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지형성 강우 즉 푄현상에 대해서!

한국지리 지형성 강우 즉 푄현상에 대해서!

작성일 2007.09.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푄현상에서 바람받이 사면에서 공기가 상승하고나서

바람의지사면에서 공기가 하강하잖아요?

 

그런데 이때 고온건조한 바람이 분다고 하는데요,

 

비를 뿌렸기때문에 건조해졌다는건 알겠는데,

왜 고온이 된 거죠??

 

 

지리 선생님 말씀을 들어보니깐 공기가 상승할때 흡수했던 열들을

하강할때 내 놓기 때문이라고 하시던데,

 

 

 

뭐.. 단열팽창 이런거랑 관련지어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한국지리 지형성 강수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공기에는 건조한 공기가 있고,수증기가 많은 습한공기가 있습니다.둘은 상승함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건조한 공기쪽이 더 빨리 올라 갑니다.그 이유는 습한 공기의 경우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합니다,(비열로 생각해도 가능합니다,,,습한곳과 건조한곳 어느쪽이 기온이 빨리 올라가나요?,건조한쪽이 기온이 빨리 올라가죠)

 

 

푄현상으로 설명하면

 

습기를 많이 머금은 습한 공기가 높은 산을 만나서 상승을 하지요습한공기는 상승을 하면서 온도가 떨어지는데 위에서 설명했듯이 적은 비율로 떨어집니다.그리고 응결된 물방울들은 비가되어 땅에 떨어집니다.

 

여기서 산을 넘어가기 전까지 떨어진 온도는 100m 올라갈때 0.5~0.6정도 하강합니다.비를 다 뿌리고 나서 산을 넘을 시점이 되면. 공기는 습기가 많이 줄어든 건조한 공기가 됩니다.

 

 건조한 공기는 습한공기에 비해 온도변화가 크지요.  즉 같은 높이를 다시 내려가는데내려갈때는 건조한

공기라 온도변화가 커서 산 아래로 내려간 지점에서는 온도가 100m 하강시 기온이 1도씩 상승합니다..

 

 

푄형상은 지형성 강우를 표현할때도 자주 사용 합니다.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바람받이 쪽에서는 강수동반 반대쪽 (바람의지)는 고온건조로 생각하면 될듯..

 

예)동해가 서해에 비해 겨울에 기온이 높은 이유도 같은 원리로 생각하면 되죠,,시베리아 기단이  태백산맥을 만나 성격이 달라지는것정도 의 원리만 아시면 될듯,여름철 다우지도 같은 원리로 이해 하시고 소우지 인 대구도 이원리를 적용해 보시면 쉽게 접근 가능할듯,,,,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높새바람
 
원래 유럽 알프스지방의 골짜기에 불어내리는 국지풍()을 가리켰는데, 현재는 널리 이런 종류의 바람을 가리킨다. 어원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하는데, 하나는 라틴어의 파보니우스(favonius)에서 전화한 것으로, 초봄에 불어 식물의 생육을 돕는 서풍(西)을 말한다. 다른 하나는 고트어의 폰(fôn)에서 왔다는 것으로, 불을 뜻한다. 미국에서는 치누크(chinook)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태백산맥을 넘어온 푄을 높새바람이라고 한다.
푄이 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먼저 바람받이(:windward) 쪽으로 기류가 불어올라갈 때에는 수증기를 응결시키면서 상승해가므로, 이때에는 수증기로부터의 숨은열[]의 작용에 의하여 기온은 대략 100m에 대하여 0.5℃의 비율만 내려간다.
그러나 바람받이 쪽의 산에서 비를 내리게 한 공기가 산의 바람의지(:leeward) 쪽으로 불어내릴 경우에는 숨은열의 영향은 생각할 수 없으므로 100m에 대해 1℃의 비율로 기온이 상승한다. 바람받이 쪽과 바람의지 쪽에서의 이러한 기온체감률()의 차에 의하여 공기가 산을 넘기 전부터 포화되어 있는 경우는 1,000m의 산을 넘을 때가 5℃, 2,000m이면 10℃, 3,000m이면 15℃나 기온이 출발점보다 상승하게 된다. 그래서 바람의지 쪽에서 승온·건조한다.
 

한국지리 지형성 강우 즉 푄현상에 대해서!

푄현상에서 바람받이 사면에서 공기가 상승하고나서... 같은 높이를 다시 내려가는데내려갈때는 건조한 공기라... 푄형상은 지형성 강우를 표현할때도 자주 사용 합니다....

[내공] 푄현상지형성 강우 영서 영동...

첫번째 그림은 푄현상 두번째 그림은 보통 한국지리에서 지형성 강우를 원인으로... 산 넘기 전, 소우지를 바람받이. 산 넘은 후, 다우지를 바람의지 사면이라고 하잖아요. i)...

한국지리 연교차와 지형성강수량과...

... 하나가 지형성 강우라는 놈이있는거죠^^; 지형성 강수란... 지형성강수와 푄현상에대해서 조금 관련시켜 공부하는게좋습니다(한국지리) 한반도에서 가장 연교차가큰곳은...

한국지리 잘하시는 분 도와주세요ㅠㅠ

... 그래서 한국지리 개념만 따로 적을려고 만들고 있는... ㅠㅠ 3.푄현상에 대해서 자세히,정확히 말해 주세요 ㅠㅠ... 하는데 푄현상지형성 강우가 내리는 곳은 어디든지...

한국지리 애매한 것 몽땅다 질문합니다!!!

... 에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2. 직선기선에대해서... 제주도는 지형성강우인가요? 아니면 태풍과... 한국지리 책을 보다보면 강수그래프가 있는데 그 그래프들을...

한국지리 용어 정리해주세요 내공10

고2 한국지리 배우는데요 모르는 용어가 너무 많아서요... 결과에 대해서 정보를 교환하는 것임. 이를 위하여... 때 푄 현상을 일으켜 나타나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영서...

이 문제들 빠른시일내에 해결좀해주세요.

... 된다(지형성 강우).이 때에는 비를 뿌렸기 때문에... 상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제재 조치를 가하자는... 17번 푄현상 a : 수리적 위치 b: 오름 c :하상계수 d :성대토양 e...

한국지리 기후부분이요~~ㅜ

안녕하세요 한국지리로 고생하는 고3입니다ㅠㅠ 아,,, 제가... ㅠㅠ 높새바람 말고 또 다른 한국의 푄현상에 대해서 더... 요인은 지형성 강수입니다. , 바람이 불어와 산을...

비가 내리는 정확한 이유...(고3 한국지리)

... 한국지리과목에 맞게 자세히 설명좀요... 비가 내리는... 그리고 고기압과 저기압의 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ㅣ ㅣ... 것을 지형성 강우라고 합니다. 대표적 예는 푄현상에 의한...

고등 한국지리

... 강원도해안지방에는 비가오거나 습윤하지만 산을넘어서 춘천쪽에서 서울쪽은 건조한바람이 불죠 4. 푄현상이 왜 일어나는가? (우리나라 지형에 대해서 관련있다면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