 이며 또 사건 이 일어나면 어떤 변량 X가 각각 이라는 값을 취한다고 할 때 을 변량 X의 기대값이라고 한다. 불확실한 현상에 대한 기대되는 값으로, 어떤 변량에 그 변량의 확률을 곱하여 더한 값을 말한다.

기말불(期末拂): 적립예금과 같이 어떤 일정한 기간마다 돈을 불입하는데, 그 불입금을 매기간의 말일에 불입하는 방식을 말함.

기본벡터(fundamental vector): 평면 또는 공간에 있어서 하나의 직각좌표계를 정하고 원점을 O라 한다. 각 좌표축 위에 점 또는 를 잡아, 단위 벡터 등으로 정하면 이들은 1차 독립이며 더구나 모든 벡터는 이들의 1차 결합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들을 평면 및 공간의 기본벡터라 한다.

기본사건(基本事件, fundamental events): 근본 사건, 단순 사상사건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시행에서 n개의 사건 중의 어느 것인가가 일어나며, 더구나 두 개가 동시에 일어나는 일은 없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사건 을 기본 사건이라고 한다.

기수(奇數): 홀수

기수(基數, radix, basis): 자릿수 정하기 기수법에 의해 수를 나타내면 그 일반항은 이다. 이 r을 기수라 부르며 10진법으로는 r=10이며 이다.

기수법(記數法, numeration system): 수를 숫자로서 나타내는 방법.

기수불(基首拂): 적립예금과 같이 어떤 일정한 기간마다 돈을 불입하는 것 중에서 그 불입금을 매기간의 첫날에 불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기순열(奇順列, odd permutation): 기준 순열로부터 홀수회의 호환에 의해서 얻어지는 순열을 말한다. 이를테면 기준 순열 (1,2,3)에 대하여 기순열은 (2,1,3), (3,2,1), (1,3,2)이다. n개이 것의 순열은 하나의 기준 순열에 대하여 홀순열, 짝순열 중 어느 하나이다.

기약다항식(旣約多項式, irreducible polynomial): 체 K의 원소를 계수로 하는 다항식(정식)을 K의 정식이라 한다. f(x)가 K의 두 개의 정식의 곱의 형식으로 표시될 때 f(x)는 K에 있어서 가약이라고 하며 가약인 다항식을 기약 다항식이라 한다. K의 두 개의 정식의 곱의 형식으로 나타낼 수 없을 때는 기약이라고 한다. 기약인가 가약인가는 계수의 체 K에 관한 것이다.

기약분수(旣約分數, irreducible fraction): 분모, 분자 사이에 공약수를 갖지 않은 분수를 말한다.

기울기(slope, gradient): 직선이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α라 할 때 m=tanα를 그 기울기라고 한다. 경사라고도 하며 x 의 증가에 대한 y의 증가의 비율을 말한다.

기하수열(幾何數列, geometric progression(sequence)): GM. 수의 열 은 하나의 항을 그 직전의 항으로 나눈 것이 동일한 몫을 줄 때 기하수열이라 한다.

기하평균: 에 대해 을 의 기하평균이라 함.

기함수(奇函數, odd function): x의 함수 f(x)가 f(-x)=-f(x)이라는 관계를 만족할 때 f(x)는 기함수라 한다. 기함수 y=f(x)의 그래프는 원점에 관하여 대칭이다.

꺽은선 그래프(graph of brokenline): 변량 x에 의하여 정해지는 수량 f(x)의 변화의 분포를 꺽인 선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꼬인 위치: 공간에서 두 직선이 만나지도 평행하지도 않은 위치.

꼭지각(vertical angle): 2등변 3각형의 등변이 만드는 각을 그 꼭지각이라 한다. 또, 직원뿔과 모선과 축이 만드는 각의 두 배를 꼭지각이라 할 때도 있다.

꼭지점: 두 선분의 교점이나 3개이상의 모서리의 공통된 끝점을 말함.


나머지정리(remainder theorem): 「x의 다항식 P(x)를 x-a로 나눈 나머지를 R라고 하면, R=P(a)이다.」라는 정리. 이 정리로부터 x의 다항식 P(x)가 x-a로 나누어 떨어지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P(a)=0이다. 이것을 인수정리라고도 한다.

난수(random numbers): 숫자 0,1,2,…,9가 각각 확률 1/10으로 나타나도록 배열한 숫자의 열을 말한다.

난수표(table of random numbrs): 무작위 추출을 행할 경우에 난수를 표로 한 것. 즉 난수표를 이용하는 일이 있다. 이것은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일양하게 나타나도록(어떤 부분을 취하여도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나타나는 확률이 같아지도록) 숫자를 늘어놓은 표이다.

내각(internal(interior) angle):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두 변이 만드는 각 중, 그 다각형의 내부에 있는 쪽의 각을 그 다각형의 내각이라 한다. 바꿔 말하면, 하나의 도형과 이웃하는 변으로 만들어지고, 그 도형의 내부에 있는 각을 가리킨다.

내대각(interior opposite angle): 3각형 ABC에 있어서, 이를테면 ∠C의 외각 ∠ACD에 대하여 그 각과 접하고 있지 않은 각(∠C 이외의 각) ∠A와 ∠B를 그 내대각이라 한다. 3각형의 한 외각은 그 내대각의 합과 같다.

내심(inner center): 삼각형의 내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3각형의 세 개의 내각을 2등분한 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그 점이 내심이다. 또, 4면체의 내접구의 중심도 내심이라 불린다.

내접(內接, inscription): 다각형이 원에 내접한다는 것은 그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동일 원주상에 있고, 다각형이 원의 내부에 있을 것, 원이 다각형에 내접한다는 것은 원이 그 다각형의 모든 변에 접하고 다각형의 내부에 있을 것. 이와 같이 하나의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각각 딴 다각형의 모든 변 위에 있어서, 그 내부에 있을 때도 내접한다고 한다. 원과 원의 경우는 한쪽의 원이 다른 쪽 원의 내부에 있어서 접하고 있을 때 내접한다고 한다.

내접다각형(inscrived polygon): 모든 꼭지점이 원주 위에 있는 다각형을 말한다.

내접사변형(inscrived quadrangle): 보통은 원에 내접하는 4변형의 뜻으로 사용된다. 즉, 4개의 꼭지점이 모두 하나의 원주 위에 있는 4변형을 말한다. 4변형이 원에 내접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서로 마주보는 각의 합이 2직각이다.

내접원: 어떤 도형에 내접하는 원을 말한다. 보통은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뜻으로 쓴다. 즉, 어떤 다각형의 모든 변에 접하고 그 내부에 있는 원. 모든 다각형이 내접원을 갖는다고는 할 수 없다.

내접정다각형(inscrived regular polygon):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 즉 모든 꼭지점이 하나의 원의 둘레 위에 있는 정다각형. 내접 정n각형은 원의 중심의 둘레의 각을 n등분하는 반지름을 긋고, 원주와의 교점을 구하여 그것을 차례로 연결시킴으로써 얻는다.

내항(內項, interal term): 중항이라고도 한다. 비례식 a:b=c:d에서 b와 c를 말한다.

노름(norm): 벡터공간(유한차원 또는 무한차원의) E의 kr 요소(벡터) x에 대하여 실수 ||x||가 대응하고, 조건 ①||x||≥0, ||x||=0이 되는 것은 x=0일 때에 한한다. ②||ax||=|a|||x||, a는 스칼라이며, |a|는 a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③||x+y||≤||x||+||y||를 만족할 때 ||x||를 x의 노름이라 한다.

누적도수(cumulative 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도수를 더하여 누적해 가는 도수.

다가함수(多價函數, many-valued function): 다함수 y=f(x)에 있어서, x인 한 값에 대해서 y인 값이 두 개 이상 나올 때, f(x)는 다가함수라고 한다. x의 한 값에 대해서 y의 값이 두 개이면 2가. 세 개이면 3가 등 일반적으로 n개일 때는 n가 함수라고 한다.

다각수(多角數, polygonal numbers): 다각수는 2차인 산술수열을 만드는 수이다. 이 들 수열의 일반적인 항은 이다. 여기에서 d는 수 1,2,3,…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d=1이면, 3각수 1,3,6,10,15…을 얻고, d=2이면 4각수 1,4,9,16,25,…이다. 이들 수의 이름은, 하나의 특별한 성질, 즉 3각수(4각수)로 표현되는 점의 수는 3각형(4각형)인 모양으로 나란히 선다는 성질에서 온 것이다.

다각형(polygon): 한 평면 위에서 3개이상의 선분으로 닫힌 도형.

다면체(polyhedron): 평면다각형의 면으로 둘러싸인 입체. 두 면의 교선을 다면체의 변, 몇 개의 변의 교점을 그 꼭지점이라고 한다. 특히, 어느 면을 연장시켜도 그 평면이 다면체의 내부를 잘라내는 일이 없을 때, 그 다면체를 볼록다면체라고 한다. 오일러의 정리와 그 밖의 관계에 의해서 5개의 정다면체, 즉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둘러싸인 입체만이 존재하는다.

다항식(polynomial): 두 개 이상의 단항식들이 대수적으로 합해져 있는 식.

다항정리(multinomial theorem): 3항 이상인 식의 거듭제곱셈 전개를 주는 정리 을 말한다. 인 정수.

단사(單射, injection): 사상 f:S→T에 있어서, S의 임의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원소 u, v에 대해서 그의 상 f(u), f(v)가 T의 서로 다른 원소가 되는 것으로 1:1 사상이라 한다.

단위벡터(unit vector): 길이가 1인 벡터를 말한다. 0 벡터가 아닌 임의의 벡터 a에 대해서, a와 같은 방향을 가지는 단위벡터이다. 즉, a/|a|를 예로 들 수 있다.

단위변환(identical transformation): 항등변환이라고도 한다. 임의의 원소를 그 자체로 옮기는 변환을 말한다.

단위분수(unit fraction): 분자가 1인 분수를 말한다.

단위원(單位圓, unit circle): 반지름이 1인 원을 말한다.

단위원(單位元, unit element): 연산에 있어서 임의의 a에 대해, a·e=e·a=a를 만족하는 원소 e를 말한다.

단일폐곡선(simple closed curve): 단일 연속곡선의 양끝이 일치하고 있는 곡선.

단항식(monomial): 숫자와 몇 개의 문자의 곱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식.

닮음: 두 도형을 이동하거나 확대 축소하여 서로 겹치게 할 수 있을 때 닮았다고 한다.

닮음의 위치: 두 개의 도형 위의 점들이 1:1 대응이 만들어지고 그 대응하는 점을 잇는 직선이 모두 한 점 O에서 만나 그것이 O에 의하여 모두 같은 비로 내분되거나 외분되어 있을 때 이를 닮음의 위치에 있다라고 한다.

닮음의 중심: 두 도형이 닮음의 위치에 있을 때 이 중심 O를 말한다.

대변(opposite side): 삼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 혹은 사각형의 한 변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을 의미함.

대응(correspondence): 한 집합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다른 집합의 임의의 원소를 생각하는 하나의 규칙을 의미함.

대입(substitution): 식 또는 함수에 있어서 그 안에 포함되는 문자나 변수를 그것과 같은 다른 것으로 바꾸어 놓는 것.

대입법: 연립방정식을 풀 경우, 한 식에서 한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정돈 표현하여 그것을 다른 식에 대입하여 하나의, 미지수를 소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값: 자료의 특징이나 경향을 가리키는 하나의 수의 값을 말하며, 종류로는 평균, 중위수, 최빈값 등이 있다.

도수(frequency):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에 나타나는 자료의 개수.

도수분포다각형(frequency polygon): 도수분포표를 히스토그램으로 옮겼을 경우 이 기둥의 각 정 점을 이은 도수 꺾은선을 말한다.

도수분포표(frequency table): 각 계급에 각각의 도수를 기록한 표.

동류항(like term, similar terms): 수계수 이외의 문자인수가 모두 같은 단항식을 말한다.

동심원: 같은 중심을 가지고 반지름의 크기가 다른 원을 말한다.

동위각(corresponding angle): 두 직선에 다른 한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같은 위치의 각을 말함. 평행인 두 직선이 다른 한 직선과 만나서 되는 동위각은 같고, 또 동위각이 같을 때, 두 직선은 평행이다.

둔각(obtuse angle): 직각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을 말한다.

등비수열(geometric progression): GP라고도 한다. 에서 즉, 이 되는 것을 말한다. r은 n에 무관한 상수로 공비(公比, common ratio)라고 하며 일반항은 이 된다.

등비중항(geometric mean): 두 수 a, b 사이에 m개의 수 을 넣어 등비수열이 되게 할 때, 을 a와 b 사이의 m개의 등비중항이라고 하며 이 때, . 특히 m=1일 때, 등비중항을 x라 하면, a:x=x:b가 성립하므로, 등비중항은 비례중항(상승평균)과 일치한다. 그 때문에 가끔 비례중항을 등비중항이라고도 한다.

등식: 양변에 각 항들을 등호로 연결한 식.

등차비례(等差比例, arithmetical proportion): 4개의 수 a,b,c,d 사이에 a-b=c-d인 관계가 있을 때, 이것을 등차비례라고 한다. 이것은 피타고라스 학파가 이름 지은 것이다.

등차수열(等差數列, arithmetic progression): AP라고도 한다. 수열 에서 즉, 인 것을 말한다. d는 n과 관련이 없는 상수로 이 등차수열의 공차(common difference)라고 한다.

등차중항(arithmetic mean): 두 수 a, b 사이에 m개의 수 을 넣어 등차수열이 되게 할 때, 을 a와 b 사이의 m개의 등차중항이라고 한며 이 때, . 특히 a와 b 사이에 1개의 등차중항을 등차중항이라고 한다. 그것은 a와 b의 산술평균이다.

등치법(等置法, method of equivalence): 연립방정식을 푸는 한 방법이다. 두 식에서 하나의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두어 서로 같게 두고 푸는 방법.

맞꼭지각(vertically opposite angle): 對頂角이라고도 g나다.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서로 이웃하지 않는 각을 말하며 맞꼭지각은 서로 같다.

명제(命題, proposition): 거짓과 참을 구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식을 말한다.

모선(generator): 기둥면을 이루는 하나의 모서리의 직선을 말한다.

뫼비우스띠(Mobius band): 긴 직사각형을 한 번 비꼬아서 대변을 서로 맞붙인 도형으로 안과 밖을 구분할 수 없는 도형이다.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 질점계나, 또는 물체의 질량의 중심을 말한다. 질량 의 n개의 질점이 각각 좌표 의 위치에 있을 때, 이 질점계의 무게중심 G의 좌표 는 이다( 도 같음). 삼각형에서는 세 중선의 교점을 말하며 공간에서

무리수: 실수 중에서 유리수가 아닌 수를 무리수라고 하며 이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이다.

무한소수: 소수점아래 한없이 유효숫자가 계속되는 소수를 말한다.

무한집합(infinite set): 한 집합에 속한 원소의 개수가 무한개인 집합. 즉, 전체집합의 개수와 그의 부분집합의 개수가 서로 같을 수 있는 것으로 다시 말하며, 전체집합과 그의 부분집합 사이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형성될 수 있는 그러한 집합.

미분법(differential calculus, differentiation): y=f(x)를 실수의 구간 I에서 정의된 실수치를 취하는 함수라 하자. x, x+h∈I라 하고, x를 고정하여 h를 0으로 收斂시킬 때, 유한의 극한치 lim가 존재하면, f는 x에서 미분가능(differentiable), 가미분 또는 가미라 하고, 이 극한치를 x에 있어서의 f의 미분계수, 미계수(differential coefficient)라고 하며 등으로 나타낸다. f가 집합 A⊂I의 각 점에서 미분가능이며, f는 A에서 미분가능이라고 한다. 또 x에 를 대응시켜서 생기는 함수를 f(x)의 도함수(deriver function, derivative)라고 한다. f(x)로부터 를 구하는 것을 'f(x)를 미분한다(differentiate)'라고 한다.

미지수: 아직 결정되지 않은 수 혹은 아직 구체적인 값이 안 알려진 수.

밑: 거듭 제곱수에서 지수 밑에 쓰여진 수.

반직선(half line): 한 직선을 한 점에 의해 두 개로 나눌 때 그 점을 포함하지 않는 양쪽부분을 각각 반직선이라고 한다.

방심: 삼각형의 한 내각의 2등분선과 두 외각의 2등분선이 만나는 점을 방심이라고 한다.

방정식(equation): 등식에서 한 문자에 어떤 특정한 값을 대입할 때에 한하여 등식이 성립하는 식.

배반사건(排反事件, exclusive events): en 개의 사건 A, B는 한쪽이 일어나면 다른 쪽은 일어나지 않을 때 서로가 배반 사건이라고 불린다.

배수(multiple): 어떤 수의 정수배를 배수라 한다.

벡터(vector): 力學에 있어서의 속도, 가속도, 힘처럼 길이와 방향을 가진 양이며 스칼라배와, 평행사변형의 법칙에 의한 加法이 정의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것에 대해서 방향을 갖지 않는 보통의 양을 스칼라(scalar)라고 한다.

복소수 상등의 원칙: a,b,c,d가 실수일 때, a+ib=c+id의 필요충분 조건은 a=c, b=d이다.

복소수(complex number): 임의의 실수 a, b와 허수단위(imaginary unit) i를 사용하여 z=a+ib라는 표현을 복소수라고 한다. 이 때, a를 이 복소수의 실수부(real part), b를 이 복소수의 허수부(imaginary part)라고 한다. 여기서 를 z의 공액(켤레)복소수(conjugate)라고 하며 실수부가 0인 복소수를 순허수(pure imaginary number)라 한다.

복소수의 절대치(absloute, modulus): z=a+bi에서 이며 가 된다.

부등식(不等式): 순서집합, 특히 실수의 집합에 속하는 2개의 원소 a,b를 대소의 순서 관계를 나타내는 이른바 부등호(inequality sign) , ≤, ≥로 맺은 순서관계를 나타내는 식 ab, a≤b, a≥b를 가리킨다. 따라서 '大小式'이라든가 '順序式'이라고 말하는 것이 정확하나 관례상 '부등식'이라는 용어가 사용됨. 부등식에는 모든 실수에 관해 성립하는 부등식인 絶對不等式(absolute inequality), 어떤 부분집합 X에 대해서만 성립하는 부등식인 條件不等式(conditional inequality), 여러 부등식을 동시에 나열하여 만든 聯立不等式(simultaneous inequality)이 있다.

분모유리화: 분모에 근호를 포함하고 있는 식이나 수를 분모에 근호가 없는 식으로 변환하는 것.

분산(variance): 각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

사건(event): 확률실험에서 한 시행의 결과에 의해 발생하는 일.

사인: 삼각함수와 삼각비의 하나로 직각삼각형에서의 높이/빗변을 의미한다.

산술평균: 에 대해 을 의 기하평균이라 함.

산포도: 자료가 흩어져 있는 정도를 말한다.

삼각비: 직각삼각형에서 두 변의 비를 각각 말하는 것으로 사인은 높이/빗변, 코사인은 밑변/빗변, 탄젠트는 높이/밑변의 비의 값을 의미한다.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면 양의 상관 관계,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감소하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한다.

상관도: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

상관표: 두 변수를 수평축과 수직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각 개체를 나타낸 표를 말한다.

상대도수(relative frequency): 각 계급의 도수를 전체도수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상수항(constant term):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항.

서로소(relatively prime): 두 정수 사이에 1 이외의 공약수가 없을 때를 서로소라 한다.

선분(segment): 직선 위에서 그 위의 두 점 사이에 한정된 직선의 한 부분.

소거: 연립방정식에서 어떤 문자를 다른 미지수로 표현하여 그 문자를 없애는 방법이다.

소수(prime number): 1이 아닌 자연수 중에서 1과 그 수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자연수.

소인수(prime factor): 어떤 자연수의 약수를 인수라 하며 이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

소인수분해(factorization in prime factors): 합성수를 그의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

수선(perpendicular): 어떤 일정한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

수선의 발(foot of perpendicular): 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도는 평면과 만나는 점.

수심(orthocenter):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의 교점을 말한다.

수열(sequence, progression): 일반적으로 자연수 N에서 실수 R로 가는 함수를 수열이라 한다. 즉 f: N→R에서 n번째 항을 일반항이라 하며 라 둔다.

수직(perpendicularity):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두 도형이 서로 직교하는 경우를 말하며 여기에는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 평면과 평면의 직교함을 말한다.

수직이등분선(perpendicular at midpoint): 주어진 선분의 중점에서 그 선분에 수직인 선.

순서쌍(ordered pair): 순서가 정해진 두 원소의 쌍 (a,b)를 말함.

순열(permutation): n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M으로부터 r개의 원소를 집어내어, 그것을 순서까지 고려해서 1열로 나열하는 각 방법을 M으로부터 r개의 원을 집어내는 순열이라고 한다.

순환마디: 순환소수에서 반복되는 숫자의 열을 순환마디라 한다.

순환소수: 무한소수로서 소수점이하의 일정한 숫자열이 계속 반복되는 소수를 말한다.

식의 값(numerical value of expression): 일정한 식의 문자에 수치를 대입하여 얻은 값.

실수: 유리수와 무리수를 합하여 실수라 부른다.

십진법(decimal system): 10개씩을 모아 한 자리씩을 윗자리로 올라가게 하는 수의 표기법.

쌍곡선(hyperbola): 두 정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의 자취.

삼각형의 오심: 삼각형의 내심, 외심, 수심, 방심, 무게중심을 말함.

약수(divisor): 어떤 수를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

양변(both sides): 등식 또는 부등식에 있어서 왼쪽 변과 오른쪽 변을 모두 일컫는 말.

양수(positive number): 0 보다 큰 수를 의미한다.

양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도 증가하는 경우를 말함.

양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양의 정수: 정수 중에서 양수인 집합.

엇각(alternate angles): 두 개의 평행선에 제3의 직선이 교차될 때 나타난다. 엇각은 평행선과 교차하는 직선의 반대쪽 및 평행선의 반대쪽에 있으며, 서로 같다. 두 직선이 평행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한 쌍의 엇각이 같다는 것이다.

여집합(complement): 전체집합과 그 부분집합이 있을 때 이 부분집합에 속하지 않는 원소들로 구 성된 집합.

역(converse): 조건문 'p 이면 q이다'에서 가정과 결론을 바꾸어 ' q이면 p이다' 라고 할 때 이를 역이라 한다.

역수(inverse number): 1을 어떤 수 a로 나누어 얻은 수, 즉 1/a

연립방정식: 몇 개의 등식을 짝으로 한 방정식.

연립부등식: 몇 개의 부등식으로 짝을 이룬 부등식.

연립일차방정식: 연립방정식에서 그 속의 방정식의 차수가 가장 높은 것이 1차인 것을 말한다.

연분수(連分數, continued fraction): 를 임의의 體 F의 원소의 유한수열이라 할 때,



라는 형식의 분수를 유한번분수(finite continued fraction)라고 한다.

연속함수(連續函數, continuous function): 함수 f: X→Y가 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임의의 ε>0에 대하여, δ>0을 적당히 택하면, 일 때, 이 되는 것이다. 또 임의의 ε>0에 대해서, x,y에 관계없이 δ>0을 선택해서 |x-y|
예각(acute angle): 0도와 90도 사이의 각의 크기를 말한다.

오진법(quinary): 수 0,1,2,3,4를 사용하여 5씩을 정리하여 한자리씩 윗자리로 올리는 표시방법.

오차: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말한다.

오차의 한계: 오차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 참값으로부터의 측정값이 얻어지는 범위를 정한 것.

완전제곱식: 어떤 식이 다른 식의 제곱꼴로 완전히 표시 될 때 이를 완전제곱식이라 한다.

외각(external angle): 다각형에서 하나의 변과 그것에 이웃하는 변의 연장과 이루는 다각형의 외부의 각.

외심(outer center): 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말한다.

외접: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하나의 원 주위에 있을 때 이를 원이 외접한다고 한다.

외접다각형: 각 변이 한 원에 접하고 있는 다각형.

외접원: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한 원 주위에 있을 때 이 원을 외접원이라고 한다.

우변(righ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오른쪽에 있는 변.

원(circle): 평면 위에서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점들의 모임.

원뿔(circular cone): 평면 위의 한 곡선 a를 택하여 평면 위에 없는 한 점 b와 곡선 a위의 모든 점을 이은 직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곡면을 뿔면이라고 하고 특히 평면 위의 곡선이 원이면 원뿔이라고 한다.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원뿔을 밑면에 평행인 평면으로 자르고 꼭지점을 포함하는 부분을 없앤 공간도형을 말한다.

원소(element): 요소라고도 하며,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사물들을 원소라고 한다.

원소나열법: 집합을 표시하는데 원소를 일일이 나열하여 표시하는 방법.

원점(origin): 직선 상에서 좌표를 정하는 기준이 되는 점.

원주(circumference): 원의 둘레를 의미함.

원주각: 원주상의 한 점을 꼭지점이라고 하고 그 원의 두 개의 현을 변으로 하는 각을 말한다.

원주율(圓周率, π): Euclid 평면 위의 원주의 길이와 직경과의 비, 곧 의 값을 원주율이라고 하며, L.Euler이래 περιμετροζ(周)의 두문자 π로 표시한 것으로 유클리드 원본에 이 수가 상수라는 기록은 있으나 수치에 대한 언급은 없다.

원추곡선(圓錐曲線, conic sections): 3차원 Euclid 공간에 있어서, 1점 V에서 만나는(단, 직교하지 않는) 2직선 m, n이 있을 때, m의 둘레로 n을 회전하면, n은 1개의 곡면 F를 그리는데 이 곡면을 V를 꼭지점(vertex)으로 하고 m을 축(axis)으로 하는 원추면(circular cone)이라 하고, V를 지나는 이 곡선상의 직선을 F의 모선(母線, generating line)이라고 한다. V를 지나지 않는 평면 π에 의한 F의 단면 즉 π와 F의 공통부분으로 얻어지는 π 위의 평면곡선 C를 원추곡선이라고 하며 포물선(parabola), 타원(ellipse), 쌍곡선(hyperbola)이 있고 특히 π⊥m인 경우에는 원이 된다.

유리수(rational number): 두 개의 정수 a, 0이 아닌 b를 취하여 분수 a/b의 꼴로 나타내어지는 수.

유한소수: 무한소수에 대해 소수점이하에 유한 개의 수가 있는 소수.

유한집합(finite set): 원소의 수가 유한 개로 이루어지는 집합.

유효숫자: 근사값이나 측정값의 윗자리에서 의미가 있는 숫자를 말한다.

음수(negative number): 0보다 작은 수.

음의 상관관계: 두 변수사이에 관계에서 한 쪽이 증가할 때 다른 쪽은 감소하는 경우를 말함.

음의 유리수: 유리수 중에서 음수인 수.

음의 정수(negative integer): 음의 정수 -1, -2, -3, ....을 말하는 정수 중에 음수를 말함.

음함수(陰函數, implict function): 역사적으로는 x, y 사이에 함수 관계 f(x,y)=0이 존재하고, y에 대해서 양으로 표시될 수 없을 경우, y를 x의 음함수라고 함.(고교과정에서)

이진법(binary notation): 숫자 0, 1만을 사용하여 2개씩을 묶어서 윗자리로 올리는 표기법이다.

이차곡면(surface of the second order, quadric):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좌표 x,y,z 사이의 2차방정식 (단, 는 실수이며 2차항의 계수는 모두 0이 아님)으로 표시되는 곡면이라 함. 직선은 일반적으로 2차곡면과 2점에서 만나며, 만일 3점 이상에서 만나면, 그 직선은 전부 곡면 위에 있다. 1점 O를 지나는 직선이 1개의 2차곡면과 2점 A, A'에서 만날 경우, 항상 AO=A'O이면, O를 그 2차곡면의 중심(centre)라고 한다.

이차함수: 2차식으로 표현되는 함수를 말한다. 꼴임.

이항(transposition of terms): 등식이나 부등식에서 항의 부호를 바꾸면서 이동시키는 것.

이항연산(binary operation): 집합 S에 대해 f: S×S→R인 함수 f를 이항연산이라고 하며 이항연산 (S,◎)이라고 표현한다. 임의의 에 대해 일 때, 이항연산 ◎은 집합 S에 대하여 닫혀있다(closed)고 한다. 임의의 s∈S에 대해 s◎x=x◎s=s인 x가 S에 존재할 때, 이러한 x를 이항연산 (S,◎)의 항등원(identity)이라 하고 e로 표현한다. 어떤 s에 대해 s◎y=y◎s=e인 y가 S에 존재할 때 y를 이항연산 (S,◎)에 대해 s의 역원(inverse)이라 하며 로 표현한다.

인수: 어떤 수나 식이 다른 수나 식들의 곱으로 표시 될 때 이들을 인수라 한다.

인수분해: 수를 소수의 곱으로 표시하면 이는 유일하게 표시되고 이를 소인수분해라고 한다. 또한 정식에서는 한 식이 두 개이상의 식의 곱으로 나타낼 경우 이를 인수분해라고 하는데 더 이상 인수로 분해할 수 없을 때까지의 곱의 형태를 취한다.

일차방정식(linear equation): 정리하여 미지수에 대한 1차식만을 포함하는 방정식을 말한다.

일차부등식: 최고 차수의 항이 1차인 부등식을 말한다.

일차식(linear expression): 차수가 1차인 항을 말한다.

일차함수: 차수가 1차인 함수를 말하며 y=ax +b형태를 취한다.

잉수(過剩數, abundant number): 풍수(豊數)라고도 하며 자연수 a에서 a 이외의 약수(1을 포함)의 합이 a보다 클 때, a를 과잉수라고 한다. 이것은 피타고라스학파에 의하여 이름지어진 것이다.

작도(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에 맞는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하며, 기하학에서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일을 말한다.

전개: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태를 취하도록 하는 행동.

전개식: 다항식과 단항식들의 곱의 형태로 되어있는 식을 모두 곱하여 단항식의 대수적 합의 형 태로 만든 식.

전체집합(universal set): 하나의 집합을 정하고 이 집합의 부분집합을 고찰하는 대상으로 할 경우 이 원래의 집합을 전체집합이라고 한다.

절대값(absolute value): 양, 음의 수의 부호를 없앤 수로 양수와 0은 그 수 자신이며 음수는 부호를 없앤 수이다.

절편: 한 직선이 좌표축과 만나서 축을 자르게 되는 점을 절편이라고 한다. 예로 x절편, y절편.

접선(tangent line): 원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면 할선, 한 점에서 만나면 이 직선을 접선이라 한다.

접선의 길이: 원 밖의 한 점에서 접선을 그은 경우 한 점에서 접점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접점(point of contact): 곡선 또는 곡면의 접선 또는 접평면이 그 곡선 또는 곡면과 접하는 점 을 말한다.

정다각형(regular polygon):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도 모두 같은 다각형을 말한다.

정다면체(regular polyhedron): 다면체중에서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되어 있고 어느 꼭지점에서도 모이는 면의 수가 같고 입체각도 같은 것을 말한다.

정리(theorem): 수학적 논증의 결과 옳다는 것이 증명된 사항 중 중요한 것을 말한다.

정수(integer): 자연수, 0, 음의 정수를 합쳐서 정수라 한다.

정의(definition): 수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을 정확히 일의적으로 규정한 문장이나 식.

정의역(domain of definition): 함수가 X에서 Y에로의 함수 일 때 X의 영역을 말함.

제곱근: 제곱하여 a 가 되는 수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

조건명제(conditional proposition): 변동시킬 수 있는 대상 x에 관한 명제를 일반적으로 조건명제라 한다. 이 종류의 명제의 진위는 변동하는 대상을 취하는 방법에 따라 변화한다.

조건문: 두 명제 p, q로부터 「p이면 q이다」라는 합성명제를 만들 수가 있다. 이것을 우리는 p→q라 쓰고, 조건문이라 한다.

조건제시법: 집합을 표시할 때 원소의 조건을 제시하는 방법.

조합(combination): n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M으로부터 r개의 원소를 집어내는 각 방법을 M으로부터 r개의 원소를 집어내는 조합이라고 한다.

조화평균: 에 대해 을 의 기하평균이라 함.

좌변(left side): 등식 또는 부등식에서 등호나 부등호의 왼쪽에 있는 변.

좌표(coordinates): 수직선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단위길이를 정한다음 임의 점 p에 대하여 그 매겨진 수를 점 P의 좌표라고 한다.

좌표축(coordinates axis): 직교좌표계 또는 사교좌표계 O-xy에서 수직선 Ox와 Oy를 각각 x 축, y축이라 하고 이 둘을 합쳐 좌표축이라고 한다.

좌표평면(coordinate plane): 공간의 직교좌표계 O-xyz 에 대하여 x축과 y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xy평면 , y축과 z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yz평면 , z축과 x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zx평면이라고 하고 이들을 총칭하여 좌표평면이라고 한다.

중근: 2차방정식에서 판별식 D=0일 때 갖게되는 두 근이 중복된 경우의 근을 중근이라 한다.

중선: 삼각형의 꼭지점과 그 대변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그 삼각형의 중선이라 한다.

중심각(central angle): 중심이 O인 원의 호 AB에 대하여 각 AOB를 호 AB에 대한 중심각이라고 한다. 중심각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두 배이다.

중심거리: 두 원의 중심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중심선: 두 원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말한다.

중점(middle point): 2등분점이라고 하며, 선분 위의 양 끝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다.

중점연결의 정리: 삼각형의 두 변의 중점을 잇는 선분은 제 3의 변에 평행이고 길이는 그 절반과 같다.

증명: 논증이라고도 하며 참이라고 인정되는 몇 개의 명제로부터 유효한 추론에 의해 다른 명제가 참임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지수(index number): 물가나 임금 등과 같이 해마다 변하는 것의 변화를 알아보기 쉽도록, 어느 해의 수량을 기준으로 잡아 이것을 100으로 잡아 그것에 대한 다른 해의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다른 하나는 거듭제곱에서 밑에 대하여 제곱하게 되는 수를 말한다.

직각(right angle): 각의 크기가 90도 인 각.

직교: 두 직선이나 평면이 교차하는 경우 그 교각이 90도인 경우 직교한다고 한다.

직선의 방정식: 평면 위에서 직선의 모양을 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y=ax +b꼴로 나타낸다.

집합(集合, set): 우리들의 직관 또는 사고의 대상으로서, 일정한 범위에 있는 것을 하나의 전체로서, 생각한 것을 (그들 대상의0 집합이라 하며, 그 범위 안의 개개의 대상을 그 집합의 원(元) 또는 요소(element)라고 한다. 집합은 식별이 분명한 원소들로 구성된 모임을 말하고, 집합론에서 무정의 용어로 취급된다.

짝수점(even point): 한 붓 그리기 문제에서 길이 짝수 개만 있는 점을 말한다.
차집합(difference of two sets): 집합 A에는 속하고 집합 B에는 속하지 않는 원소로 구성된 집합을 말하며 A-B로 표기한다.

참값: 일정한 측정에 의하여 알려고 하는 양의 정확한 값을 말한다.

최대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큰 값을 말한다.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measure): 두 개 이상의 공약수 중에서 최대인 것을 말함.

최소값: 실수값을 취하는 함수가 그 정의역 안에서 취하는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말한다.

최소공배수(least common multiple): 두 개 이상의 공배수 중에서 최소인 것을 말함.

축: 좌표평면에서 기준이 되는 선을 말하며 평면에서는 x축, y축이 있다.

측정값: 어떤 계측기를 사용하여 관측을 한 값으로 이는 항상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치역(range): X 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하는 범위.

코사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밑변/빗변의 비의 값이다.

탄젠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높이/밑변의 비의 값이다.

편차: 어떤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이를 말한다.

평각(straight angle): 각의 두 변이 꼭지점의 양쪽에 있고, 한 직선을 이룰 때 이 각을 평각이라고 하고 180도를 의미한다.

평균: 변량들의 값을 총 도수로 나눈 값. 평균에는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균이라 함은 산술평균을 의미한다. 0보다 크거나 같은 수들에 대한 산술,기하,조화 평균의 대소관계는 산술평균≥기하평균≥조화평균이며 등호는 각각의 수들이 서로 같을 때 성립한다.

평행(parallel):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이를 두 직선이 평행한다고 한다.

평행사변형: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사변형을 말한다.

평행선(parralel curve): 평면 위의 하나의 곡선을 따라서 그 곡선과 공통의 법선을 갖는 곡선을 원래의 곡선과 평행이라고 한다.

평행이동: 평면 위에서 점이나 도형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것을 말함

포물선: 정해진 한 점과 한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를 말한다.

표준편차: 편차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분산)의 양의 제곱근을 취한 것으로 자료의 흩어짐 정도를 재는 척도이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각각의 제곱의 합과 같다.
코사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밑변/빗변의 비의 값이다.

탄젠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높이/밑변의 비의 값이다.

편차: 어떤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이를 말한다.

평각(straight angle): 각의 두 변이 꼭지점의 양쪽에 있고, 한 직선을 이룰 때 이 각을 평각이라고 하고 180도를 의미한다.

평균: 변량들의 값을 총 도수로 나눈 값. 평균에는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균이라 함은 산술평균을 의미한다. 0보다 크거나 같은 수들에 대한 산술,기하,조화 평균의 대소관계는 산술평균≥기하평균≥조화평균이며 등호는 각각의 수들이 서로 같을 때 성립한다.

평행(parallel):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이를 두 직선이 평행한다고 한다.

평행사변형: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사변형을 말한다.

평행선(parralel curve): 평면 위의 하나의 곡선을 따라서 그 곡선과 공통의 법선을 갖는 곡선을 원래의 곡선과 평행이라고 한다.

평행이동: 평면 위에서 점이나 도형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것을 말함

포물선: 정해진 한 점과 한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를 말한다.

표준편차: 편차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분산)의 양의 제곱근을 취한 것으로 자료의 흩어짐 정도를 재는 척도이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각각의 제곱의 합과 같다.

코사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밑변/빗변의 비의 값이다.

탄젠트: 직각삼각형에서 삼각비를 나타내는데 높이/밑변의 비의 값이다.

편차: 어떤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차이를 말한다.

평각(straight angle): 각의 두 변이 꼭지점의 양쪽에 있고, 한 직선을 이룰 때 이 각을 평각이라고 하고 180도를 의미한다.

평균: 변량들의 값을 총 도수로 나눈 값. 평균에는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균이라 함은 산술평균을 의미한다. 0보다 크거나 같은 수들에 대한 산술,기하,조화 평균의 대소관계는 산술평균≥기하평균≥조화평균이며 등호는 각각의 수들이 서로 같을 때 성립한다.

평행(parallel): 두 도형의 위치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동일한 평면 위에서 서로 다른 직선이 만나지 않는 경우 이를 두 직선이 평행한다고 한다.

평행사변형: 두 쌍의 대변이 각각 평행인 사변형을 말한다.

평행선(parralel curve): 평면 위의 하나의 곡선을 따라서 그 곡선과 공통의 법선을 갖는 곡선을 원래의 곡선과 평행이라고 한다.

평행이동: 평면 위에서 점이나 도형을 일정한 방향,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킨 것을 말함

포물선: 정해진 한 점과 한 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점들의 자취를 말한다.

표준편차: 편차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분산)의 양의 제곱근을 취한 것으로 자료의 흩어짐 정도를 재는 척도이다.

피타고라스의 정리: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각각의 제곱의 합과 같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 1나이에 필요한것만 적은건 아니지만요 꼭 필요한거 적어보겠습니다.

정확한 뜻은 몰라서 다른 싸이트에서 퍼왔습니다1. 그런대 꼭이거만 공부하시면

큰일라니까, 다른것도 공부 해주세요@@

 

가분수(improper fraction): 분수에서, 분자가 분모보다 클 때, 이것을 가분수라고 한다

수직이등분선(perpendicular at midpoint): 주어진 선분의 중점에서 그 선분에 수직인 선

수선의 발::직선 또는 평면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도는 평면과 만나는 점

이진법(binary notation): 숫자 0, 1만을 사용하여 2개씩을 묶어서 윗자리로 올리는 표기법이다.
십진법(decimal system): 10개씩을 모아 한 자리씩을 윗자리로 올라가게 하는 수의 표기법.

대입법: 연립방정식을 풀 경우, 한 식에서 한 미지수를 다른 미지수로 정돈 표현하여 그것을 다른 식에 대입하여 하나의, 미지수를 소거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값: 자료의 특징이나 경향을 가리키는 하나의 수의 값을 말하며, 종류로는 평균, 중위수, 최빈값 등이 있다.

값어치,    일정한 값에 해당하는 분량이나 가치

치역(range): X 에서 Y에로의 함수에서 Y의 값이 취하는 범위

역수(inverse number): 1을 어떤 수 a로 나누어 얻은 수, 즉 1/a

중심선: 두 원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을 말한다

 

유한소수: 무한소수에 대해 소수점이하에 유한 개의 수가 있는 소수.
소인수(prime factor): 어떤 자연수의 약수를 인수라 하며 이 인수 중에서 소수인 수

거듭제곱수(radical number): 일반적으로는 임의의 수를 거듭제곱함으로써 얻어진 수를 말하나, 제곱수(평방수)는 정수의 제곱으로 되어 있는 수를, 세제곱수(입방수)는 정수의 세제곱으로 되어 있는 수를 의미한다

제곱근: 제곱하여 a 가 되는 수를 a의 제곱근이라 한다.
분산(variance): 각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의 제곱의 합을 총 도수로 나눈 값

외접원: 다각형의 모든 꼭지점이 한 원 주위에 있을 때 이 원을 외접원이라고 한다.
원주각: 원주상의 한 점을 꼭지점이라고 하고 그 원의 두 개의 현을 변으로 하는 각을 말한다.
내대각(interior opposite angle): 3각형 ABC에 있어서, 이를테면 ∠C의 외각 ∠ACD에 대하여 그 각과 접하고 있지 않은 각(∠C 이외의 각) ∠A와 ∠B를 그 내대각이라 한다. 3각형의 한 외각은 그 내대각의 합과 같다.

대변(opposite side): 삼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 혹은 사각형의 한 변에서 이웃하지 않는 변을 의미함.

이상 허접한 답 ㅎ@@$$###@%%^^

 

 

 

중2 1학기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ㅜㅜ

... 중2 1학기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ㅜㅜ 실수 중에서 유한소수가 아닌 것을 무한소수라 부른 다. 따라서 소수 전개하였을 때, 소수점 이하에 수가 무 한 개 나오는 수를...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고1오니까 이제 정신이 드네요... 수학을 해보려니까 집합기호같은것도 잘 모르겠어요 수학에서 나오는 기호나 용어같은것좀...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내공걸었음)

진짜 급한건데요 초등학교1학때부터 중2까지 수학용어 수학교과서에 나오는거 다 알려주세요! 하나도 빼먹지 말고 전부다요! 꼭 부탁드립니다. 제대로 써 주시기 바랍니다...;;...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 그래서 잘몰라여 그러니깐 수학용어좀 중1때다외어야할단어던지 꼭이해해야할부분이라던지 그런것좀 알려주세여>< 자세히좀여~~~~!!! 내공팍팍!!! 안녕하세요^^ 저도...

일본 수학용어좀알려주세요

일본에서 사용되는 수학 용어좀 알려주세요 ㅠ ex) +는 발음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2차방정식이나 함수나 이런 용어는 그냥 그대로 한자를 일본식으로 읽으면 됩니다...

수학 용어좀 알려주세요...

... 수학용어를 한국말로 하나도 모르겠더라고요.. 좀 알려주세요.. 부탁드려요.. 중학교꺼부터 고등학교꺼까지.. 부탁드릴께요~!!!...

수학용어 좀 알려주세요

수학용어라 그 쓰임이랑 뜻 좀 알려주세요 예를 들면 제곱 같은거요... 이왕이면 사진도 보여주세요!! 제곱은 어떤수를 두번 곱한걸 말하는겁니다.2의 제곱은 2곱하기2뭐...

만들려는데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 그리고 수학용어좀 알려주세요. 중학교 1학년 정도가 알기쉬운걸로요. ㅜㅜ..질문에 답좀 해주세요 ㅜㅜ 저 급해요 ㄷㄷㄷㄷ 내공 드릴게요 ㅜㅜ 감사내공도 함께. 지식인이...

수학 용어 좀 알려주세요;; 중3-1꺼//

중3 정도에 나오는 용어 모든것(?) 을 알려주세요 ㅠ 중1 인데 쉽게 설명좀 해주시고요;; 인수분해? 는머고;; 1학기꺼 부탁드립니다. ... 중3 용어를 다 알려 달라니..;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