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구적법과 함수의 볼록성

구분구적법과 함수의 볼록성

작성일 2024.05.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구분구적법의 내용을 이용해서
함수의 볼록성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던 거 같은데 까먹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구분구적분은 무수히 많은 사각형으로 나누는 것이므로 반드시 정적분과 동일할뿐 해당 내용으로 알수있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구분구적분이 아닌 왼쪽, 오른쪽 리만합과 정적분에 값을 비교하여 증가 혹은 감소를 알아낼수있습니다

오른쪽리만합이 정적분보다 크다면 증가함수가 됩니다

오른쪽리만합이 정적분보다 작다면 감소함수이고

왼쪽리만합이 정적분보다 크다면 감소함수

왼쪽리만합이 정적분보다 작다면 증가함수라 할수있습니다

구분구적법, 적분

... 고등과정에서 정적분의 정의는 구분구적법에 의해 구한 극한값은 유일하고 이 때 이 극한값을 함수 f(x)의 정적분으로 정의한다. 이렇게 되어 있었는데 교육과정이 빠지면서...

리만적분 구분구적법

... 구분구적법 (Definite Integral): 구분구적법은 리만 적분의 한 형태로, 구간을 더 작은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의 함수 값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계산하는 방법 중...

구분구적법 한계

... 다항식까지만 가능하다 보시면 됩니다 분수함수나 무리함수 지수함수 로그함수등에 다른 함수들은 구분구적분으로 식은 세울수있어도 손으로 풀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수2 심화탐구 세특 구분구적법

... 구분구적법은 미적분의 기본 개념 중 하나로, 함수의 면적을 근사적으로 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수2 심화탐구 주제로 구분구적법을 선택하는 것은 괜찮은 선택입니다....

구분구적법, 실진법 관련 질문

... 요약하자면, 구분구적분은 함수의 면적을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아르키메데스의 실진법은 기하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은 단위의 합을 통해 근사적으로 결과를...

리만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의 정의 공식을 리만합으로 설명하시는 분이 있고 구분구적법을... 정의된 함수 f(x)와 닫힌구간 [xₖ,xₖ₋₁] 안의 임의의 실수 cₖ에 대하여, 닫힌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