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요하천,우리나라 주요 댐의 저수율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주요하천,우리나라 주요 댐의 저수율에 대하여

작성일 2005.11.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우리나라 주요 하천에 대해서

 

2.우리나라 주요댐의 저수율에대해서...

 

찾기가 무지힘들어서요 ^^;

 

내일 쓸거라서 오늘안에 꼭찾아주세요

 

내공 100걸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한국의 하천환경

 

 

 

우리 나라는 면적에 비하여 크고 작은 하천이 많이 흐른다. 우리 나라의 동쪽에는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이 치우쳐 있어 서 남쪽으로 큰 강이 많이 있고 동해안 쪽으로는 두만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이 급경사를 이루어 짧은 하천으로 흐르고 있다.  한국의 11대 하천의 유로 연장을 크기로 보면 압록강(806.5km), 두만강(610km), 낙동강(513.5km), 한강(497.3km), 대동강(441.5km), 금강(397.3km), 청천강(207.5km), 임진강(272km), 섬진강(225km), 예성강(187.4km), 영산강(138.8km)이다.        

한국의 하천은 유량의 변동이 심하여 연간 강수량의 약 40%는 증발되거나 지하로 침투되고 나머지가 하천을 통하여 바다에 유출된다. 이전에는 홍수시 유출량의 거의 70%가 유출되어 홍수와 가뭄이 매년 발생하였으나 다목적 댐들이 건설된 뒤에는 총 유출량의 60% 수준으로 낮아졌고 수자원 이용율도 높아졌다. 우리 나라 하천의 지형적 특징은 노년기 평형하천으로 꼬불꼬불하게 흐르고 있으나 하류부의 자유사행은 충적평야가 넓지 못하여 현저하지 않고, 최근 개수공사에 의하여 유로가 직선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중류부는 사행정도가 현저한 편이다.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은 홍수시에 다량의 토사를 운반하지만 조차가 커서 삼각주를 이루지 못하고 간석지가 비교적 넓게 나타난다. 그러나 낙동강은 투사유출이 많은데다 하구의 조차가 비교적 작아 김해평야와 같은 삼각주를 형성하였다. .

 

 

2. 물고기의 다양성

 

 

 

물고기는 물 속에서 아가미로 호흡하고 지느러미로 운동하면서 사는 척추동물로 공기호흡을 하는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의 모양이나 생활방법이 구별된다. 물고기도 다른 척추동물과 같이 생활사 초기에는 비슷하지만 발생이 진행되면서 점점 달라지게 된다. 물고기가 지구상에 처음 나타나게 된 것은 4억 5천 만년전인 고생대 물 속에서 턱이 없는 갑주어로부터 오랜 세월 지내오면서 연골어물고기는 물 속에서 아가미로 호흡하고 지느러미로 운동하면서 사는 척추동물로 공기호흡을 하는 양서류, 파충류, 조류 및 포유류의 모양이나 생활방법이 구별된다.

물고기도 다른 척추동물과 같이 생활사 초기에는 비슷하지만 발생이 진행되면서 점점 달라지게 된다. 물고기가 지구상에 처음 나타나게 된 것은 4억 5천 만년전인 고생대 물 속에서 턱이 없는 갑주어로부터 오랜 세월 지내오면서 연골어류와 경골어류로 나누어져 바다와 육지의 민물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 분화하여 현재 알려진 종류만 해도 약 2만 4천 여종이나 된다. 민물고기는 송사리와 같이 몸 길이가 3cm 정로의 작은 것으로 부터 초어처럼 1m가 넘는 큰 종류도 있고, 수명도 은어나 빙어처럼 1년생으로 부터 잉어처럼 수 십년 사는 종류도 있다.

물고기의 모양도 아주 흔한 방추형을 비롯하여 가늘고 긴 뱀장어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형이 있고 색깔도 종류마다 조금씩 다르게 되어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이 사는 환경도 강 상류, 중류, 하류, 댐과 저수지, 여울과 웅덩이에 따라 다른 종류가 살고 있다. 사람들이 민물고기에 관심을 갖는 것은 물고기가 사는 물 속 환경이 사람들이 사는 생활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련되고 식품에 직접 이용되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원일 뿐만 아니라, 낚시나 관상어 사육처럼 사람들의 심미적 오락적 측면에서도 이용되고, 의학과 생물학의 연구를 위한 실험동물로도 널리 사용하기 때문이다.

물고기를 포함한 자연 속의 모든 동식물은 수억 년 혹은 수천만 년의 긴 세월을 지내오는 동안 기후적, 지리적 환경에 적응한 유전자들의 집합으로 지역마다 고유한 생물종이 만들어져 일정한 지역에만 출현하기도 하고 지질적인 사건에 의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분포된다. 이러한 생물종이 모여 어떤 생물군집이나 생태계를 만들어 현재와 같은 다양한 자연환경이 형성되었으나 최근 환경오염과 개발 등으로 다양성이 점점 감소되고 있어 생태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Nelson(1994)은 현재 지구상에 알려진 어류는 모두 57목 482과 4,248속, 24,618종이고 그 가운데 담수어류는 9,966종이라 하였다. 최근 우리 나라에 서식하는 물고기 종류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1목 203과 584속 961종으로 알려졌고 민물고기는 50여종의 한국 특산종을 포함한 196종이었다. 그 외에 외국에서 도입되어 우리 나라 하천에 사는 민물고기도 11종이나 된다. 이와 같은 생물 종, 유전자 그리고 생태계가 각각 달라 여러 종류로 나타나는 것을 생물다양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생물 종은 종류마다 각각 다른 유전자를 지니고 있고 또 각각 다른 장소에서 서로 다른 일을 수행하면서 생태계가 평형된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민물고기의 출현은 하천 생태계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류와 경골어류로 나누어져 바다와 육지의 민물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 분화하여 현재 알려진 종류만 해도 약 2만 4천 여종이나 된다. 민물고기는 송사리와 같이 몸 길이가 3cm 정로의 작은 것으로 부터 초어처럼 1m가 넘는 큰 종류도 있고, 수명도 은어나 빙어처럼 1년생으로 부터 잉어처럼 수 십년 사는 종류도 있다.

물고기의 모양도 아주 흔한 방추형을 비롯하여 가늘고 긴 뱀장어형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형이 있고 색깔도 종류마다 조금씩 다르게 되어 구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이 사는 환경도 강 상류, 중류, 하류, 댐과 저수지, 여울과 웅덩이에 따라 다른 종류가 살고 있다. 사람들이 민물고기에 관심을 갖는 것은 물고기가 사는 물 속 환경이 사람들이 사는 생활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관련되고 식품에 직접 이용되어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원일 뿐만 아니라, 낚시나 관상어 사육처럼 사람들의 심미적 오락적 측면에서도 이용되고, 의학과 생물학의 연구를 위한 실험동물로도 널리 사용하기 때문이다.

물고기를 포함한 자연 속의 모든 동식물은 수억 년 혹은 수천만 년의 긴 세월을 지내오는 동안 기후적, 지리적 환경에 적응한 유전자들의 집합으로 지역마다 고유한 생물종이 만들어져 일정한 지역에만 출현하기도 하고 지질적인 사건에 의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분포된다. 이러한 생물종이 모여 어떤 생물군집이나 생태계를 만들어 현재와 같은 다양한 자연환경이 형성되었으나 최근 환경오염과 개발 등으로 다양성이 점점 감소되고 있어 생태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Nelson(1994)은 현재 지구상에 알려진 어류는 모두 57목 482과 4,248속, 24,618종이고 그 가운데 담수어류는 9,966종이라 하였다. 최근 우리 나라에 서식하는 물고기 종류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1목 203과 584속 961종으로 알려졌고 민물고기는 50여종의 한국 특산종을 포함한 196종이었다. 그 외에 외국에서 도입되어 우리 나라 하천에 사는 민물고기도 11종이나 된다. 이와 같은 생물 종, 유전자 그리고 생태계가 각각 달라 여러 종류로 나타나는 것을 생물다양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생물 종은 종류마다 각각 다른 유전자를 지니고 있고 또 각각 다른 장소에서 서로 다른 일을 수행하면서 생태계가 평형된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민물고기의 출현은 하천 생태계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하천의 기능*

일반적으로 하천은 지표수를 나르는 수로의 기능을 가지며 이를 통해 육지로부터 많은 양의 물질을 바다로 운반하는 물순환의 일부분이다. 또한 각종 동식물이 존재하는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특히 도시하천은 수변위락, 수변경관감상 등의 친수기능을 가지는 귀중한 공간자원이다.

기존 하천정비의 현황

인간은 산업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하천을 주로 이수와 치수에 중점을 두어 개조 및 관리하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하도의 직강화로 개발가용지는 많이 확보할 수 있었으나, 하천의 다양한 자연경관과 생태공간으로서의 가치가 점차 상실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 자연형 하천

조성 사례

최근 환경부 G7 프로젝트의 하나로 수행되어 국내 여건에 맞는 자연형하천 조성공법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었고, 지자체별로 활발하게 조성하고 있거나 추진중임.
- 양재천 학여울, 우면동 및 과천 구간 (한국건 설기술연구원)
- 양재천 도곡동 구간 (서울시 강남구청)
- 용인수지2지구 정평천 자연형하천조성 (한국토지공사)
- 수원천 옛모습 찾기 (수원시) 등


외국의 하천 정비 사례

▶ 일본의 '다자연형 하천 정비공법'
수변을 다양한 생물과 식생의 번식처로 간주하고 가능한
"자연에 가까운 하천 만들기"를 위한 하천정비를 실시하고
있음.




1.자연형 하천이란?

지금까지 국토의 도시화.산업화 과정에서 정비되어 온 하천은 이.치수 기능만을 고려한 단순 배수역할의 하천으로 전락되어 자연스럽게 사행하던 하천이 직강화 되거나 복개되고 호안은 식물이 자랄수 없는 콘크리트로 변하여 하천은 자정능력을 상실한 채 다양하게 천변에 서식하던 식생, 어류, 곤충 등은 사라져 갔다.

자연형 하천이란 인위적인 하천개발에서 탈피하여 자연 상태의 하천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이.치수 기능을 가지는 하천개발을 모토로 하며, 더 이상 우리 주변의 자연환경을 사람위주로 개발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키지 않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하천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2.인위적인 하천개발의 사례

직강화와 생태계 파괴의 인위적 하천개발
돌망태 공사로 수변생태계가 파괴된 하천

3.생태계를 배려한 자연형 하천개발의 사례

식생호안 조성과 친수환경을 높인 도심 자연형 하천

식생블록을 이용한 제방보호와 하천의생태계 조성

경관조성을 위해 초화류 식생을 도입한 자연형 하천

수변부의 수초와 반딧불이가 생태계 복원을 상징하는 하천

4.미래지향적 하천의 개발방향

-치수.방재면에서의 토목적 안전성 확보
-식생호안의 도입으로 하천생태계 복원
-수생식물의 도입으로 하천의 자연 정화능력 배양
-자연스런 수변경관과 친수환경의 조성으로 주민들의 휴식처 제공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미래지향적 환경의 창출
수자원 현황 및 특성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성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의 변화

  우리나라의 과거 100년간 연강수량 추이를 보면 최저 754mm(1939년)와 최고치 1,782mm(1998년) 2.4배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도서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연평균강수량은 1283mm로, 과거 약 100년에 걸친 추세를 보면 연간 강수량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60년대 이후 연강수량의 변동폭이 커져 가뭄과 홍수가 증가하고 있어, 기존 수자원 시설물에 의한 용수 공급과 홍수 방어능력을 취약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 료 :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설교통부, 2001.7)

  ■우리나라 강수량의 특징

  우리나라는 계절별, 연도별, 지역별 강수량의 편차가 심한 동시에,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이고, 하천경사가 급한 지리적 특성으로 홍수가 일시에 유출되며, 갈수기에는 유출량이 적어 하천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등 수자원의 이용면에서 불리한 자연조건을 안고 있다.   또한 연례행사처럼 홍수와 가뭄이 반복되고 있어 재해에 대한 안전망 확보를 위한 근본적인 치수대책 마련과 함께, 국민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다변화된 용수수요에 걸맞는 합리적인 수자원 이용방안이 요구된다.
▶자 료 : 댐건설장기계획(건설교통부, 2001.12)

우리나라의 강

■우리나라 10대 하천

이  름 유역면적(㎢) 유로연장(㎞) 연평균유출량(억㎥) 연평균강수량(㎜)
한  강 25,954 (35,770)* 494 189 1,301
낙동강 23,384 510 138 1,186
금  강 9,912 398 66 1,272
섬진강 4,960 224 39 1,412
영산강 3,468 137 27 1,318
안성천 1,656 60 13 1,269
삽교천 1,650 59 10 1,235
만경강 1,504 81 10 1,254
형산강 1,133 63 6 1,138
동진강 1,124 51 8 1,278

 ※ (  )안은 북한 지역을 포함한 한강의 유역면적임

    북한을 제외한 우리나라에서 유역면적과 연평균유출량을 기준으로 보면 한강이, 유로연장을 기준으로 보면 낙동강의 규모가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0대 하천중 유역내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곳은 섬진강이다.
  ▶자 료 : 한국하천일람(건설교통부, 2003)

하천 유량변동계수 비교

하천명 유량변동계수 하천명 유량변동계수
한  강  90(390) 테임즈강   8
낙동강 260(372) 세느강  34
금  강 190(300) 라인강  18
섬진강 270(390) 나일강  30
영산강 130(320) 미시시피강   3
양자강  22 요도강 114

  ※ 1. 하천 유량변동계수는 해당하천의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비로 표시됨
     2. (  )는 댐에 의한 홍수 조절을 하기 전의 유량변동계수임
    우리나라 하천은 외국의 주요 하천에 비해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의 격차가 매우 커 연중 하천에 흐르는 수량 변동이 심하다. 이것도 다목적댐이 건설되기 전에는 4대강 평균치가 300이상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특성은 하천의 물 이용 여건이 유럽이나 다른 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함을 단적으로 말해 준다.
  또한 우리나라 하천유역에는 산지가 많아 홍수기에는 비가 내린 후 1~3일 이내에 상류의 물이 하구에 도달하므로, 이수측면에서 보면 강수 특성상 홍수기에 집중되는 강우를 모아 갈수기 동안 사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자 료 : 1. 수자원장기종합계획(건설교통부, 2001.7)
          2. '98수자원편람(일본수자원협회, 1998)
          3. 재해극복 30년사(내무부 중앙재해대책본부)

유역 별로는 금강 유역의 댐 저수율(저수량)이 33.6%(7억7400만t)로 가장 낮고 섬진강 유역 34.6%(4600만t), 낙동강 유역 37.2%(11억2200만t), 한강 유역 43.8%(25억1200만t) 등으로 나타났다.

 

 

댐의 저수율

 

댐 별로는 ◇한강 유역(저수량)이 ▲소양강 댐 50.9%(14억7700만t) ▲충주댐36.1%(9억9400만t) ▲횡성댐 47.1%(4천만t) ◇낙동강 유역이 ▲안동댐 36.9%(4억6천만t) ▲임하댐 40.5%(2억4100만t) ▲합천댐 40.3%(3억1800만t) ▲남강댐 24.5%(7500만t) ▲밀양댐 36.7%(2700만t) ◇금강 유역이 ▲용담댐 23.7%(1억9200만t) ▲대청댐 39.0%(5억8100만t) ◇섬진강 유역이 ▲섬진강댐 25.3%(1억1700만t) ▲주암댐 32.6%(1억4900만t) ◇기타 ▲부안댐 59.6%(3천만t) 등으로 예년에 비해 15%∼30%가량 낮은 상태다.


이처럼 전국 다목적댐의 저수율이 예년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은 각 댐 유역의 올평균 강우량이 890㎜로 예년 1천244㎜의 71.5%, 전년 1천160㎜의 76.7%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주요하천,우리나라 주요 댐의 저수율에...

1.우리나라 주요 하천에 대해서 2.우리나라 주요댐의 저수율에대해서... 찾기가... 재해극복 30년사(내무부 중앙재해대책본부) 유역 별로는 금강 유역의 저수율(저수량)...

우리나라 주요 하천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의 종류에 대해서알려주세요 1. 한국의 하천환경 우리 나라는 면적에 비하여 크고 작은 하천이 많이 흐른다. 우리 나라의 동쪽에는 태백산맥과...

우리나라 주요 공업 지역 6곳에 대하여

... 우리나라 주요 공업 지역 6곳(수도권, 남동 임해, 충청, 태백산, 영남 내륙, 호남)의 지역별 주료 도시와 발달한 산업 및 특징을 알아오는게 숙제인데, 뭔지 너무 모르겠어요.....

우리나라 중요산맥 및 산,주요하천(강)...

우리나라 중요산맥 및 산,주요하천(강),주요 평야,주요고개 알려주셈 내공 50드리고... (明川)·수통(水通)·무주댐·용담(龍潭)·장수댐 등이 계획 중에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한 강의 급수

우리나라의 주요한 강들의 물급수..(한강, 섬진강... <수자원이용실태> ◆ 하천 우리나라는 3,960여개의... 나머지는 , 하구언, 저수지등 인공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우리나라주요산과강을알려주세요

님들아 우리나라주요산과강 20가지씩 알려주세여... 감조하천(感潮河川)으로 홍수의 피해가 많다. 기후는 한반도... (明川)·수통(水通)·무주댐·용담(龍潭)·장수댐 등이...

우리나라의 수력 발전용 댐에 대하여

... 수로식 발전소 하천의 경사에 의한 낙차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하천의 상... 우리 나라의 수력 발전소는 거의 모두가 전술한 식 발전소이지만 북한강 상류에...

우리 나라 제1차,2차,3차 국토 종합 개발...

우리 나라 제1차,2차,3차 국토 종합 개발 사업의 주요 성과에 대하여 오늘까지 부탁드려요~~ 제1차 국토종합개발 제... 산발적인 하천유역개발이나 자원개발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주요 석탑조사하기 (건축시기...

우리나라 주요 석탑(건축시기,건축장소)까지 조사해야... 데 대하여, 한강은 서진(西進)하기 때문에 명당수와... 곡류하천 형태를 취한다. 이때 현재의 동작·영등포·노량진...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

우리나라 하천의 특징에 대하여 알고 싶어요. 우리나라 10대 하천주요 특징은 ? 북한을 제외한 우리나라에서 유역면적과 연평균유출량을 기준으로 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