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환경오염방지

사회-환경오염방지

작성일 2009.07.1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국이우선시할과제...

 

환경오염방지에관해서 길게 알려주세요 부탁

>< 乃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오염은 여러가지에서 나타난다.
우리는 버릴때는 무심코 버리지만 결국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
가정과 학교에서는,분리수거를 철저히 해야 한다.
한국인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은 더욱 무관심 하게 마구 사용하고 버리는 나쁜 습관이 있다.
1.종이.
종이는 발암물질이 있는 종이도 있다고 방송에 나왔다.
이런 것은 만드는 과정에서 특히 재활용의 경우 그런 경우가 많은데 화학 처리를 나쁜 약품을 사용하는 데서 그렀다.
사용한 종이는 분리하여 버리되 오염이 되는 물질을 딱았을 때는 재활용이 불가하다는 것을 알고 잘 처리 해야 한다.
화학 약품,폐기름등을 딱은 것은 오염을 더욱 시킨다.
기름기를 딱은 종이도 같다.
이런 것을 딱은 종이를 마구 아무곳에 버리는 습관을 없애야 한다.

2.세척제.
세척제로는 이물질을 딱는 화학 약품을 비롯해 세탁 비누가루,그릇 세척제(트리오등),구두약,페인트를 지우는 약품등 이다.
이런 것이 하수구를 통해서 버려지면 아주 없어지는 걸로 착각하여 마구 사용하여 흘려 보내는데 그렇지 않다.
공기나 물은 결국에는 우리에게 다시 돌아 온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다물도 돌고,비를 통해서 여러 지하를 통해서 우리들에게 돌아 온다는 것을 알고 하수가 오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한다.

3.병,켄,프라스틱처리.
이런 물질도 문제 이지만 안에 들어있을수 있는 오m 물질 이다.
프라스틱의 경우 태우는 것은 금물 이다.
공기를 오염시키는 큰 문제가 된다.
병 같은 것은 깨졌을 경우 자연보다 사람에게 상처를 주게 되는 요임이 된다.
냇가나 산에서 없어지지않고 오랬동안 위험물질이 된다.
이런것은 재활용이 되므로 항시 분리 수거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4.종이 남용.
종이는 원료를 수입해 오는 것이다.
종이를 만드는 과정도 많은 과정을 거치고 약품도 사용된다,
그러므로 종이 한장이라고 우습게 보고 무심결에 마구 버리면 안된다.
과거에는 종이를 주어 모아 파는 사람을 넝마 라고 하여 천하게 여겼으나 휼륭한 사람들이다.
경제를 살리는 자들이 된것이다.
현재 한국에는 중국산이 안들어온 종류가 없을 정도다.
먹는것을 비롯해 생활용품이 거의 다 들어오고 있다.
나무젓가락,장의용품,안들어오는게 없을 정도다.
그러므로 우리는 종이 한장 이라도 오염을 시키지 말고 무심코 버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런 낭비는 경제를 좀먹는 요인이 된다.

5.땅오염
도시에서는 드물지만 땅이 보이는 지역에 사는 경우 오염 되는것도 무조건 땅에 묻어 버리면 보이지 않아서 상관이 없는줄 잘못알고 뭍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특히 화학 물질은 더욱 땅을 오염시키고 토질을 나쁘게 만들어 농사를 지을수 없게 되고 지하수를 오염 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매장은 금해야 한다.
방송에도 나오듯이 차로 마구 몰래 버리는 업자들은 엄벌에 처해야 한다.
자연 강산을 오염 시키는것은 우리의 생명을 위헙 하는 것이 되기 때문 이다.
이런 오염은 신생아에게도 영향을 주고 음식으로 들어 왔을때는 여러가지 질병을 유발시킨다.

6.대기오염.
오염 물질이 뭍은 종이나 헝겁,프라스틱 등을 태우거나 화학 제품이 뭍은 것을 태울 경우는 치명적인 오염이 된다.
대기는 물론 이고 땅으로 흡수되어 오염 요인이 된다.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

1. 샴푸나 세제를 쓰지 않는다.
2. 린스대신 식초를 써 본다.
3. 변기 세정제 대신 붕산 한스푼을 넣는다.
4. 가까운 거리는 걸어간다.
5. 먼거리는 되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6. 장바구니를 들고 다닌다.
7. CFC가 나오는 냉장고나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다.
8. 종이를 아껴서 쓴다.
9. 전기를 절약한다.
10. 유기농 농산물을 먹는다.
11. 될수있으면 수입식품은 먹지 않는다.
12. 음식물쓰레기는 최대한 부피를 줄여서 물기를 뺀 후에 배출한다.
13. 쌀뜨물은 그냥 버리지 말고 화초에 물을 준다.
14. 환경마크, 재활용마크가 붙어있는 제품을 산다.
15. 일회용품은 되도록 쓰지 않는다.
16. 패스트푸드점에 가지 않는다.(일회용품 엄청 많이 나옴.)
환경오염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위의 사항들을 다는 못하더라도 몇가지만 실천하려고 노력해 보세요.
 
 
 
생활 속의 작은 실천

 우리는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파괴되어 가는 자연과 그것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으로 여러가지 것들을 '환경과 자연'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다른 누군가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다. '나하나 쯤이야'하는 잘못된 의식이 우리의 자연을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일상 생활 속에서 어떻게 해야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을까?

그것은 바로 절약정신과 재활용에 대한 의지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잘 몰라서 무관심했다면 다소 이해가 될 수 있을지 모르나, 이제 알고 난 다음에도 관심없이 내버려둔다면 내 주변의 환경은 누가 지킬 것이며, 또한 얼마나 부끄러운 일이겠는가? 하지만 자연을 사랑하고 환경을 보전하고자 하는 우리의 조그만 관심과 실천이 모이면 파괴된 자연, 오염된 환경을 되살릴 수 있다. 환경은 개인이 이기적 욕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대상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아끼고 가꾸어야 할 공동의 재산이다

현대에 사는 우리들은 문명의 이기를 사용하여 편리하고 안락하게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명의 이기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낭비를 방지하는 길이 환경을 보호하는 생활자세라 할 수 있다.
합성세제는 하천이 부영양화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또한 합성세제를 정량 이상 넣는다고 해서 세척력이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세제를 풀어 넣기 전에 세탁기에 물만 채워 1분 정도 애벌빨래를 하면 더러움의 절반은 뺄 수 있습니다.

2) 생활 속의 작은 지혜

  • BOD단위로 계산할 때 가정하수 중 오염도가 가장 높은 것은 폐식용유입니다.
    → 폐식용유를 모아 가성소다를 섞어 저공해 재생비누를 만들어 사용하거나 일정량을 모아 우리시 환경자원관리사업소 재활용계(735-3567)로 연락하시면 무상수거합니다.
  • 하수구가 막혔을 경우 사용하는 화학약품은 머리카락, 음식물찌꺼기를 녹여야 하기 때문에 강산성물질을 첨가하게 됩니다. 이것이 그대로 들어가면 생태균형을 깨뜨리게 됩니다.
    → 하수구를 뚫을 경우 꽉 막힌 경우가 아니라면 뜨거운 물과 베이킹소다 반컵으로 해결합시다.
  • 사용하고 난 지하수 구멍을 그대로 방치하면 오염물질이 지하수로 유입되는 통로를 만들어 주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반드시 콘크리트 등으로 구멍을 막아 오염물질의 지하 유입을 차단합시다.
  • 1991년에 소비된 일회용 기저귀는 모두 6억장으로 무게로는 3천톤에 이르며 금액으로는 720억원 어치나 됩니다. 일회용 기저귀가 자연상태에서 완전분해 되는데는 100년이 걸립니다.
    → 집에서는 헝겊기저귀를 사용하고 외출할 때만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합시다.
  • 리필 팩 제품은 제품 하나의 가격이 용기를 포함한 가격보다는 세제류는 15% 정도, 화장품류는 20% 정도 인하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 리필 팩 제품을 사용합시다.
  • 가정쓰레기 중 포장용기나 포장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게로는 16%, 부피로는 60% 이상입니다.
    → 상품은 포장이 없는 것, 간단하게 포장된 것을 선택하고 과대포장은 거절합시다.

  • 식, 음료병을 보면 분해가 어려운 물질로 코팅되어 있거나 알루미늄 호일로 만든 상표가 붙어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보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폐기물 처리가 곤란해지므로 기업은 불필요한 상표 부착을 최소화하고 소비자들은 환경을 생각해서 제품을 선택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1년 종이 소비량은 약 153㎏으로 원목 26그루에 15년 정도 자란 나무로 700개 정도의 종이봉지를 만들 수 있으며 우리나라 사람 모두가 한 개씩 종이봉지를 아끼면 약 6만 4천 그루의 나무를 살릴 수 있습니다. 폐지로 새종이를 만들게 되면 나무로 만드는 것보다 에너지 소비가 30 ~ 50% 정도 줄어들며, 종이생산과 관련한 대기오염을 95%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 폐지 수집에 적극 협조합시다. 신문용지만 별도로 수거하면 다시 신문용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연료 대신에 버려진 유리를 재생하면 유리생산과 관련한 대기오염은 20%, 수질오염은 30%를 줄일 수 있습니다. 잘게 부순 유리를 녹이는 데에는 모래를 녹일 때에 비해 1톤당 135ℓ의 석유가 절약됩니다.
    → 유리제품 분리수거에 적극 협조합시다.

  • 유리 1톤을 만들기 위해서는 약 163㎏의 폐기물이 생기는데 유리를 50% 정도 재활용하게 되면 채굴시 폐기물을 80%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 유리제품은 색깔별로 분리하여 수집합시다.

  • 알루미늄을 재생하여 다시 알루미늄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새로운 알루미늄을 만들때의 10분의 1밖에 들지 않습니다.
    → 쓰고 난 알루미늄캔은 내용을 깨끗이 버리고 납작하게 눌러서 재활용 수집용기에 넣습니다.

  • 1994년 음식물 쓰레기 1인당 배출량은 0.41㎏/일이며, 평균배출량은 18,055톤/일로 전체 생활쓰레기 배출량의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돈으로 환산하면 7 ~ 8조원에 달하는 엄청난 액수라고 합니다.
    → 음식을 준비할 때 버리는 양을 계산해서 남지 않게 합시다.

  • 폐품 재활용 아이디어
    1. 헌 담요는 다림질판이나 방석으로
    2. 가죽조각은 탁상이나 식탁 위에 놓는 전기스탠드, 재떨이 밑에 붙여서 쓰면 편리함
    3. 빈 커피병 뚜껑은 부엌 찬장 밑에 고정시켜 조미료 통 등을 넣은 장치로 활용
    4. 헌 스웨터의 소매와 허리를 이용하여 양변기 커버 씌우개로
    5. 랩이나 호일 속대는 스카프 말이나 졸업장 케이스로

  • 자동차 1대가 내뿜는 배기가스(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이황산가스)는 평균 1톤 정도이며 교통체증이 심한 곳에서는 배기가스 배출량이 최고 4배까지 증가
    →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자가용 승용차 10부제 운행에 적극 참여합시다.

  • 미국내에 있는 기업에서는 연간 169만조 장 이상이나 되는 종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중 30% 정도는 미숙한 기계사용으로 잘못 복사되어 나온 종이라고 합니다.

  • 수도꼭지, 양변기, 샤워기 등을 절수형 제품으로 사용하면 물소비량을 10 ~ 30%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3) 국가적 환경보전

최근, 환경 문제가 한 지역뿐만 아니라 온 나라, 나아가 지구 전체로 확산됨에 따라, 국가적, 국제적 수준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기업의 노력이 중요하다. 단기적으로는 환경 오염 방지 시설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시설을 설치, 가동함으로써 폐기물을 정화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또, 장기적으로는 환경 과학-기술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산업 구조를 저에너지, 저오염 산업으로 바꾸는 것이다.

사회-환경오염방지

... 환경오염방지에관해서 길게 알려주세요 부탁 >< 乃 오염은 여러가지에서 나타난다. 우리는 버릴때는 무심코 버리지만 결국 우리에게 다시 돌아온다. 가정과 학교에서는...

사회책 85쪽 환경에서 환경 오염 방지...

환경 오염 방지 시설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방지 시설의 종류와 그 것에 대한 것들을 아는 것은 다 말해주십시오. 급하니까 내공은 100입니다. 되도록이면 1시간 안에는...

환경오염방지시설종류

환경오염방지시설의종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사회숙제때문에 그래서요,되도록 빨리요!! 내공은 드릴게요..꼭좀 알려주세요!! 대기오염 방지시설)) ▣ Multi Cyclon 각종...

환경오염 방지 대책에 대하여

환경오염 방지 대책에 대하여 알려주는 사이트 부탁드립니다. 환경부(www.me.... kr/) 환경신문 환경, 경제, 사회 등 기사 수록 http://www.fksm.co.kr/ 환경일보...

환경오염 방지기금을 선진국과...

중학교 1학년 사회토론을 해야되는데 저 위에 주제거든요. 이유 3가지만 주실수... 선진국은 선진화 되면서 수많은 환경을 파괴해 왔으니 그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기금을...

국가차원과 기업차원의 환경오염방지대...

... 1.국가차원의 환경오염방지하는 방법 2.기업차원의 환경오염방지하는 방법 3.우리가... 국제사회의 요구가 드세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비하여 정부는 1999년부터...

환경오염을 기능론 갈등론

사회문화 과목입니다 환경오염을 기능론과 갈등론으로 나눠서 말해야해요 도대체... 부족하고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을 중시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 드려요...

환경오염[대기오염,수질오염,토양오염]

... 우리나라의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단체좀 알려주시고요.. 부탁 빨리 ▶ 환경오염... 그 산업화의 한계와 모순에서 발생된 생태위기에 대한 사회적 대인으로서 생태마을이...

환경오염의 해결방안

... 위해 사회에 환원) - 환경오염방지 및 배출억제를 위해 각종 시설 장비 등을 설치 및 점검 철저 - 생산되는 제품의 폐기물을 회수하고 소요되는 경비를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