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숫자 계산하기

유효숫자 계산하기

작성일 2023.03.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 식의 유효숫가 계산과정이 궁금합니다



#유효숫자 계산하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유효숫자 계산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유효숫자란 측정을 통해 기록되는 숫자 중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는 숫자를 말합니다.

유효숫자 판정은 다음의 기준을 따릅니다.

- 모든 측정값이 0이 아닌 숫자로 구성된 경우는 모두 유효숫자입니다.

- 0이 아닌 숫자로 둘러싸인 0은 유효숫자입니다.

- 소수점 자릿수를 표현하는 0은 유효숫자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 소수점 끝에 존재하는 0은 유효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8.798과 8.112는 각각 유효숫자가 4개이고, -8.742는 유효숫자가 5개입니다.

유효숫자 계산은 괄호 안 → 곱셈, 나눗셈 → 덧셈, 뺄셈으로 합니다.

연산을 통해 유효숫자의 개수가 변할 경우, 유효숫자 밑의 자리에서 반올림을 합니다.

덧셈과 뺄셈의 경우에는 소수점 자리를 맞춰서 계산하고, 가장 작은 자리에서 반올림합니다.

예를 들어,

8.798 - 8.742 = 0.056

8.112 - (-8.742) = 16.854

곱셉과 나눗셈의 경우에는 곱하거나 나누기 전에 각 수의 유효숫자 개수를 확인하고, 그 중 가장 작은 개수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를 맞춥니다.

예를 들어,

(0.056)2 = (5.6 x 10^-2)^2 = (5.6)^2 x (10^-4) = (31.36) x (10^-4) ≒ (3 x 10^-1) x (10^-4) = **3 x 10^-5**

(16.854) ÷ (0.056) ≒ (1 x 10+1) ÷ (6 x 10^-2) = **200**

따라서 주어진 식 √((8.798 -8.742)^2 + (8.112 - (-8.742))^2 ) ÷ **2** 의 결과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0.056)^2 + (16.854)^2 ) ÷ **2** ≒ √((**3 x 10^-5**) + (**200**) ^2 ) ÷ **2** ≒ √(**40000**) ÷ **2** ≒ **100**

결론적으로 이 식의 결과값은 **100** 이며,

이 값의 유효숫자는 1개입니다.

왜냐하면 나눗셈의 유효숫자 규칙에 따라 2의 유효숫자가 1개이므로, 결과값의 유효숫자도 1개로 맞춰야 하기 때문입니다 .

이렇게 유효숫자 계산법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유효 숫자 개념과 계산 방법 예시 자료 - ilovemyage. https://ballpen.blog/%ec%9c%a0%ed%9a%a8-%ec%88%ab%ec%9e%90-%ea%b3%84%ec%82%b0-%eb%b0%a9%eb%b2%95/

유효숫자의 기본 규칙 및 계산방법 : 블로그. https://m.blog.naver.com/ryu091011/110032726404

유효숫자(Significant figures). https://allgo77.tistory.com/41

일반화학 / 기초 (3) - 유효숫자 계산 방법 :: 캣미스트리. https://catmistry.tistory.com/4

유효 숫자 계산 예제 - ilovemyage. https://ballpen.blog/%EC%9C%A0%ED%9A%A8-%EC%88%AB%EC%9E%90-%EA%B3%84%EC%82%B0-%EC%98%88%EC%A0%9C/

유효숫자 계산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반올림 설명 및 풀이 .... https://bing.com/search?q=%ec%9c%a0%ed%9a%a8%ec%88%ab%ec%9e%90+%ea%b3%84%ec%82%b0%eb%b2%95

유효숫자 계산과정

... x-yz 면 yz 계산값은 유효숫자 안맞추고 x-yz 하는거죠? yz의 마지막 유효숫자의 자리수가 x보다 크면 yz의 자리수에 맞춰서 정리하시면 되고, x보다 작으면 x의 자리수에...

유효숫자 계산

... 더하기와 빼기가 포함된 계산에서는 최종 답의 유효 숫자는 가장 적은 유효 숫자를 가진 피연산자와 동일합니다. 따라서 (1.82x0.7)+(10.9/2.1)의 경우 0.7이 두 개의 유효...

유효숫자 계산 질문

... 유효숫자 계산으로는 300이라고 쓰는게 맞습니다. 한번 생각해보세요. 만약 0.1이 실제로는 0.14였다면, 388.888···이 되고, 참값이 0.05였다면, 138.888····이 되기...

유효숫자 계산

... 18.7 - 17.1을 보시면, 덧셈/뺄셈의 유효숫자는 소수점만 맞추면 되기 때문에, 계산유효숫자를 적용하면, 6.6 이 됩니다. 이를 다시 곱셈/나눗셈에 적용하면...

화학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할때 압력, 부피, 온도중에 뭐가 유효숫자 개수에 고려되나요? 보통은 모든 유효숫자를 맞춰주는 편입니다. 지금 문제에서도 보이듯이 mol수, 압력, 온도의...

유효숫자 맞춰서 계산하기

0.1234-0.111을 유효숫자 맞춰서 계산하면 0.0124인가요 아님 0.012인가요 유효숫자는 소수점 아래 길이가 짧은 쪽에 맞추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드신 수...

유효숫자 계산

... 만약 온도가 아닌 100 + 273을 유효숫자를 고려해 계산하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하죠? 100.이면 일의 숫자까지 유효숫자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절대온도로...

화학 유효숫자계산

... 본래 수학적으로 곱셈에 의한 유효숫자 계산은 "계산결과가 계산에 참여한 값들 중 유효숫자가 가장 적은 값의 유효숫자와 같게 한다." 이므로 본래...

유효숫자 계산

사진처럼 3.56×1.4를 예시로 들면 1.4는 유효숫자가 2개니까 제일 작은 유효숫자 2개를 구하면 되잖아요 이때 계산한 답은 4.984 9는 홀수니까 8을 버리기 전에소숫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