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INSERT INTO `kin_11_1113` (subject, seo_subject, content, page, description, og_image, time) VALUES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EB%AF%B8%EC%A0%81%EB%B6%841%2C+2%EB%9E%91+%EB%AF%B8%EC%A0%81%EB%B6%84%ED%95%99%EC%9D%B4%EB%9E%91+%EB%AD%90%EA%B0%80+%EB%8B%A4%EB%A5%B8+%EA%B1%B4%EA%B0%80%EC%9A%94%3F', '
\n \n \n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n
아래 사진은 미적분학 강의 교육과정인데요, 
\n
미적분1, 2 안배우고 미적분학 공부 가능할까요?
\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n
[1강] 대학미적분학 오리엔테이션
0 : 05 : 27
1장. 함수와 극한
[2강] 함수를 표현하는 네 가지 방법
0 : 59 : 01
[3강] 수학적 모형: 필수함수의 목록
0 : 57 : 52
[4강] 기존함수로부터 새로운 함수 구하기, 접선문제와 속도문제
1 : 00 : 27
[5강] 함수의 극한, 극한법칙을 이용한 극한계산
1 : 06 : 11
[6강] 극한의 엄밀한 정의
0 : 48 : 34
[7강] 연속
0 : 53 : 01
2장. 도함수
[8강] 도함수와 변화율
0 : 44 : 53
[9강] 함수로서의 도함수, 미분공식
1 : 07 : 23
[10강] 삼각함수의 도함수, 연쇄법칙
1 : 02 : 29
[11강] 음함수의 미분법,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의 변화율
0 : 58 : 45
[12강] 관련비율, 선형근사와 미분
1 : 04 : 10
3장. 미분법의 응용
[13강] 최댓값과 최솟값
0 : 42 : 29
[14강] 평균값 정리
0 : 40 : 51
[15강] 도함수가 그래프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
0 : 57 : 44
[16강] 무한대에서의 극한과 수평점근선
0 : 45 : 36
[17강] 곡선그리기 요약
0 : 52 : 13
[18강] 최적화문제
0 : 54 : 30
[19강] 뉴턴의 방법, 역도함수
0 : 59 : 55
4장. 적분
[20강] 넓이와 거리
0 : 44 : 15
[21강] 정적분
0 : 57 : 18
[22강]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0 : 52 : 25
[23강] 부정적분과 순변화정리
0 : 35 : 35
[24강] 치환법
0 : 51 : 19
5장. 적분의 응용
[25강] 곡선사이의 넓이
0 : 47 : 00
[26강] 부피
0 : 55 : 14
[27강] 원통껍질 방법으로 부피구하기  \n
0 : 31 : 17
[28강] 일, 함수의 평균값
1 : 05 : 01
6장. 역함수: 지수/로그/역삼각함수
[29강] 역함수
0 : 37 : 20
[30강] 지수함수와 그의 도함수, 로그함수
1 : 03 : 26
[31강] 로그함수의 도함수
0 : 42 : 01
[32강] 지수적 증가 및 감소
0 : 44 : 25
[33강] 역삼각함수
0 : 39 : 59
[34강] 쌍곡선함수
0 : 36 : 20
[35강] 부정형과 로피탈 법칙
1 : 03 : 15
7장. 적분방법
[36강] 부분적분
0 : 29 : 01
[37강] 삼각적분
0 : 33 : 43
[38강] 삼각치환
0 : 53 : 36
[39강] 부분분수에 의한 유리함수의 적분
0 : 50 : 38
[40강] 적분을 위한 전략
0 : 35 : 22
[41강] 근사적분
1 : 05 : 57
[42강] 이상적분
1 : 01 : 26
8장. 적분법의 다양한 응용
[43강] 호의 길이
0 : 53 : 37
[44강] 회전면의 넓이
0 : 44 : 37
[45강] 물리학과 공학에의 응용
1 : 06 : 23
[46강] 경제학과 생물학에의 응용, 확률
0 : 51 : 25
9장. 미분방정식
[47강] 미분방정식으로 모형화하기, 방향장과 오일러의 방법
0 : 48 : 42
[48강] 변수분리형 방정식, 인구증가모델
0 : 59 : 51
[49강] 선형방정식
0 : 35 : 47
[50강] 포식자-피식자 체계  \n
0 : 38 : 27
10장. 매개변수 방정식과 극좌표
[51강] 매개변수방정식으로 정의된 곡선
0 : 33 : 46
[52강] 매개변수곡선에 대한 미적분
1 : 02 : 50
[53강] 극좌표
0 : 48 : 25
[54강] 극좌표에서의 넓이와 길이
0 : 28 : 57
[55강] 원뿔곡선
0 : 58 : 50
[56강] 극좌표에서 원뿔곡선
1 : 04 : 25
11장. 무한수열과 무한급수
[57강] 수열
1 : 10 : 51
[58강] 급수
0 : 47 : 04
[59강] 적분판정법과 합의 추정
0 : 52 : 05
[60강] 비교판정법, 교대급수
1 : 00 : 02
[61강] 절대수렴과 비판정법 및 근판정법, 거듭제곱급수
1 : 08 : 35
[62강] 함수를 거듭제곱급수로 나타내기  \n
0 : 41 : 59
[63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1)
1 : 06 : 36
[64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2)
1 : 09 : 43
12장. 벡터와 공간기하학
[65강] 3차원 좌표계, 벡터
1 : 10 : 41
[66강] 벡터의 내적
0 : 48 : 07
[67강] 벡터의 외적
1 : 02 : 18
[68강] 직선 및 평면의 방정식
1 : 04 : 04
[69강] 주면과 이차곡면
1 : 03 : 57
13장. 벡터함수
[70강] 벡터함수
0 : 52 : 34
[71강] 호의 길이와 곡률
1 : 09 : 27
[72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1)
0 : 52 : 45
[73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2)
0 : 39 : 59
14장. 편도함수
[74강] 다변수함수
0 : 59 : 12
[75강] 극한과 연속
0 : 56 : 40
[76강] 편도함수
0 : 51 : 01
[77강] 접평면과 선형근사
1 : 01 : 57
[78강] 연쇄법칙
1 : 00 : 15
[79강] 방향도함수와 기울기 벡터
1 : 10 : 19
[80강] 최댓값과 최솟값
1 : 06 : 47
[81강] 라그랑주 승수
1 : 05 : 02
15장. 다중적분
[82강] 직사각형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9 : 10
[83강] 일반적인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5 : 30
[84강] 극좌표에서 이중적분
0 : 51 : 16
[85강] 이중적분의 응용
1 : 04 : 44
[86강] 곡면넓이, 삼중적분
1 : 03 : 35
[87강] 삼중적분의 응용
0 : 32 : 02
[88강] 원기둥좌표에서 삼중적분, 구면좌표에서 삼중적분
1 : 02 : 20
[89강] 다중적분에서 변수변환
1 : 06 : 29
16장. 벡터해석
[90강] 벡터장
0 : 36 : 32
[91강] 선적분 (1)  \n
0 : 46 : 28
[92강] 선적분 (2)
0 : 38 : 38
[93강] 선적분의 기본 정리
0 : 57 : 06
[94강] 그린 정리
0 : 49 : 24
[95강] 회전과 발산
0 : 55 : 40
[96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1)
0 : 32 : 39
[97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2)
0 : 46 : 29
[98강] 면적분
1 : 09 : 22
[99강] 스토크스 정리
0 : 56 : 20
[100강] 발산정리
0 : 54 : 50
17장. 2계 미분방정식
[101강] 2계 선형방정식
0 : 42 : 45
[102강] 비동차 선형방정식
1 : 03 : 56
[103강] 2계 미분방정식의 응용, 급수해
\n
\n
\n \n\n \n \n \n \n\n \n \n\n \n \n \n
', '11_1113_331041362', '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아래 사진은 미적분학 강의 교육과정인데요,  미적분1, 2 안배우고 미적분학 공부 가능할까요? [1강] 대학미적분학 오리엔테이션 0 : 05 : 27 1장. 함수와 극한 [2강] 함수를 표현하는 네 가지 방법 0 : 59 : 01 [3강] 수학적 모형: 필수함수의 목록 0 : 57 : 52 [4강] 기존함수로부터 새로운 함수 구하기, 접선문제와 속도문제 1 : 00 : 27 [5강] 함수의 극한, 극한법칙을 이용한 극한계산 1 : 06 : 11 [6강] 극한의 엄밀한 정의 0 : 48 : 34 [7강] 연속 0 : 53 : 01 2장. 도함수 [8강] 도함수와 변화율 0 : 44 : 53 [9강] 함수로서의 도함수, 미분공식 1 : 07 : 23 [10강] 삼각함수의 도함수, 연쇄법칙 1 : 02 : 29 [11강] 음함수의 미분법,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의 변화율 0 : 58 : 45 [12강] 관련비율, 선형근사와 미분 1 : 04 : 10 3장. 미분법의 응용 [13강] 최댓값과 최솟값 0 : 42 : 29 [14강] 평균값 정리 0 : 40 : 51 [15강] 도함수가 그래프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 0 : 57 : 44 [16강] 무한대에서의 극한과 수평점근선 0 : 45 : 36 [17강] 곡선그리기 요약 0 : 52 : 13 [18강] 최적화문제 0 : 54 : 30 [19강] 뉴턴의 방법, 역도함수 0 : 59 : 55 4장. 적분 [20강] 넓이와 거리 0 : 44 : 15 [21강] 정적분 0 : 57 : 18 [22강]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0 : 52 : 25 [23강] 부정적분과 순변화정리 0 : 35 : 35 [24강] 치환법 0 : 51 : 19 5장. 적분의 응용 [25강] 곡선사이의 넓이 0 : 47 : 00 [26강] 부피 0 : 55 : 14 [27강] 원통껍질 방법으로 부피구하기   0 : 31 : 17 [28강] 일, 함수의 평균값 1 : 05 : 01 6장. 역함수: 지수/로그/역삼각함수 [29강] 역함수 0 : 37 : 20 [30강] 지수함수와 그의 도함수, 로그함수 1 : 03 : 26 [31강] 로그함수의 도함수 0 : 42 : 01 [32강] 지수적 증가 및 감소 0 : 44 : 25 [33강] 역삼각함수 0 : 39 : 59 [34강] 쌍곡선함수 0 : 36 : 20 [35강] 부정형과 로피탈 법칙 1 : 03 : 15 7장. 적분방법 [36강] 부분적분 0 : 29 : 01 [37강] 삼각적분 0 : 33 : 43 [38강] 삼각치환 0 : 53 : 36 [39강] 부분분수에 의한 유리함수의 적분 0 : 50 : 38 [40강] 적분을 위한 전략 0 : 35 : 22 [41강] 근사적분 1 : 05 : 57 [42강] 이상적분 1 : 01 : 26 8장. 적분법의 다양한 응용 [43강] 호의 길이 0 : 53 : 37 [44강] 회전면의 넓이 0 : 44 : 37 [45강] 물리학과 공학에의 응용 1 : 06 : 23 [46강] 경제학과 생물학에의 응용, 확률 0 : 51 : 25 9장. 미분방정식 [47강] 미분방정식으로 모형화하기, 방향장과 오일러의 방법 0 : 48 : 42 [48강] 변수분리형 방정식, 인구증가모델 0 : 59 : 51 [49강] 선형방정식 0 : 35 : 47 [50강] 포식자-피식자 체계   0 : 38 : 27 10장. 매개변수 방정식과 극좌표 [51강] 매개변수방정식으로 정의된 곡선 0 : 33 : 46 [52강] 매개변수곡선에 대한 미적분 1 : 02 : 50 [53강] 극좌표 0 : 48 : 25 [54강] 극좌표에서의 넓이와 길이 0 : 28 : 57 [55강] 원뿔곡선 0 : 58 : 50 [56강] 극좌표에서 원뿔곡선 1 : 04 : 25 11장. 무한수열과 무한급수 [57강] 수열 1 : 10 : 51 [58강] 급수 0 : 47 : 04 [59강] 적분판정법과 합의 추정 0 : 52 : 05 [60강] 비교판정법, 교대급수 1 : 00 : 02 [61강] 절대수렴과 비판정법 및 근판정법, 거듭제곱급수 1 : 08 : 35 [62강] 함수를 거듭제곱급수로 나타내기   0 : 41 : 59 [63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1) 1 : 06 : 36 [64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2) 1 : 09 : 43 12장. 벡터와 공간기하학 [65강] 3차원 좌표계, 벡터 1 : 10 : 41 [66강] 벡터의 내적 0 : 48 : 07 [67강] 벡터의 외적 1 : 02 : 18 [68강] 직선 및 평면의 방정식 1 : 04 : 04 [69강] 주면과 이차곡면 1 : 03 : 57 13장. 벡터함수 [70강] 벡터함수 0 : 52 : 34 [71강] 호의 길이와 곡률 1 : 09 : 27 [72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1) 0 : 52 : 45 [73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2) 0 : 39 : 59 14장. 편도함수 [74강] 다변수함수 0 : 59 : 12 [75강] 극한과 연속 0 : 56 : 40 [76강] 편도함수 0 : 51 : 01 [77강] 접평면과 선형근사 1 : 01 : 57 [78강] 연쇄법칙 1 : 00 : 15 [79강] 방향도함수와 기울기 벡터 1 : 10 : 19 [80강] 최댓값과 최솟값 1 : 06 : 47 [81강] 라그랑주 승수 1 : 05 : 02 15장. 다중적분 [82강] 직사각형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9 : 10 [83강] 일반적인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5 : 30 [84강] 극좌표에서 이중적분 0 : 51 : 16 [85강] 이중적분의 응용 1 : 04 : 44 [86강] 곡면넓이, 삼중적분 1 : 03 : 35 [87강] 삼중적분의 응용 0 : 32 : 02 [88강] 원기둥좌표에서 삼중적분, 구면좌표에서 삼중적분 1 : 02 : 20 [89강] 다중적분에서 변수변환 1 : 06 : 29 16장. 벡터해석 [90강] 벡터장 0 : 36 : 32 [91강] 선적분 (1)   0 : 46 : 28 [92강] 선적분 (2) 0 : 38 : 38 [93강] 선적분의 기본 정리 0 : 57 : 06 [94강] 그린 정리 0 : 49 : 24 [95강] 회전과 발산 0 : 55 : 40 [96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1) 0 : 32 : 39 [97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2) 0 : 46 : 29 [98강] 면적분 1 : 09 : 22 [99강] 스토크스 정리 0 : 56 : 20 [100강] 발산정리 0 : 54 : 50 17장. 2계 미분방정식 [101강] 2계 선형방정식 0 : 42 : 45 [102강] 비동차 선형방정식 1 : 03 : 56 [103강] 2계 미분방정식의 응용, 급수해 ', 'https://img-api.cboard.net/img_n.php?image_url=https://dthumb-phinf.pstatic.net/?src=%22http%3A%2F%2Fwww.uniwise.co.kr%2FuniwiseWeb%2Fresources%2Fimages%2Fvideo_sub%2Fbtn_detail.gif%22&type=w740', '2019.07.11')
Data too long for column 'content' at row 1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작성일 2019.07.1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미적분1, 2랑 미적분학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아래 사진은 미적분학 강의 교육과정인데요, 
미적분1, 2 안배우고 미적분학 공부 가능할까요?
[1강] 대학미적분학 오리엔테이션
0 : 05 : 27
1장. 함수와 극한
[2강] 함수를 표현하는 네 가지 방법
0 : 59 : 01
[3강] 수학적 모형: 필수함수의 목록
0 : 57 : 52
[4강] 기존함수로부터 새로운 함수 구하기, 접선문제와 속도문제
1 : 00 : 27
[5강] 함수의 극한, 극한법칙을 이용한 극한계산
1 : 06 : 11
[6강] 극한의 엄밀한 정의
0 : 48 : 34
[7강] 연속
0 : 53 : 01
2장. 도함수
[8강] 도함수와 변화율
0 : 44 : 53
[9강] 함수로서의 도함수, 미분공식
1 : 07 : 23
[10강] 삼각함수의 도함수, 연쇄법칙
1 : 02 : 29
[11강] 음함수의 미분법,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에서의 변화율
0 : 58 : 45
[12강] 관련비율, 선형근사와 미분
1 : 04 : 10
3장. 미분법의 응용
[13강] 최댓값과 최솟값
0 : 42 : 29
[14강] 평균값 정리
0 : 40 : 51
[15강] 도함수가 그래프의 모양에 미치는 영향
0 : 57 : 44
[16강] 무한대에서의 극한과 수평점근선
0 : 45 : 36
[17강] 곡선그리기 요약
0 : 52 : 13
[18강] 최적화문제
0 : 54 : 30
[19강] 뉴턴의 방법, 역도함수
0 : 59 : 55
4장. 적분
[20강] 넓이와 거리
0 : 44 : 15
[21강] 정적분
0 : 57 : 18
[22강]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0 : 52 : 25
[23강] 부정적분과 순변화정리
0 : 35 : 35
[24강] 치환법
0 : 51 : 19
5장. 적분의 응용
[25강] 곡선사이의 넓이
0 : 47 : 00
[26강] 부피
0 : 55 : 14
[27강] 원통껍질 방법으로 부피구하기  
0 : 31 : 17
[28강] 일, 함수의 평균값
1 : 05 : 01
6장. 역함수: 지수/로그/역삼각함수
[29강] 역함수
0 : 37 : 20
[30강] 지수함수와 그의 도함수, 로그함수
1 : 03 : 26
[31강] 로그함수의 도함수
0 : 42 : 01
[32강] 지수적 증가 및 감소
0 : 44 : 25
[33강] 역삼각함수
0 : 39 : 59
[34강] 쌍곡선함수
0 : 36 : 20
[35강] 부정형과 로피탈 법칙
1 : 03 : 15
7장. 적분방법
[36강] 부분적분
0 : 29 : 01
[37강] 삼각적분
0 : 33 : 43
[38강] 삼각치환
0 : 53 : 36
[39강] 부분분수에 의한 유리함수의 적분
0 : 50 : 38
[40강] 적분을 위한 전략
0 : 35 : 22
[41강] 근사적분
1 : 05 : 57
[42강] 이상적분
1 : 01 : 26
8장. 적분법의 다양한 응용
[43강] 호의 길이
0 : 53 : 37
[44강] 회전면의 넓이
0 : 44 : 37
[45강] 물리학과 공학에의 응용
1 : 06 : 23
[46강] 경제학과 생물학에의 응용, 확률
0 : 51 : 25
9장. 미분방정식
[47강] 미분방정식으로 모형화하기, 방향장과 오일러의 방법
0 : 48 : 42
[48강] 변수분리형 방정식, 인구증가모델
0 : 59 : 51
[49강] 선형방정식
0 : 35 : 47
[50강] 포식자-피식자 체계  
0 : 38 : 27
10장. 매개변수 방정식과 극좌표
[51강] 매개변수방정식으로 정의된 곡선
0 : 33 : 46
[52강] 매개변수곡선에 대한 미적분
1 : 02 : 50
[53강] 극좌표
0 : 48 : 25
[54강] 극좌표에서의 넓이와 길이
0 : 28 : 57
[55강] 원뿔곡선
0 : 58 : 50
[56강] 극좌표에서 원뿔곡선
1 : 04 : 25
11장. 무한수열과 무한급수
[57강] 수열
1 : 10 : 51
[58강] 급수
0 : 47 : 04
[59강] 적분판정법과 합의 추정
0 : 52 : 05
[60강] 비교판정법, 교대급수
1 : 00 : 02
[61강] 절대수렴과 비판정법 및 근판정법, 거듭제곱급수
1 : 08 : 35
[62강] 함수를 거듭제곱급수로 나타내기  
0 : 41 : 59
[63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1)
1 : 06 : 36
[64강] 테일러급수와 매클로린급수 (2)
1 : 09 : 43
12장. 벡터와 공간기하학
[65강] 3차원 좌표계, 벡터
1 : 10 : 41
[66강] 벡터의 내적
0 : 48 : 07
[67강] 벡터의 외적
1 : 02 : 18
[68강] 직선 및 평면의 방정식
1 : 04 : 04
[69강] 주면과 이차곡면
1 : 03 : 57
13장. 벡터함수
[70강] 벡터함수
0 : 52 : 34
[71강] 호의 길이와 곡률
1 : 09 : 27
[72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1)
0 : 52 : 45
[73강] 공간에서의 운동 : 속도와 가속도 (2)
0 : 39 : 59
14장. 편도함수
[74강] 다변수함수
0 : 59 : 12
[75강] 극한과 연속
0 : 56 : 40
[76강] 편도함수
0 : 51 : 01
[77강] 접평면과 선형근사
1 : 01 : 57
[78강] 연쇄법칙
1 : 00 : 15
[79강] 방향도함수와 기울기 벡터
1 : 10 : 19
[80강] 최댓값과 최솟값
1 : 06 : 47
[81강] 라그랑주 승수
1 : 05 : 02
15장. 다중적분
[82강] 직사각형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9 : 10
[83강] 일반적인 영역에서 이중적분
0 : 55 : 30
[84강] 극좌표에서 이중적분
0 : 51 : 16
[85강] 이중적분의 응용
1 : 04 : 44
[86강] 곡면넓이, 삼중적분
1 : 03 : 35
[87강] 삼중적분의 응용
0 : 32 : 02
[88강] 원기둥좌표에서 삼중적분, 구면좌표에서 삼중적분
1 : 02 : 20
[89강] 다중적분에서 변수변환
1 : 06 : 29
16장. 벡터해석
[90강] 벡터장
0 : 36 : 32
[91강] 선적분 (1)  
0 : 46 : 28
[92강] 선적분 (2)
0 : 38 : 38
[93강] 선적분의 기본 정리
0 : 57 : 06
[94강] 그린 정리
0 : 49 : 24
[95강] 회전과 발산
0 : 55 : 40
[96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1)
0 : 32 : 39
[97강] 매개곡면과 그 넓이 (2)
0 : 46 : 29
[98강] 면적분
1 : 09 : 22
[99강] 스토크스 정리
0 : 56 : 20
[100강] 발산정리
0 : 54 : 50
17장. 2계 미분방정식
[101강] 2계 선형방정식
0 : 42 : 45
[102강] 비동차 선형방정식
1 : 03 : 56
[103강] 2계 미분방정식의 응용, 급수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등 과정 수학인 미적분1,2 를 공부해야만

미적분학 공부가 가능합니다.

일테면

미적분 1,2 에서 극한 계산을 했다면

미적분학에서는 극한의 엄밀한 정의를 배우게 되는 것이죠.

극한 계산도 못하고 극한이 뭔지도 모르면

미적분학에서 '극한의 엄밀한 정의' 를 공부할 엄두는 못내는 것입니다.

고등학교 과정때 수학공부를 단단히 해두었다면

미적분학에서 20-30% 는 커버되는것 같습니다.

이외에 새로운 내용들을 미적분학에서는 배우게 됩니다.

대학미적분학 vs 고등학교미적분

고등학교 미분적분이랑 대학교 미적분학이 뭐가 어떻게 다른가요? 고등학교 때 수2를... 고등과정 미적분 하면 된다고도 하네요 제가 생각해도 상경대인데 깊이는 안해도 될...

미적분학이 고등학교 미적분과...

... 고등학교때 미적분과 같은 내용을 하는 것 같은데요... 학과마다 같은 미적분학이라도 다른 각도에서 접근할지는... 2학기엔 .. 정석만 보셔도 충분할거예요. 글고..미분...

미적분학 또는 대학미적분

... 수학은 뭘 어떻게 하면 되는지 조언부탁드립니다 미분적분과 미분적분학 대학미적분 다 같은 건지 다른 건지도... 때 미적분학을 끝내고 2학년 때 선형대수학, 공업수학 등을...

미적분학, 컴퓨터 공학과

... 문제는, 고등학교 이과 수학하고 미적분학 하고 뭐가 다른... 1. 컴공과에서 배우는 미적분학은 고등학교 어느 부분을 공부해야 하나 2. 미적분학미적분의 차이점 or 어느...

수학의 정석 미적분/미적분1 다른점?

수2를 끝내고 미적분을 막 들어가려 하는데요 인터넷을 보니 <미적분> 정석도 있고, <미적분 1> 정석도 있더라구요 뭐가 다른건가요? 수학의 정석 미적분미적분1은 둘 다...

수학 수2랑 미적분 차이

... 초월함수 미분적분 추가된거 말고 어떻게 다른건지 몰겠어요 미적분 다... 왜냐하면 수열은 대학교때 보는 기초미적분학에서는 배우지만 고등학교에선 미적분의...

바로 미적분학이나 선형대수학 책을...

... 바로 대학수학으로 들어가도 상관없다면, 토마스의 미적분외의 미적분학책과... 물론, 공업수학이라는 또 다른 과목이 2학년 강의로 개설이 되어 있을 겁니다. 어찌보면 그...

생명 분야 희망하는데 수능 미적분 기하...

... 다른 길을 걷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그냥 미적분 하는... 가시면 미적분학을 배우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하에... 대단한 선택도 아니고, 그냥 기하 책 한번 보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