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도와 지구본의 특징과 쓰임 좀 가르쳐 주세요 ㅠㅠ

세계지도와 지구본의 특징과 쓰임 좀 가르쳐 주세요 ㅠㅠ

작성일 2006.10.20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세계지도와 지구본의 특징과 장단점을 좀 가르쳐 주세요


#세계지도와 지구본의 공통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세계지도에 나타난 내용

6대륙과 5대양이 나타나있다.

육지나 바다의 높낮이가 색깔로 나타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이름과 주요 도시가 나타나 있다.

경선과위선이 나타나 있어 일정한 지점을 찾을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주요 산맥과 산, 강, 평원, 사막, 반도, 해류가 나타나 있다.

2. 세계지도의 쓰임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지도가 있다.

각 나라의 기후는 어떠한지 등과 같이 어떤 주제에 대해 공부할 때에는 세계지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3. 세계지도의 특징

편리한 점: 세계 전체의 모습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목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고, 보관,이동이 편리하다.

방위, 방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불편한 점: 둥근 모양을 평면에 나타낸 것이므로 땅의 모양이 실제와는 달라지고, 바다의 크기를 비교하기 어렵다.

지구의 실제 넓이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

두 지점 간의 가장 짧은 거리를 정확하게 찾기 어렵다.

지구본

1. 지구본에 나타나 있는 내용

육지와 바다의 모양이 색으로 구분되어 있다.

세계 여러 나라 이름과 주요 도시가 나타나 있다.

경선과 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적도와 날짜 변경선, 북극과 남극이 나타나 있다.

2.지구본의 쓰임

세계 여러 지역의 넓이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비행기 항로의 가장 가까운 거리를 알아보는 데 편리하다.

지구본 위쪽을 북으로 하여 일정한 위치의 방위를 알아볼 수 있다.

대륙과 대양의 크기가 세계 지도보다 바르게 나타나 있다.

3. 지구본의 특징

편리한 점: 일정한 지역의 위치, 넓이, 모양을 변형없이 정확하게 나타낸다.

두 지점간의 가장 짧은 거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지구 운동, 낮과 밤, 계절의 관계를 아는 데는 지구본이 지도보다 편리하다.

불편한 점: 둥근 공 모양이어서 세계를 한눈에 보기 어렵다.

보관과 이동이 세계지도보다 불편하다.

4. 지구본의 활용

지구본에서의 거리 측정

 - 같은 위도상일때: 경도 사이의 거리를 구하기 쉽다.

 - 지구 반도쪽에 있는 지점 간의 거리: 위도를 따라 재는 것보다 북극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에 더 가깝다.

세계지도와 지구본의 차이점

1. 지구본은 지구와 비슷한 둥근 모양으로 나타내었으나, 세계 지도는 평평한 평면 위에 나타내었다.

2. 지구본은 위치, 넓이,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내고 두지점 간의 가장 짧은 거리를 쉽게 알 수 있다.

3. 세계 지도는 세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지구 표면의 일부나 전부의 상태를 기호나 문자를 사용하여 실제보다 축소해서 평면상에 나타낸 것.


본문


오늘날 지도는 토지에 관한 각종 조사연구·사업계획·행정·교육·군사·레크리에이션 등에 널리 이용되어 인간의 모든 생활에 걸친 필수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지도의 정확성 여부는 국가의 경제·문화수준의 지표라고도 할 수 있다.

【종류】 지도는 크게 일반도(一般圖)와 주제도(主題圖)로 나누어진다. 일반도는 지형·토지이용·수계·도로·철도·취락·각종 공작물 등 지표면의 형태와 그 위에 분포하는 사상(事象)을 공통으로 표현한 지도이며 각종 목적에 이용되는 다목적 지도이다. 이에 비해 주제도는 특정 주제에 관해서 아주 상세하게 표현한 지도이며 보통 같은 축척의 일반도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일반도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국립지리원에서 만들어내는 2만 5000분의 1 지형도, 5만분의 1 지형도, 50만분의 1 지세도, 100만분의 1 전도(全圖) 등이 있다.

주제도는 지적도·지질도·토지이용도·토질도·토양도·기후도·교통도·관광도·인구분포도·하천도·삼림도·해도·항공도·군사도 등 목적에 따라 만들어지므로 종류가 많다. 구역에 의한 지도의 종류로는 세계 전도·반구도·대륙도·대양도·국도(國圖)·지방도·시도도(市道圖)·시군읍면도 등이 있다. 축척에 의한 분류로는 5만분의 1보다 큰 대축척도, 100만분의 1보다 작은 소축척도 등이 있다. 또한 지도의 작성방법에 따라서 실측도(實測圖)와 편집도(編輯圖)로 나뉜다.

1. 표시법과 기호
지도의 표시법은 다음과 같다.

〈축척〉 지구 표면상태를 평면의 종이 위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실제크기보다 축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축척은 실제 지상(地上)의 길이를 어느 정도 축소하는가 하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은 분수나 또는 비의 형태로 축척을 나타낸다. 지도의 축척은 대상지역의 크기, 지도의 이용 목적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보통 한국의 경우에는 전국을 총람하기 위한 지도의 축척으로 100만분의 1 내지 200만분의 1 정도의 지도가 알맞다. 호남지방, 중부지방이라는 지방별 개관(槪觀)지도는 50만분의 1 전후이고, 도(道) 단위의 범위를 보기 위해서는 20만분의 1 가량의 축척지도가 일반적으로 많이 쓰인다. 비교적 세밀한 지도로는 5만분의 1이나 2만 5000분의 1 가량의 축척이 필요하고, 더 세부적으로 자세한 지도가 필요할 때에는 5,000분의 1의 축척지도가 많이 쓰인다. 그러나 대륙이나 세계 지도가 필요할 때에는 수천만분의 1이라는 극히 작은 축척의 지도가 만들어진다.

〈방위〉 지도의 방위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 오른쪽이 동쪽을 가리키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도의 편의에 따라서 위쪽을 북쪽으로 하기 어려울 때에는 북쪽을 표시하는 같은 방위기호를 넣어서 나타낸다.

〈지표의 기복상태〉 지표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데는 등고선식 ·운선식(暈渲式) ·우모식(羽毛式:暈式), 등고선과 운선식의 병용식, 등고선 별로 색을 구분한 채색 구분식, 릴리프식 등이 쓰인다.

〈지도투영법〉 지도는 구형(球形:회전타원체)을 이루는 지구 표면을 평면상에 나타내는 것이나, 거리 ·면적 ·모양 등 어느 면에서도 조금도 왜곡됨이 없이 평면에 전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지구는 반지름 약 6,370km에 이르는 크기이므로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정도의 좁은 범위를 한 장의 지도에 나타낼 경우에 한해서만 실질적으로 왜곡이 전혀 없는 지도를 작성할 수가 있다. 지구 표면상의 각 구점(球點)을 평면상에 표시하는 방법, 실제문제로서는 지구상의 경위선을 평면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지도투영법이라고 한다.

지구상의 넓은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지도를 작성할 경우에는, ① 특정한 방향에 대해서 거리를 정확히 유지할 것, ② 어느 부분에서도 면적을 정확히 유지할 것, ③ 임의의 지점간의 방향을 정확히 유지할 것 등 3조건 중 어느 하나를 중시해서 투영법이 고안되었는데, 각각 정거도법(正距圖法) ·정적도법(正積圖法) 및 정각도법(正角圖法)이라고 한다.

한편 투영면에서 분류하면, 지구에 접하는 평면에 직접 투영하는 방위도법 외에 지구에 접하는 원뿔 또는 원통에 투영한 후 그것을 평면에 전개하는 원뿔도법이나 원통도법이 있고, 다시 그것들을 변경시킨 의방위도법(擬方位圖法) ·의원뿔도법 ·의원통도법 등도 있다. 정거도법의 경우에는 어떤 특정한 방향선상에서만 거리의 관계가 정확하게 나타날 뿐이기 때문에 정거방위도법 ·정거원뿔도법(톨레미 도법) ·정거원통도법 등이 고안되고 있다.

정적도법의 지도에서는 면적이 정확히 나타나므로 몇 개 지역의 면적을 비교한다든가, 면적을 정확히 나타낼 필요가 있는 분포도 등에 적합하나 크건 작건 간에 면적의 왜곡이 나타나는 것을 피할 수는 없다. 정적도법에는 람베르트 정적방위도법 ·람베르트 정적원뿔도법 외에 의원추도법인 본 도법, 의원통도법에 속하는 상송 도법 및 몰바이데 도법 등이 있다.

정각도법의 지도는 비교적 좁은 범위이면 모양의 왜곡이 적어 유리하나, 넓은 범위의 지도면 면적의 왜곡이 커진다. 정각원통도법인 메르카토르 도법은 고위도에 이르면 거리나 면적이 몹시 커지기는 하나, 경선과 같은 각도에서 교차되면서 진행하는 항정선(航程線)이 항상 직선으로 나타나는 유일한 투영법으로 해도(海圖)의 도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정각도법으로서는 방위도법 중의 평사도법(平射圖法)이나 람베르트 정각원뿔도법 등이 있다.

이상의 투영법은 일반적으로 세계 또는 각국의 영역(領域) 등을 대상으로 하는 축척이 작은 지도에 사용되며, 지역의 크기나 모양, 위도상의 위치, 또는 지도의 목적 등에 의해서 각종의 투영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축척이 큰 지도에는 특별한 투영법이 사용된다. 국립지리원에서 제작하는 2만 5000분의 1, 5만분의 1 등의 지형도에는 종래 다면체도법이 사용되어 왔다. 다면체도법은 지도 한 도엽(圖葉)의 구획이 되는 경위선망(經緯線網)의 4 모서리를 포함한 평면에 대응하는 지표면의 상태를 투영하는 것이나, 이 경우 실제로 도곽(圖郭)이 되는 경위선은 직선으로 간주해도 무방하므로 도곽선은 해당도엽의 위도대(緯度帶)에 따른 길이의 이등변 사다리꼴로서 작도되며, 도곽 내의 각 지점의 위치는 도곽선의 경위도와의 차에 의해서 비례배분으로 결정된다. 즉 한 도엽에 포함되는 지표면을 평면으로 간주하는 셈이다. 다면체도법에 의한 지도는 이와 같이 작도가 간단하나, 동서남북으로 이어지는 몇 장의 도엽을 한 평면상에 이어붙일 수는 없다.

최근에는 다면체도법 대신 유니버설 횡(橫)메르카토르 도법(UTM 도법)이 사용되고 있다. 메르카토르 도법이 지축에 평행한(적도에서 지구에 접하는) 원통에 경위선망을 정각(正角)으로 투영하는 데 대해서, 지축에 직각인(어떤 경선에 따라 지구에 접하는) 원통에 정각으로 투영하는 것이 횡메르카토르 도법이다. 이 경우 한 개의 원통에 넓은 범위의 경위선을 투영하면 동서로 떨어질수록 거리의 확대나 모양의 왜곡이 커지므로, 세계를 6° 간격의 경도대로 나누어 각 경도대마다 원통의 위치를 바꾸어 그 중앙의 경선을 중심으로 하여 횡메르카토르 도법을 적용한 것이 UTM 도법이다.

이 도법에 의하면 길이의 왜곡은 1만분의 4 이내로, 다면체도법에 의한 같은 도엽과 비교하면 도곽변(圖郭邊) 길이의 차는 0.2mm 이하이다. 또 6°의 경도대 내에서는 각 도엽을 이론상 같은 평면상에 이어붙일 수가 있으며 이어붙인 전체는 남북으로 좁고 긴 방추형(위도 80° 이상에는 적용되지 않음)으로, 적도에서 접하고 동서에 되풀이되는 모양이 된다. UTM 도법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 각국에 급속히 보급되었으며, 국립지리원의 2만 5000분의 1이나 5만분의 1 지형도도 이 도법에 의하고 있다.

【기호】 지도 표현의 특징 중 하나는 실경(實景)을 기호화하여 그리는 점이다. 지도 표현에 대한 일정한 약속을 도식이라 하며 한국에서는 측량법에 의하여 규제되고 있다. 도식은 지형도 도엽(圖葉)에 기재되어 있다.

2. 역사
지도는 문자(文字)의 역사에 뒤지지 않을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미국 조사단이 발견한 고대 바빌로니아의 지도는 4500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태양열로 구운 벽돌 표면에 나뭇가지로 그린 것으로 현재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대해(大海)에 둘러싸인 원반 모양의 육지 중심에 수도 바빌론이 있고 그것을 꿰뚫고 유프라테스강(江)이 그려져 있다. 또 파피루스에 그려져 있는 이집트의 지도도 현존한다.

그리스 ·로마 시대의 지도는 현존하지 않으나 그 시대의 《지리서(地理書)》 등에서 복원되고 있다. 그리스 시대 초기, 즉 BC 6세기의 헤카타이오스 세계지도에서도 세계는 역시 원반 모양이며 오케아노스라고 불리는 대양으로 둘러싸여 있으나 지중해나 흑해 연안은 상당히 정확하게 그려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높은 곳에 올라감에 따라서 지평선상의 시야가 변하는 것, 월식 때에 달의 면에 비치는 지구의 그림자가 둥근 것 등으로 지구가 구형(球形)이라는 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였고, 또 지구의 둘레를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에라토스테네스는 세계지도에 처음으로 경선과 위선을 그려 넣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150년 무렵 그리스 ·로마 시대의 지리적 지식을 집대성하여 유럽에서 중국까지를 포함한 세계의 반구도(半球圖)를 작성하였다. 이 세계지도는 동서의 거리가 과대하게 되어 있는 점, 동아프리카에서 아시아의 남동부에 이어지는 미지의 대륙에 의해서 인도양이 큰 내해(內海)로 되어 있는 점 등의 잘못은 있으나, 지구의 둘레를 360°로 나누는 경선과 위선을 고안하여 이른바 톨레미 도법(정거원뿔도법)에 의해서 이것을 평면에 투영한 것으로, 근대적인 지도의 바탕을 이루었다.

서(西)로마 제국이 멸망한(476) 후 중세의 유럽에서는 신학이 모든 학문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도분야에서도 프톨레마이오스까지의 과학적인 세계지도의 전통이 금지되어, 세계는 또다시 원반으로 간주되었고 그 중심에 그리스도 성지 예루살렘이 있다고 하였다. 이 생각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이 TO 지도이다. 원 속에 T자를 끼워넣은 모양을 하고 있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원형에 오케아노스로 둘러싸인 육지의 상반부가 아시아를 나타내고, 하반부는 지중해를 경계로 하여 좌측이 유럽, 우측이 아프리카로 되어 있는데 지도라기보다는 오히려 도안에 가까운 것이다. 그러나 이 시대에 그리스 ·로마 시대의 과학의 유산이 동(東)로마 제국을 거쳐 서아시아에 일어난 이슬람 문화에 전해져 프톨레마이오스의 전통이 보존되었다.

중세 후반에 이르자 성지 예루살렘을 이교도로부터 탈환하려는 십자군의 원정을 계기로 지중해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이 다시 성해져서 13세기 무렵부터 포르토라노라고 불리는 특수한 해도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해상교통의 필요성에서 생긴 것으로 나침반의 중심에서 방사하는 많은 방위선이 그어져 있다. 십자군의 실패로 교회의 세력이 땅에 떨어짐에 따라 비로소 그리스도교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사고가 다시 발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5세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서》와 지도가 이탈리아에서 인쇄되었다. 15세기 말∼16세기 초에 걸쳐서 콜럼버스의 신대륙 탐험이나 마젤란의 세계주항(世界周航)이 계속되면서 세계의 수륙분포에 대한 지식이 차츰 정확해졌다. 또한 인쇄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세계지도가 출판되었는데, 특히 오르텔리우스는 처음으로 동판(銅版)으로 근대적인 세계지도를 만들었고 메르카토르는 1569년에 《세계의 무대》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또 세계지도에서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알려진 정각원통도법을 공개하였다.

17세기 이후에도 유럽 제국에 의한 탐험항해가 활발하였다. 남반구에 대해서는 그리스 시대 이래 오랫동안 거대한 대륙이 존재한다고 믿어 왔으나 17세기 초에 에스파냐인 토레스에 의해 오스트레일리아가 발견되고, 또 18세기 후반 J.쿡의 탐험으로 남반구의 대부분이 바다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해서 18세기 말에는 양극지방을 제외한 세계의 수륙분포가 거의 명백해지고 근대적인 세계지도가 성립되기에 이르렀다.

한편, 네덜란드의 스넬리우스(스넬)는 1617년 알크마르와 베르겐 사이에서 간단한 측각기(測角器)를 사용해서 처음으로 삼각측량을 하여 과학적인 측량에 의한 지도작성법을 고안하였다. 프랑스에서는 18∼19세기 초에 걸쳐서 카시니 부자(父子)의 삼각측량으로 전 국토의 8만 6400분의 1의 지도가 완성되었다. 영국에서는 18세기에 많은 카운티 지도가 만들어졌으며, 1791년에 창립된 육지측량부가 삼각측량을 시작하였고, 독일 ·덴마크 등지에서도 19세기에 이르자 본격적인 삼각측량을 시작하였다. 특히 가우스는 최소 제곱법을 응용해서 삼각측량법을 대성시켰다. 이와 같이 유럽 제국의 삼각망(三角網)이 정비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인 지도가 잇달아 작성되기에 이르렀다.

3. 한국
한국에서도 세계의 근대지도가 작성되기 이전에 이미 많은 지도가 간행되었다. 이들 지도는 그 질이나 양에서 자랑할 만큼 우수한 것이 많았지만 임진왜란, 일제강점기에 상당량이 약탈당했다. 일본의 주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고지도 중에도 한국 지도를 변조한 것이 있다고 전해진다. 한국의 지도 발달을 시기적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의 4기로 나뉜다.

〈제1기〉 고대부터 14세기의 고려 말에 이르는 시기이며, 이 시기의 지도는 현존한 것이 없다. 그러나 문헌에는 많은 지도 기록이 남아 있다.

〈제2기〉 15∼16세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의 건국 이후이며, 선교사에 수반되어 도래한 서양문물의 영향을 다소 입은 시기이다. 이 시기에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 지리서가 중국을 거쳐 국내에 들어왔고, 결과적으로 이슬람의 아라비아 지리학의 영향을 받은 프톨레마이오스식(式)의 세계지도가 도입되어 한국의 지도 제작에 변화를 일으켰다. 이 시기에 조선왕조의 성립과 아울러 정치적 ·군사적 필요에 따라 우수한 지도가 많이 간행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도난당해 각지의 국립 ·사립 박물관이나 류코쿠[龍谷]대학, 덴리[天理]대학 등에 소장되어 있는 것이 많다.

〈제3기〉 17세기 이후 선교사 마테오리치(Mateo Ricci:利馬竇) 등에 의해 서양지도에 관한 지식이 중국을 거쳐 도입됨으로써 그 영향을 직접 받았다. 대체로 조선시대 말까지의 시기가 된다. 이 시기는 비교적 서양지리학의 영향을 크게 받아 한국의 지리학과 지도학에 과학적 기초가 부여된 시기이다. 한국 지도 중에는 이회(李) 등이 1402년에 제작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疆理歷代國都地圖)》가 있다. 이 지도는 동양 최초의 세계지도로 널리 알려진 지도이며, 그리스의 영향을 받은 아라비아의 지도학적 지식, 중국 고대의 영향, 일본의 지도 지식과 고려시대로부터 발달되어 온 조선 초기의 지도학 및 지리학 지식이 한 장의 지도에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지도 발달사에 큰 의의가 있는 지도이다. 고산자 김정호(金正浩)의 《청구도(靑丘圖)》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대동지지(大東地誌)》 등은 모두 세계에 자랑할 만한 지도와 지리서이다.

〈제4기〉 근대지도가 제작되는 시기로서 조선시대 말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시기이다. 1930년까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가 여러 면에서 많이 이용되다가, 러 ·일전쟁을 전후하여 일본군이 아시아 침략의 준비작업으로서 한국의 5만분의 1 지형도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삼각측량에 의하여 정확한 전국 지도가 간행되었다.

광복 후에는 육군측지대(測地隊)에서, 일본육군참모본부 간행의 지형도와 미군이 태평양전쟁을 완수하기 위하여 간행한 지형도 등을 토대로 하여 5만분의 1 지형도를 편찬하였다. 한편 국립지리원은 국립지리연구소 ·건설연구소 ·국립지리원 등으로 기구가 바뀌면서 5,000 ·2만 5000 ·5만 분의 1 지형도를 비롯하여 20만분의 1 지세도, 100만분의 1 전도 등을 간행하고 있다.

제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래횹~^ _^

즐거운 생활이 되시길..^ _^

특징과 쓰임 좀 가르쳐 주세요 ㅠㅠ

세계지도와 지구본의 특징과 장단점을 좀 가르쳐 주세요 1. 세계지도에 나타난 내용 6대륙과 5대양이 나타나있다.... 세계지도쓰임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지도가 있다. 각...

지구본세계지도

지구본세계지도에 대해서 숙제인데요오 -_- 지구본세계지도특징이랑 지구본세계지도의 차이점, 지구본세계지도의 공통점 같은것, 빨리좀 가르쳐 주세요오 ㅡ...

6학년2학기2단원함꼐살아가는세계(1)...

... 제발가르쳐주세요ㅠㅠ 35내공검!! 1) 변화하는 세계의... (2) 장점 : 세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쓰임에 맞게... 세계 지도 4. 지구본 (1) 둥근 지구 모양을 아주 작게...

6-2기말고사 사회 문제좀 가르쳐주세요....

... 등 +세계지도 -둥근 모양의 지구를 적당한 크기로 줄여서 종이에 펼쳐 그려 놓은 것이다 -장점 : 세계 전체의 모습을 한 눈에 알 수 있음 쓰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함 보관 및...

2학기 사회 과학 요점정리좀 해주세요ㅠㅠ

... 해주세요ㅠ 국어는 할수있구 .. 사회 1단원 끝까지 과학... 없어서 ㅠㅠ 15드려요. 죄송해요 ㅇㅠㅇ 제송합니다... ▲ 육지의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낸 세계 지도 4. 지구본 (1)...

6학년사회2학기68~88쪽까지 요약...

... 끊어서해주세요 ㅠㅠㅠㅠㅠㅠ 이상한 사이트나 다른... 세계지도 : 세계의 모습을 평면 위에 그린 것 쓰임 : 사용... 지구본 뜻 : 둥근 지구의 모양을 그대로 축소시켜서...

6학년2학기사회단원평가

... 답지를올려주세요 ㅠㅠ 오늘까지요 ㅠㅠ부탁합니다........ (2) 장점 : 세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쓰임에... ▲ 육지의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낸 세계 지도 4. 지구본 (1)...

6학년2학기중간고사기출문제

... 사이트 좀 가르쳐 주세요 부탁합니다. 민주 정치와 생활... (2) 장점 : 세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쓰임에... ▲ 육지의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낸 세계 지도 4. 지구본 (1)...

중학공부잘하는방법★

... 걱정이되서요ㅠㅠ 중학교 공부잘하는 법좀 가르쳐주세요. 1) 중학교때 무슨... 작품의 문체상의 특징 (1) 관용적 표현이 많이 쓰임. * 못박혀 서고 말았다 : 충격으로...

6학년2학기중간고사

저쫌 도와주세요 ㅠㅠ 제가 중간고사 문제집을 두산동아로... (2) 장점 : 세계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고, 쓰임에... ▲ 육지의 모양을 정확하게 나타낸 세계 지도 4. 지구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