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척설명 부탁드립니다

축척설명 부탁드립니다

작성일 2014.05.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사진 설명좀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등고선의 기본 개념부터 설명하겠습니다.

  등고선이 지도에서 땅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기호이고, 등고선에 의해서 땅의 높낮이를 잴 수 있습니다.  등고선이란 똑같은 높이를 높낮이의 표현 방법에 의하여 일정한 선으로 그린 것을 말 합니다.  이 등고선은 지표면상의 어느 수평면을 자른면이기 때문에 지형도의 등고선을 따라 돌고 돌면 결국은 같이 만나 합쳐 지는 폐쇄곡선입니다. 

  

위 그림에서 아래 그림은 산의 모양이고
그것을 지도로 나타내면 원 모양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2. 애래 그림을 참고해서 등고선으로 표시된 지형에 대한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입니다. 
등고선은 일정한 높이 예컨대 20m 높이 간격으로 
등고선 중 하나인 주곡선을 연결했는데
그 간격이 좁다는 말은 금방 20m씩 변한다는 것이니
그만큼 경사가 급하다는 말입니다. 
반대로 등고선의 간격이 넓으면 
경사도가 적은 완경사가 되는 것입니다. 

능선은 흔히 등산로로 이용하는데, 
주곡선의 간격이 급하지 않고, 
산 정상에서 바깥으로 늘어지는 지형입니다. 
실제로 경사가 완만하여 등산로로 이용되는 지형입니다.

계곡은 능선과는 달리 산 정상을 향해서 밀고 들어 가는 모양입니다.
계곡은 움푹 패인 곳이니 주위보다는 고도가 낮습니다. 그래서 같은 높이로 
등고선을 연결하면 주위보다는 더 높은 정상 부근으로 접근하게 
되는 것입니다. 


3. 다음은 등고선 아래의 표에 대한 설명입니다. 

등고선은 동일한 간격의 높이별로 되어 있는데, 
축척별로 등고선의 높이간격이 차이가 있다. 
보통의 지형에서는 계곡선과 주곡선만 표시되고 
간곡선과 조곡선의 고저의 기복이 매우 적은 지형에서 간혹 사용됩니다.

구 분 1:5,000 1:25,000 1:50,000 1:250,000 선의 모양
계 곡 선
주 곡 선
간 곡 선
조 곡 선
25m
5m
2.5m
1.25m
50m
10m
5m
2.5m
100m
20m
10m
5m
500m
100m
-
-




 질문에서 주어진 그림에서도 
등고선의 굵기는 높이에 따라 일정한 굵기를 가집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지도에서 등고선을 나타내는 가는 실선은

주곡선이라고 하는데 질문의 지도에서도 가는 실선이 주곡선입니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했듯이  주곡선의 간격은

1: 50,000 지도에서는 20m 마다,

1: 25,000 지도에서는 10m 마다 

1: 5,000 지도에서는 5m마다 하나씩 표시됩니다.

그리고 주곡선에는 20, 40, 60, 80 등의 숫자를 표시해 줍니다. 


 그리고 주곡선보다 더 굵은 그리고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계곡선은

다섯번째 주곡선 자리에 주곡선 대신에 표시하니 

1: 50,000 지도에서는 100m 마다,

1: 25,000 지도에서는 50m 마다 

1: 5,000 지도에서는 25m 하나씩 표시됩니다.

이렇게 계곡선은 5번째 주곡선 자리마다 주곡선보다 굵은 선으로 그려서

그 선의 중간 중간에 아라비아 숫자로 높이를 기록하여 쉽게 고도를 알 수 있게 합니다.
그래서 지도를 보면 산의 높이가 숫자로 표시되어 있는 등고선이 계곡선입니다. 



<참고> http://blog.daum.net/lbh640/986
          http://blog.daum.net/eco205sky/12854349

토목 설계 도면 축척 설명 부탁드립니다.

... 설계 도면 축척에 관에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항상 캐드 제도시 실측으로 드로잉 합니다. 실제 1mm면 1mm, 실제 1km면 1km 선을 그리는거예요. 그렇게 실제 길이로 모든...

축척설명 부탁드립니다

... 다음은 등고선 아래의 표에 대한 설명입니다. 등고선은 동일한 간격의 높이별로 되어 있는데, 축척별로 등고선의 높이간격이 차이가 있다. 보통의 지형에서는...

한지 축척 설명부탁드립니다

ㄴ선지설명부탁드려요. 축척은 길이의 개념입니다. 1:5000은 지도상의 1cm이 실제로 5000cm 즉 50m를 의미합니다 1:25000은 지도상의 1cm가 실제로 25000cm 즉 250m를...

문제 입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축척 1/600 지도상의 면적을 잘못하여 1/400로 측정하였더니 6000 이 나왔다.... (지도상의 면적 = a() 축척은 길이(거리)를 기준으로 한 수치인데 축척 1/400과 1/600보다...

축척문제들 설명부탁드립니다

... 사회1에 축척에대해 나오는데 문제를 모르겠어서 정확한 풀이랑 답 부탁드립니다! (내공냠냠신고... -위의 문제들의 설명을 들으셨다면 250m 라는 것을 쉽게...

축척 구하는 방법

... 자세하고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m로는 단위가 크기 때문에 cm로 합시다. 1m = 100cm 이건 기억해 두어야 합니다. 축척이라고 했으니 작게 하는겁니다. 1: 100은...

축척문제!

축척문제에서 해설을 보는 중 계곡선 간격이 100m이므로 축척이 1 : 25,000이다.라고 나와있는데 이해를 못하겠네요. 설명부탁드립니다. 해발고도를 표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