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하천지형 질문 내공 100

한국지리 하천지형 질문 내공 100

작성일 2023.04.2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한국지리에 감입곡류하천 vs 자유곡류하천,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비교해서 차이점이랑 특징 좀 알려주세요,,, 어려워서 잘 이해가 안되네요,,,예를 들어서  내공 100 걸겠습니다. 


#한국지리 하천지형 #한국지리 하천지형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감입곡류하천과 자유곡류하천은 둘다 굽이굽이흐르는 하천입니다

차이점은 갑입곡류하천 주변은 산지이고, 자유곡류하천 주변은 평야입니다

문제에서는 하천 주변 지형도를 보고 체크하시면 됩니다.

산지를 굽이굽이 흐르던 감입곡류하천이 낮은지형을 향해 계속 흐르다 보면 산지가 끝나고 평야를 만나 자유곡류하천이 됩니다.

경사가급한 산지를 흐르던 하천이 갑자기 평야를 만나면 유속이 느려지면서 하천폭이 넓어지게 됩니다. 때문에 산지와 평야가 만나는 부분에 부채꼴 모양의 퇴적지형이 나타나는데 이게 선상지 입니다.

이후 평야를 흐르는 자유곡류하천은 여름철 홍수를 만나면 물이 넘치게 됩니다. 이 자유곡류 하천 주변에 홍수때 범람해서 생긴 퇴적지형이 범람원입니다.

자유곡류하천은 계속 흘러 바다를 만나게 되는데 선상지와 마찬가지로 하천이 바다를 만나는 부근에 갑자기 유속이 느려지며 운반되던 퇴적물이 삼각형 모양으로 쌓이게 되는데 이게 삼각주입니다.

이 3지형은 전부 하천의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쌓여있기 때문에 영양분이 많아 주로 농업토지로 이용됩니다.

선상지와 범람원은 국내에 너무많아서 지역이 나오지는 않고 삼각주중에 대표적인 지역이 낙동강 삼각주입니다. 이부분이 문제에 자주 나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날씨경영컨설턴트 단비입니다.

감입곡류하천은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라 흐르는 강으로, 그 과정에서 곡선과 굴곡을 형성합니다.

우리나라 지리에서는 사행하천이 전국 각지, 특히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 발견됩니다.

이 강은 물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느리고 기울기가 완만하여 둑을 따라 퇴적물이 쌓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자유사행하천은 제방이나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의 제약을 받지 않는 하천입니다.

이 강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고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새로운 수로가 생성되고 강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부채꼴(선상지)은 산맥의 기슭에 형성된 넓고 평평한 땅입니다.

한국 지리학에서 부채는 산에서 흘러내리는 하구에서 자주 발견된다.

이 팬은 강물이 느려지고 퍼짐에 따라 퇴적되는 강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물의 퇴적에 의해 생성됩니다.

범람원은 강에 인접한 저지대 지역입니다.

한국지리학에서 범람원은 구불구불한 강을 따라 자주 발견되며, 만조 시 범람하는 특징이 있다.

범람원은 다양한 식물과 동물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중요한 농업 지역이기도 합니다.

델타(삼각지)는 강 어귀에 형성된 삼각형 모양의 땅으로 호수나 바다와 같은 더 큰 수역으로 비워집니다.

델타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에 의해 퇴적된 퇴적물로 구성되며 종종 습지, 습지 및 석호가 특징입니다. 한국지리학에서 낙동강 삼각주는 우리나라 동남해안에 위치한 가장 크고 중요한 삼각주이다.

요약하면, 감입곡류하천은 구불구불한 경로와 느리게 움직이는 물이 특징인 반면, 자유곡류하천은 인공 구조물의 제약을 받지 않습니다.

선상지는 산맥 기슭에 있는 넓고 평평한 땅, 범람원은 만조 기간 동안 범람할 수 있는 강에 인접한 저지대 지역, 델타는 강 어귀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땅입니다. 더 큰 수역으로 비워집니다.

감입곡류하천: 서울의 한강, 충남의 금강, 전북의 영산강은 모두 우리나라의 굽이치는 강이다.

자유사행하천: 경상남도 낙동강은 대대적으로 수로나 댐을 설치하지 않은 자유사행하천의 좋은 예이다.

부채꼴: 서울 남쪽에 위치한 경기평야는 인근 산맥에서 흘러내리는 강물이 퇴적물을 퇴적시켜 형성된 부채꼴 모양의 넓은 평야이다.

범람원: 서울의 한강은 공원과 자전거 도로를 포함하여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사용되는 넓은 범람원이 있습니다. 전남 섬진강은 범람원이 넓은 하천의 또 다른 예이다.

삼각주: 한국에는 낙동강 삼각주 외에도 서울의 한강 삼각주와 전라남도의 섬진강 삼각주 등 여러 삼각주가 있습니다.

이 델타는 농업에 중요하며 다양한 동식물 종의 서식지를 제공합니다.

출처: upstage의 챗봇 AI, AskUp(아숙업) 제공

한국지리 하천 질문

수특에서 나오는 하천에 있는 암석이 뭐가 있는지 좀 알려주세요.. 내공 200걸어요 ** 한국지리 이해를 위해 나오는... 암석,,,,,카르스트 지형이며,, 석회암 풍화토를 테라 로샤라...

한국지리 주요 지형 질문 내공100

... 하천과의 관련? 고위평탄면 1. 형성시기 : ? 2. 형성원인 : ? 3. 특징 : ? 4. 관련 산맥... 카르스트 지형의 형성 원인 및 주요 지형 : ? 물음표 부분좀 알려주세요.. 내공100...

한국지리 하천이 흐르는 방향

... 내공200 ** 우리나라 백지도 그려서 대략 1차산맥 위치 반듯이 그릴줄 아셔야 함 한지에 기본임 이를 못하면 지형문제 자체를 즉 다우지 소우지 다설지 극한지 극서지 하천의...

한국지리 질문 드립니다 ! (내공 100...

고2 한국지리 기말고사 주관식 힌트라고 알려준 질문인데... 화산지형 내공 100 걸었어요 - ! 1. 우리나라 위치(수리적... 감입곡류하천 7. 기온역전형상 분지지형에서...

한국지리. 지형과 생활 에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인터넷 강의로 한국지리를 듣고있는데 지형과 생활 파트에서 모르는 부분이 있어 질문합니다 1. 빙기 간빙기에... 감조하천이라는게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한 부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