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교화 과정

정규직교화 과정

작성일 2020.05.3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정규직교화 과정을
외적이랑 그램-슈미트과정으로 하는 게
왜 결과가 다른지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같은 식이어도 답이 다르게 나오는데
둘 다 맞는 건가요


#정규직교화 과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규직교화 과정을

외적이랑 그램-슈미트과정으로 하는 게

왜 결과가 다른지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그람슈미트 과정은 3개의 벡터가 주어져서 그부분을 수직으로 만드는 부분이라서 계수부분이

외적으로 한것과 다를수 있습니다 물론 상수배하면 같은 벡터로 표현은 가능합니다

그리고 같은 식이어도 답이 다르게 나오는데

둘 다 맞는 건가요

네 a b c벡터가 있을때 a b c 로 할수도 있고 b c a 로 할수도 있고 선택에따라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선형대수 질문이요(고유치)

... gram-schmidt process(정규직교화과정) 를 이용하여 만약 행렬 A의 정규직교기저로 바꿀때요..... 처음에 u_1=a_1/|a_1| 과정에서 a_1은 A의 열벡터인가요? 아니면 A의...

(내공 드림)....선형대수학 문제..

... Gram-Schmidt 정규직교화과정을 이용하여 R^3 의 기저 {(1,-1,0),(1,1,-1),(1,-2,1)} 을 정규직교기저로 변환하라. 꼭좀 부탁드립니다..... a1=(1, -1 ,0), a2=(1, 1...

기저 구하기좀 질문할께요~ 알려주세요 ~~

... 두번째로, (1,0,0)에서 시작하는 정규직교기저를 계산하려면, Gram-Schmidt 정규직교화과정을 활용하시면 됩니다. 첫번째 벡터 (1,0,0)은 이미 정규벡터(길이가 1)이므로...

도움주신다하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ㅠㅠ

... 알파는 왜 나온건지 마지막은 형태만 보면 정규직교화입니다. 음 아무래도 인터넷에서 직교행렬과 정규직교화, 그람슈미트과정을 찾아보셔요! 도움이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