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 이유...

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 이유...

작성일 2003.10.0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제목에서 처럼 왜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지요....

2. 또 왜 동해안에서는 연교차가 작은지요...

3.그러니까 위에 질문들은

왜 기온의 연교차는 저위도보다는 고위도가, 해양보다는 대륙이 더 큰 것이죠????


4.음...그리고 무상일수에 대해서...

목화가 약 200일이고 벼가 150일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목화가 벼보다 더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거지요^^?


5. 그리고 만약

지구가 바다로만 되어있다면 기온 분포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제가 워낙 모르는게 많아서...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대륙성 기후라서 그렇습니다.(시베리아 기단에 영향을 받는데요... 그게 쫌~~~ 길답니다...) 그리고 북반구의 북위 43° 1'(함경북도 온성군 유포진 북단), 극남(極南)은 북위 33° 6'에 걸처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동해안에는 우리나라에 등뼈라고 할수 있는 태백산맥이 동과 서를 나누고 있는데요... 가장큰 이유는 한류가 흐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ex)목욕탕가서 거울앞에 걍 앉아 있으면 사람많으면 습기 많고 사람 없으면 좀 싸늘~~하잔아요...그런데, 찬물옆엔 항상 시원한거... 그런거라구 할수 있죠...

거기다가 태백산맥이 병풍처럼 둘려져 있으서 그 냉기가 적게 빠저 나가는거랍니다...



3.
저위도면 적도부근이죠... 그곳은 아시는데로 항상~~~ 따뜻하죠...아니 무덥나..?(가본적이 없어서리...) 그에반해서 고위도는 올라갈수록 태양을 적게 받으니 춥게 되겠쪄? 따라서 저위도는 추워바짜 여름... 고위도는 추우면 댑따 춥고 더우면 어름이 녹고 풀이 자라죠...

그리고 연교차는 위에 목욕탕과 같다고나 할까요... 좀더 간단하게 설명하면 비열에 차이...



4.
예!^^* 맞습니다~맞구요~~~

좀더 보충 설명하자면. 목화는 원래 열대성 작물이기 때문에, 온도가 높고 성장기간도 충분히 길어야 한답니다. 한국과 같이 온도가 낮고 성장기간이 짧은 곳에서는, 영양생장에 많은 시일을 소비하게 되므로 성숙이 늦어집니다. 따라서 솜이 열리기 전에 서리가 내리면, 섬유생산이 감소되고 탄력이 없는 불량면이 많아진다네요. 그러므로 목화 성장에 적당한 적지는 무상기간이 최소한도 200일 이상 되는 북위 37∼38°선의 지대라고 할 수 있답니다. 12℃ 이상에서 발아하며, 그 후 성장기간에 15℃ 이상이라야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구요. 또한 물이 잘 빠지는 모래로 된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연강우량은 1,000∼1,500mm가 필요하며, 강우량의 80% 이상이 면모신장기까지 내린다네요. 성숙기와 수확기에는 비가 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개화기에 비가 많으면 낙화와 낙뢰(落쨘)·낙삭(落殼)이 많으며, 일조가 부족해도 낙삭이 많이 발생한다구합니다.



5.
홀... 글쎄요... 만약, 사람이 살수없는 그런거는 별루 생각하지 않는 주의라서리...
우선 해수면의 온도가 기온을 좌우한다구 봤을때, 적도 지방의 난류와 극 지방의 한류가 서로 흐르겠져... 따라서 극지방은 추울것이고 적도 지방은 따뜻할 것인데요...해양지형에 따라서 물이 흘러 가는 것이 틀리며, 바람도 생각해야하며 여러가지를 볼때 많이 복잡하네요...
학교 에서 요구하는 답은 기온 분포도는 완반한 유선형을 띠울것이면 그 간격은 넓을것이다. 그리고 위도에 따른 연교차와 일교차가 육지가 있을때 보다, 훨신 적게 일어날 것이다.
정도...


하여간 저도 아는게 별루 없는 지라...
공부 열심히 하세요... 파팅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제목에서 처럼 왜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지요....

알고 계시겠지만..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기단 북태평양기단과 시베리아기단
이 있지요? 그렇지만 여름 한철 대략 6월 25일쯤에서 8월 25일까지 3개월 가량만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을 받게 되고 나머지 기간은 시베리아기단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그럼 봄 가을은 어떻게 오느냐에대해서 묻겠지요?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을 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잇습니다. 잘생각해 보십시요 6월초만해도 나무 밑이나 그늘에 들어가시면 쉬원하시지요? 그러나 한여름 찌는 듯한 더위에서도 그늘이라도 덥습니다. 북태평양기단은 그 성질이 고온다습하여 그렇습니다. 또한 겨울이라고도 해도 3한 4온이라는게 있지요? 그것은 시베리아기단이 주기적으로 확장을 하다보니 확장을 해서 강하게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때는 추운것입니다. 또한 요즘 가을이라고 하는데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죠? 그것은 낮에 더운것은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이라기보다는 낮에는 일사량에 의해 땅이 더워지는 것이고 반대로 밤에는 태양빛이 없어 대지가 식는것입니다. 시베리아고기압이 9개월가량 영향을 미치면서
겨울이 길게 느껴지는것이지요. 한마디로 말해 요즘 일기도를 보시면 이동성고기압이 자주 통과하지요? 그것은 시베리아 기단에서 떨어져 나온 한랭건조한 공기덩어리가 우리나라를 지나가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하지만 요즘들어 부쩍 겨울이 길게 느껴질것입니다.
그것은 아직은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지만 인간의 환경파괴로 인한것과 지구온난화
과정에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2. 또 왜 동해안에서는 연교차가 작은지요...

2가지 원인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첫번째는 동해안을 흘러가는 해류인 쿠로시오 해류에 의해서 비교적 따듯합니다.
두번재는 태백산맥과 관계가 있습니다. 태백산맥에서 푄현상이 나타나는 것아시죠?
봄철 북동풍이 태백산맥을 넘어가면서 태백산맥의 영동지방에는 비를뿌리고 영서지방에는
고온건조한 바람이 불게 됩니다. 그것은 바람이란게 공기의 이동인데 공기가 이동하면서
태백산맥의 산사면에 부딪치면서 강제상승을하게되고 강수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렇지만
반대사면으로 넘어가면서 (기억이 잘안나는데 올라갈때는 공기의 기온이 떨어지는 비율보다
공기가 내려오면서 올라가는 기온비율이 더 높다고 합니다.)고온건조한 바람으로 바뀌면서 부는것입니다. 똑같이 겨울에는 북서풍이 불어오는데 그것이 영서 지방의 산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겨울철에 전주 무주 지방이나 영서지방에 눈이 많이 내리는 원인도 같은 결과입니다) 동해안지방에는 따듯한 바람이 불어 가는겁니다.


3.그러니까 위에 질문들은 왜 기온의 연교차는 저위도보다는 고위도가, 해양보다는 대륙이 더 큰 것이죠???

우선 저위도 지방은 태양의 일사량의 고위도 지방에서보다 많이 받습니다. 이에너지를 태양복사에너지라고 하는데 저위도는 직각으로 고위도는 비스듬히 받게됩니다. 또한 밤에도 지구는 지구복사에너지라는것을 내보내게 되는데 저위도는 많이 받고 내보내도 많은 양의 열이 남지만 고위도는 적게 받고 내보내려니 에너지가 모질라게 됩니다 이러한 사항을 아시고 세계지도를 펴보시면 저위도 지방에는 육지가 적은걸 알수 있습니다 많은 대륙이 고위도 지방에모여 있는걸 보시게됩니다. 위에분께서도 말씀하셨지만... 땅과 물의 비열차때문입니다. 낮에는 육지부터 빨리 데워집니다. 반대로 바다는 천천히 데워집다 식을때는 육지부터 빨리 식고 바다는 천천히 식습니다. 이래서 육지보다도 해양이 기온차가 적은것이지요.


4.음...그리고 무상일수에 대해서...
목화가 약 200일이고 벼가 150일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목화가 벼보다 더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거지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꼭 그런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북쪽으로 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걸 알수 있습니다. 무상일수가 북쪽은 대략 150일정도 중부지방이 200일 남부 지방이 220일정도 됩니다. 목화가200일이고 벼가 150일이라면 따듯한 지역에서 자라는게 맞지요


5. 그리고 만약 지구가 바다로만 되어있다면 기온 분포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순전히 바다로면 되어 있다면 인간도 없겠고 그렇다면 이러한 고민을 할필요없을텐데요
그래도 바다였다고 가정을 해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그래도 기온의 차이는 있을것같습니다. 대륙이 있을때보다는 적게요 그차가 별로 크지 않게 말이죠 그래도 어느지역의 기온이나 기상현상이 생기는것은 그지역의 위도 대륙의 동안이나 서안에 위치 했느냐 또, 지형, 수륙의 분포로 기온의 분포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모든것이 없다고 가정한다면 순전히 위도에 따른 분포밖에 없을것 같군요

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 이유...

... 제목에서 처럼 왜 우리나라에서는 여름에 비해 겨울이 길고 추운지요.... 2. 또 왜 동해안에서는 연교차가 작은지요... 3.그러니까 위에 질문들은 왜 기온의 연교차는...

동치미를 겨울에 먹는 이유는??

...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갖가지 채소와 과일이 풍성한 여름에 비해 겨울에는 거의 없다시피 하여 신선한 채소의... 우선 재료가 간단하고 추운 겨울에 보관이 수월하였기...

여름엔 낮이 길고 밤에는 낮이 짧은 이유

... 왜 여름에 비해겨울엔 낮이 짧은건가요? 계절이... 낮이 길고, 밤에는 낮이 짧은 이유: 우리나라는 북위... 그만큼 추운것입니다. 남중고도란[ meridian transit altitude ]...

김치는 왜 여름에 겨울보다 더 빨리 시어요?

... ★★ 김치가 겨울보다 여름에 더빨리 셔는 이유는... 너무 추운 곳에서는 김치가 얼게되고 김치 내부의 수분이... 간냉식은 직냉식에 비해 내부 온도편차가 상대적으로 크지만...

북극과 남극이 추운이유는?

... 여름에 거리가 더 멀어지는 것입니다. 우리는... 태양에 비해 거리가 다르고 자전축이 반대로 가죠? 만약 궤도가 정 원이었다면 여름은 더 덥고 겨울은 더 추운겁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