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초보입니다 ㅠㅜㅠㅜㅠㅠㅠㅜ f값, t값이 뭔가요?

통계 초보입니다 ㅠㅜㅠㅜㅠㅠㅠㅜ f값, t값이 뭔가요?

작성일 2012.11.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f와 t가 크면 p가 작다고 들었는데..


교수님의 강의방식이 독특해서  못 알아듣겠어요 ㅠㅠ


stata로 회귀분석을 돌리는데, 저 두 값이 어디에 있고 뭘 의미하고 이게 분석할 때 어떻게 쓰이는지 알려주세요


stata 결과창에 익숙해서 그걸로 예시를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ㅜㅠㅜㅠㅜㅠㅠ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회귀분석을 수행하면

회귀분석의 적합도(Goodness of Fit) 검정을 F통계량으로 검정하게 됩니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독립변수들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지 t통계량을 이용하게 되구요.

 

t-통계량과 F통계량은 자유도에 비해서 

그 값이 커야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게 되죠. p-value 가 작게 나와야 됩니다.

 

STATA 의 회귀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설명드리죠.

 

 


 

 

 

먼저, A영역에 있는 p-value 입니다. 

회귀분석을 하면 회귀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합니다.

모든 회귀계수는 0 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하죠. 

 

가설검정의 유의수준(Sig. level)은 0.05 로 합니다. 

따라서 0.05 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합니다.

 

A영역에 있는 p-value 값은 0.0000 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합니다.  적어도 어느 1개 이상의 회귀계수는 0이 아니다 라고 할 수 있죠.

 

좌측의 표(회귀분석의 분산분석표)에서

Model 에 해당하는 MS 값을 Residual 에 해당하는 MS 값으로 나눈것이

F통계량 213 입니다. 제1자유도 3과 제2자유도 309를 이용하면 p-value가 계산됩니다.

 

===================================

 

하단에 있는 표는 회귀계수표입니다.

 

B 영역의 p-value는 바로 옆에 t-통계량을 이용하여 얻은 p-value 입니다.

독립변수의 회귀계수 = 0 이다 라는 귀무가설을 검정하며

p-value 가 0.05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은 기각합니다.

통계적으로 판단하기에 회귀계수가 0 이 아니므로 회귀식에 사용한다는 얘기죠.

 

일반적으로 회귀계수표에서 p-value 가 0.05보다 큰 독립변수를 제외하고

다시 회귀분석을 수행합니다.

 

 

많은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ㅠㅜㅠㅜㅠㅠㅠㅜ f값, t값이 뭔가요?

... F통계량으로 검정하게 됩니다. 회귀분석에 투입된 독립변수들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지 t통계량을 이용하게 되구요. t-통계량과 F통계량은 자유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