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산업구조

중국의 산업구조

작성일 2008.10.2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국의 산업구조가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알려주세요 ( 건국시기~ 현재까지 )


#중국의 산업구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국 경제・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2001. 2.
- 목
차 -
Ⅰ. 경제대국 중국의 급부상........... 1
Ⅱ. 새로운 차원의 개방 확대 ........ 4
Ⅲ. 산업구조의 변화 ..................... 8
Ⅳ. 주목해야 할 지역 ................ 20
Ⅴ. 시사점................................... 25
삼성경제연구소
Ⅰ. 경제대국 중국의 급부상
◇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중국의 경제적 위상 강화
◇ 2000년 중국의 GDP는 8%의 고성장
◇ 장기적으로도 78%의 안정적 성장 지속 전망
◇ 2010년대에 미국을 추월하는 경제대국으로 부상
□ 중국은 80년 이후 연평균 9.6%의 유례없는 고도성장을 구가
- 95계획기간중(96-2000년)에는 연평균 8.3% 성장
□ 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오히려 중국의 위상은 강화
- 9799년 기간중 주변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위기 영향으로 중국경제의 성장
률도 다소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78%의 성장률을 유지
- 외환위기 당시 아시아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면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과시
・아시아 국가들의 통화 절하로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있었으나 환율을 그
대로 유지함으로써 아시아 금융위기의 확산 방지
《 대외정책의 측면에서 위안화 절하문제 》
◇ 정치적으로 아시아의 맹주를 지향하는 중국으로서 아시아 경제위기시 책임
을 다한다는 입장
- 위안화 환율의 안정적 유지로 아시아경제의 버팀목 역할
- 미국 주도의 아시아질서 재편에 중국이 강력한 대응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과시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중국은 정치・군사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
로도 대국으로서 세계의 주목
- 아시아 경제위기의 영향 속에서도 의연한 모습을 보이고 개혁・개방 20년의
성과가 가시화
□ 2000년 중국경제는 정부목표 7%를 상회하는 8% 성장
- 현재 세계 7대 경제대국으로 2000년에 최초로 GDP 규모 1조달러 돌파
- 2000년 인당 GDP는 840달러에 불과하나 일부에서는 구매력평가로 환산할
때 5,000달러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단위
2000
2001
GDP 규모
실질성장률
인당 GDP
구매력평가(PPP) 기준
소비자물가 상승률
산업생산 증가율
실업률
10억달러
%
달러
달러
%
%
%
1,062
8.0
840
4,700
0.6
10.0
7.0
1,168
7.7
915
5,130
2.3
8.8
6.0
외환보유고
총외채
경상수지
수출
수입
무역수지
억달러
대GDP 비중(%)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억달러
1,670
15.3
93
2,317
1,980
337
1,720
14.1
152
2,575
2,301
274
자료: Financial times, 2000.11.13
□ 2001년에도 2000년과 비슷한 수준의 고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10.5
계획기간중(2001-2005년) 연평균 7.8% 의 성장 전망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WTO 가입은 중국경제의 경쟁력 제고와 장기 성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중국경제의 중기전망(10.5계획기간중 GDP 성장률)
(%)
2001
2002
2003
2004
2005
기간중 연평균
8.3
8.0
7.8
7.6
7.4
7.8
주: 중국사회과학원 전망
자료: 미쯔비시 총합연구소, 중국정보핸드북 2000년판
□ 장기적으로 7% 이상의 안정적 성장 지속으로 2010년대에는 미국을 추월하
는 경제대국으로 부상
- 2010년대에 중국은 세계 총생산의 20%를 차지하면서 미국(16%)을 추월
(IMF 장기전망)
・중화경제권의 화교네트워크도 중국의 위상 강화에 일조
- 21세기 중국은 미국, 유럽과 더불어 세계 경제질서의 중요한 축으로 부상
《 중국은 발전을 하려고 해도 돈이 없다? 》
"중국에는 현재 7조 위안의 개인예금이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투자나 간접금융
등으로 기업에 흘러들어가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은 1조 5,000억 위안에
불과하다. 나머지 5조 5,000억 위안이 활용될 때 중국의 경제는 크게 변화할
것이다"
- 상해의 투자컨실팅 회사인 샤상(夏商)그룹의 리앙쩡중(梁正中)총재
(니케이비즈니스 2000.11.27)
□ 최근 중국의 변화는 성장률 등 양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경제・산업 구
조 측면에서 질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음
삼 성 경 제 연 구 소
3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Ⅱ. 새로운 차원의 개방 확대
◇ 중국 경제・산업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주목할 필요
◇ 과거 지역위주 개방에서 산업발전을 고려한 개방으로 전환
◇ WTO 가입이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
1. 중국 경제구조의 급속한 변화 진행중
□ 최근 중국 경제・산업구조가 질적으로 급속한 변화를 겪으면서 21세기 중국
경제의 모습이 전혀 새로운 모습으로 재편성되는 조짐
- 세계의 생산기지로서의 기존 위상 강화
- 새로운 분야의 개방확대와 첨단산업의 발전
- 발전 중심지역들의 부상
□ WTO 가입 이후 중국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
- 중국 산업구조 재편과 경쟁력 강화
- 글로벌 스탠더드의 적용 확대와 경쟁 격화
□ 중국시장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중국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처할
필요성
- 중국은 한국의 3대 무역상대국이며 최대의 투자대상지역
- 우리에게 기회로도 작용하지만 경각심을 가질 필요
삼 성 경 제 연 구 소
4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2. 지역 개방 확대에서 산업 개방 확대로 전환
□ 과거 중국의 개방은 개방지역을 확대하는 형식으로 진행
- 조세혜택 등 인센티브 부여
□ 지역적 개방의 추진과정은 점개방 →선개방 →면개방 →전방위 개방의 점진
적・단계적인 진행
- 1단계는 1978년부터 83년까지 점개방 단계
・80년 최초 개방지역으로 광동성 심천, 주해, 산두와 복건성 하문에 경제특
구 설치
- 2단계는 84년부터 87년의 선개방 단계
・84년 14개 연해지역의 주요 항만도시를 개방도시로 지정하고 경제기술개발
구 설치
・85년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및 민남삼각주를 개방지역으로 지정
- 3단계는 88년부터 91년의 면개방 단계
・88년 산동반도, 요동반도 및 환발해지역이 경제개방구로 지정
- 4단계는 92년 이후 전방위 개방단계
・등소평의 남순강화(南巡講話: 92년초 심천, 광주 등 남부지역을 순시하며
개혁개방의 가속화를 역설) 이후 국경지역 및 내륙지역으로 개방 확산
□ 발전의 기초를 만들기 위한 지역적 개방의 확대로부터 산업발전을 고려한 산
업정책적・전략적 차원의 개방으로 전환중
-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산업과 서비스분야에서의 개방확대로 발전하는 추세
・정보통신, 인터넷, 금융, 유통 등
・산업적 측면에서 기존의 개방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전통산업 분야 위주
삼 성 경 제 연 구 소
5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중국 개방확대의 변화 추이
지역적 개방의 확산
-
발전의 토대 구축
첨단산업 중심지 등
발전의 중심지 부상
산업적 측면
- 제조업을 중심으로
전통산업 분야
고부가가치 산업
- IT 등 첨단산업
- 서비스산업
20세 기
2 1세기 W
TO 가입계기
경제・산업구조
의 재편과정
□ 중국은 90년대 들어와 관세율 인하 등 지속적으로 개방 확대
- 평균관세율(공업제품)은 2001년 1월 현재 15.3%에서 2005년까지 9.4%로
인하할 계획
- 특히 첨단기술 분야는 2005년까지 관세 철폐 계획
・반도체, 컴퓨터, 컴퓨터설비, 전자통신설비 및 기타 첨단기술제품
중국의 주요 시장개방 계획
구분
관세율
- 2001년 평균관세율(공업제품) 15.3%에서 2005년까지 9.4% 로 인하
- IT 관련 첨단제품 현행 평균관세율 13.3%에서 2005년까지 무관세화
정보
통신
- WTO 가입후 4년 이내: 외자비율 49% 까지 허용
(고부가가치 제품에는 50% 이상 출자 허용)
서비스
<금융>
- 보험 외자지분 확대(51%)
- 외자계 은행의 위안화 취급업무 허용
- 외자계 은행의 지역적 영업제한 등 완화
<유통>
- 투자개방, WTO 가입 이후 3년내 국내판매비율 규제 철폐
자동차 - 자동차세율 2005년까지 약 25% 로 인하(현행 80100%)
삼 성 경 제 연 구 소
6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2001년 상반기중으로 예상되는 WTO 가입은 이같은 중국의 개방 추세를 더
욱 가속화시킬 전망
- 중국은 86년 7월 GATT 복귀 신청 이후 14년간 WTO 가입을 추진해 왔으
며 2001년 상반기중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할 전망
・99년 11월 미중협상 타결로 가입 가시화
- 현재 WTO 기구내에서 가입조건의 최종 조정작업 진행중
・WTO 이사회 승인, 전국인민대표대회 비준 등의 절차에 수개월 소요
□ WTO 가입은 중국경제 및 세계경제에 있어 큰 의미가 있으며 21세기 중국의
경제환경 변화중 가장 중요한 사건중 하나
《 중국의 WTO 가입의 의미 》
□ 세계 경제・무역의 확대 발전과 국제무역 질서의 안정에 기여
- 10대 무역국 중국의 가입으로 세계 20대 무역국이 모두 WTO 회원국
□ 중국의 국제경제적 위상 제고와 실익 증대
- 중국은 단순한 시장제공자의 역할에서 벗어나 세계경제 질서 및 무역체제와
관련한 뉴라운드 수립에 주도적으로 참여(개도국 입지 강화)
- 모든 WTO 회원국들로부터 최혜국(MFN) 대우
- 다자간 협의의 틀 속에서 무역분쟁 해결
□ 장기적으로 중국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
- 개혁 가속화와 개방 확대, 중국경제의 활성화
- 글로벌스탠더드의 적용 확산과 외국인투자・무역의 활성화
□ 중국 사업환경의 전반적 개선
- 제도, 법규의 투명성 제고
- 내국인대우의 정착
- 중국사업의 중요성 제고 : 21세기 한국경제(기업) 활로를 위한 시장
삼 성 경 제 연 구 소
7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Ⅲ. 산업구조의 변화
◇ 세계 생산기지로서의 위상은 지속・강화
◇ 정보통신, 인터넷 등 첨단산업의 급부상
◇ WTO 가입 이후 산업구조 재편 가속화
1. 중국은 '세계의 공장'
□ 중국은 세계 생산기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음
- 세계에서 생산 비중이 1위인 주요 중국 제품들
・TV,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오토바이, 복사기, 프린터 등
・TV는 세계 전체의 약 40%, 에어컨, 오토바이는 50% 내외, 복사기는 60%
- 최근에는 생산량에서 1위일 뿐아니라 품목도 구형이 아닌 최신형으로 재편
・예를 들어 TV의 경우 최신형 대화면 평면 브라운관 TV 생산
중국이 세계생산 1위인 주요 제품
(만대, %)
제 품
세계시장 규모
중국 생산량
중국의 비중
TV
11,787
4,262
36.2
세탁기
5,717
1,342
23.5
에어컨
2,670
1,338
50.1
냉장고
5,736
1,210
21.1
오토바이
2,000
978
48.9
주: 1999년 기준
자료: 중국통계연감, Nikkei Business 2000.11.27일호
□ 이와 같이 생산의 급증으로 중국의 가전시장은 대도시 지역에서 고급품을 지
향하는 대체수요를 제외하고는 이미 거의 포화상태
삼 성 경 제 연 구 소
8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기존의 백색가전은 고급화되고 있으며 V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PC
등 고급 AV 및 정보가전 시장이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확대
・저가・저질제품의 시대는 지나갔으며 첨단기술 제품이 주력 제품으로 전환
- 중국은 가전 전제품에서 일본의 과거 년간 최대생산량을 넘어서 세계 최대의
가전생산국으로 부상
중국의 주요 가전제품 생산량
(만대)
가정용 냉장고
가정용 세탁기
에어컨
CTV
1980
1990
1995
1996
1997
1998
1999
4.9
463.1
918.5
979.9
1,044.4
1,060.0
1,210.0
24.5
662.7
948.4
1,074.7
1,254.5
1,207.3
1,342.2
1.3
24.1
682.6
786.2
974.0
1,156.9
1,337.8
3.2
1,033.0
2,057.7
2,537.6
2,711.3
3,497.0
4,262.0
자료: 중국통계연감
아시아경제연구소, 중국산업핸드북(2001-2002년판)
□ 중국의 압도적 가격경쟁력과 급속한 품질 향상 등으로 일본의 주요 전자업체
들은 중국으로 생산거점을 옮기고 있음
중국으로 생산거점을 옮긴 일본 대기업
TV
마쓰시다전기, 도시바, 산요전기, 미쯔비시전기
비디오
도시바
미니콤포넌트, 포터블 CD
산요전기, 샤프
DVD 플레이어
산요전기
전자레인지
마쓰시다전기, 산요전기
에어컨
샤프
복사기
샤프, 미놀타
휴대전화
마쓰시다통신공업
삼 성 경 제 연 구 소
9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제조업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의 수준에 있는 일본도 그 위상을 중국에 빼앗
길 것을 우려하고 있는 정도
《 일본기업도 중국에 경각심 》
"오토바이, 가전, 조선 등은 5년 이내, 철강, 중전(重電), 화학은 10년 이내,
기타 공업제품들도 20년후에는 중국이 일본의 강적으로 성장할 것"
- 미쯔이 물산 전략연구소 沈才彬 주임연구원
□ 중국은 생산량 뿐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기업경영, 기술 등에 있어서도 세계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음
- '세계의 공장'으로서의 입지 강화는 단순히 풍부한 노동력, 저렴한 임금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님
《 최근 추세로 본 중국의 기업경영에 대한 잘못된 선입관 》
"기업은 국유, 경영자는 정부관료"
- 최근 젊은 경영자들의 활약과 민간자본기업의 대두가 두드러짐
- 80년 전체의 76%를 차지했던 국유기업의 공업 생산액은 99년 28.2%
"사회주의 악평등으로 낮은 근무의욕"
- 중국 최대의 가전업체 하이얼(海爾)그룹: 사원 아이디어의 가격화 및 공개
로 급여격차는 최대 10배(사원의 제안을 가격으로 평가하고 공개 평가)
- 유선전화기 부문에서 11년간 1위를 지키고 있는 TCL그룹: 유사 스톡옵션
제도, 자회사 주식의 40%를 관리직에게 분배, 업적이 목표를 초과하면 배
당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너스로 지급하는 방식
- 중국 최대의 PC업체 리앤샹(連想)그룹: 상사, 부하, 동료들로부터 360도
평가제도, 정형화된 승진・급여제도가 없음
"정부의 지시없이 움직이지 않는 전근대적 경영"
- 구미식 기법 흡수, 경쟁 격화로 인한 경영혁신 진행중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0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2. 떠오르는 산업들 : 정보통신 등 첨단산업 급부상
□ 첨단산업의 생산거점으로서도 중국의 중요성은 증가
- 2000년 중국내 IT제품 생산은 전년비 38.4% 성장한 255억 달러로 처음으
로 대만을 추월하면서 세계 3위로 부상
・미국 1위(885억 달러), 일본 2위(455억 달러), 대만은 전년비 9.8% 성장한
231억 달러
・대만의 생산기반의 중국으로 이동하는 추세도 가세
정보통신 : 최근 급부상, 최대의 경쟁시장
□ 반도체, 정보통신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중국 토착기업의 국제적 경쟁력은 아
직 미흡하며, 구미기업이 일찍부터 진출하여 시장을 선점
- 휴대전화 시장은 노키아, 모토롤라, 에릭슨이 선점
- 컴퓨터・정보시스템 분야는 IBM이 선두
- 소프트웨어 개발은 인텔, 모토롤라 등이 선두
□ 중국 하이테크 산업의 높은 질적 수준은 휴대전화가 증명
- 휴대전화는 반도체, 액정, 정밀부품을 고밀도로 결합한 '하이테크 부품의 집
적체'
- 수요의 폭발적 증가만큼이나 선진기업들의 경쟁이 치열
・중국의 휴대전화 사용자 수는 2001년에 1억명 이상, 2005년에 3억명으로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
- 중국의 휴대전화 시장은 노키아, 모토롤라, 에릭슨 등 빅3가 지배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1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2위 그룹은 지멘스, 알카텔, 필립스 등
중국의 휴대전화 사용자 추이(년말)
(만명)
1996
1997
1998
1999
2000(추정)
685
1,323
2,528
4,324
7,000
- 상해를 중심으로 한 장강델타 지역에 구미 제조업체들이 집중되어 있으며 최
근 선진업체들의 현지투자 강화
・선두기업인 노키아, 모토롤라는 2000년에 중국투자를 각각 160억, 100억
위안으로 확대, 현지 사업기반 강화
・지멘스는 향후 4년간 5억달러 추가투자, 해외투자로는 최대 규모인 총 10
억달러를 중국 이동통신사업에 투입할 방침
・알카텔은 99년 8,400만달러 투입, 소주에 휴대전화 공장 설립
・그간 현지진출에 소극적이던 NEC, 마쓰시다통신 등 일본업체들도 중국진출
을 본격화
・한국 업체는 휴대전화의 현지 생산공장이 아직 없음
□ 특히 WTO 가입 이후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개방확대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
기업들의 대거 진출 예상
- 미국과의 WTO 가입협상 과정에서 중국측으로서는 파격적인 개방안 제시
정보통신산업의 시장개방에 관한 미중합의 내용
- 지리적 규제의 철폐(46년)
・비퍼(삐삐) 서비스, 부가가치통신 등은 4년안에 규제 철폐
・자동차 전화는 5년안에, 국내전화선 배선은 6년안에 규제 철폐
- 북경, 상해, 광주에서는 WTO 가입시 전분야의 서비스 개방
- 외국인투자 지분(WTO 가입후 4년까지)
・부가가치통신 및 비퍼(삐삐) 서비스는 외자 지분 51%
・기타 모든 전기통신서비스는 외자 지분 49%
자료: 미쯔비시총합연구소, 중국정보 핸드북 1999년판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2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이미 모토롤라, IBM, AT&T, 컴팩, 루슨트테크놀로지, 휴렛패커드 등 미국
선진업체들의 대형 미중협력 프로젝트가 계획, 추진중
- 이동통신, 컴퓨터, 통신서비스, 통신망 등
계획・ 추진중인 미중협력 프로젝트(정보통신 분야)
프로젝트
중국측
미국측
내용
이동통신기지
설비 구입
・호남성 우전관리국 모토롤라
- 휴대전화 기지국의 확장공사
- 규모: 2억 6,000만 달러 수주
국가우정
종합컴퓨터망
프로젝트
・국가우정국
휴렛패커드
IBM
컴팩
- 우정 종합 컴퓨터망의 호스트
컴퓨터 구입
CDMA
이동통신설비
물품공급
・중국전신
・북경 전신관리국
모토롤라
- 35개소의 통신기지 가설에 사용
- 북경시 및 주변, 주요 관광포스
트를 연결
CDMA
이동통신설비
물품공급
・광동이동통신 유한
책임공사
・광동기기 진출구
유한공사
루슨트
테크놀로지
- 광주시 및 인근 도시의 4개소
- 광동성 CDMA 통신망기지는
45개소로 증설
국가과학기술
네트워크 유
한공사 설립
・중국전신
・상해시 우전관리국
루슨트
테크놀로지
- 총투자액 2,980만 달러
자본금 1,200만 달러
- 통신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대형
소프트웨어 개발사업
부가가치통신
업 합자회사
・상해시 우전관리국 AT&T
- 상해시 포동지역에 건설
주: 1999년 이후 협의된 내용들
□ 미국의 진출에 위협을 느끼고 있는 후지쯔(富士通), 도시바(東芝), NEC 등
일본의 대기업들도 중국시장 진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주로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일본측의 응용기술과 연구 성과의 사업화 능력과
중국측의 기초연구 능력의 결합을 통해 기술협력 관계 구축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3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인터넷 : 최고의 발전속도
□ 중국의 인터넷 산업은 발전의 초기단계이나 발전속도에 있어서는 세계 최고
- 빠른 속도로 확대되는 시장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인터넷 이용자
□ 중국의 인터넷 인구는 이미 1,000만명을 돌파하여 2000년 6월말 기준으로
1,690만명
- 중국 인터넷네트워크 정보센터(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CNNIC)의 발표에 따르면 99년말 890만명에서 반년만에 두배 가까이 확대
- 2000년 6월말 기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수는 650만대로 99년말 350만
대에서 86% 급증
중국의 인터넷 발전 현황(2000년 6월말 기준)
구분
수량
비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
터 수(만대)
650
(99 년말 350)
- 전용선 이용 101 만, 전화선 549 만
인터넷 사용자(만명)
1,690
(99 년말 890)
- 전용선 이용 258 만, 전화선 1,176만,
병행 256 만
등록(.cn) 도메인수(개)
99,734
(99년말 48,695)
- 그중 co.cn 이 78,878개로 79.1%
- 지역별 분포: 북경(38.2%), 광동(13.9
%), 상해(8.6%) 에 집중
Website 수(개)
27,289 99년말 15,153
국제선 연결 용량
1,234M 99년말 351M
자료: CNNIC, Semiannual Survey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China's Internet ,
2000.7
□ 향후 중국의 인터넷 발전은 중국 정부의 정책과 태도가 가장 중요한 관건중
하나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4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중국의 규제적 환경이 가장 큰 문제
・중국의 체제적 특성상 당분간 인터넷 및 정보 관련 규제가 지속될 것
- 장기적으로는 개방, 규제완화가 대세
중국의 인터넷 비지니스 발전 촉진・ 장애 요인
촉진요인
- 초기 발전단계 : 무한한 성장 잠재력
- WTO 가입을 계기로 대외개방 확대
- 내부적으로 중국 정부의 정보화 산업에 대한 적극 육성정책
장애요인
- 중국의 규제적 환경
・외부적으로 인터넷 산업에 대한 외자기업 규제
・중국의 체제적 특성상 정보통제
- 아직까지 미비한 인프라와 높은 통신비용
- 중국의 전통적 상관습, 문화와 인터넷 비지니스의 괴리
- 지역별, 소득별, 성별 등에 따른 인터넷 사용자의 극심한 편차
반도체 : 기술수준은 뒤져있으나 외자기업 진출 증가
□ 중국 반도체산업은 군사용 전자제품(레이다, 군사용 통신기기)의 수요에 의해
발전이 시작되었으며 아직까지 생산력과 기술수준에 있어 선진국에 크게 뒤
져있는 상태
- 90년대 이후 반도체 제품의 수요구조는 컴퓨터관련 약 50%, 가전 30%, 통
신기기 15% 등
□ 중국의 반도체 생산규모는 88년에 1억개를 넘었으며 95년 5억개 돌파, 97
년 20억개 돌파 등 지속적 성장
- 그러나 90년대말 중국의 생산량은 일본의 70년대말 수준에 불과
- 2005년 200억개(800억 위안, 세계시장 점유율 2%), 2010년 500억개(2천
위안, 세계시장 점유율 5%) 전망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5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2010년 반도체 자급율은 50%에 이르게 될 전망
중국의 반도체 무역・생산 현황
(백만달러, 백만개)
무역
생산
수출
수입
중국
일본
1980
1985
1990
1995
1996
1997
1998
n.a
n.a
0.65
370
870
855
1,140
n.a
n.a
144.5
2,200
3,800
3,490
4,790
17
64
108
515
709
2,110
1,515
2,660
9,294
16,054
22,955
21,745
25,615
25,236
자료: 아시아경제연구소, 중국산업핸드북 2001-2002년판
□ 중국의 반도체 제조기술은 세계의 선진 기술수준에 비하면 약 2-3세대 뒤진
것으로 평가
- DRAM의 경우 반도체 선진국들은 집적도 64M바이트, 선폭 0.25 미크론 이
하, 웨이퍼사이즈 8-12인치의 양산기술
・중국의 국유 IC 제조업체(외자계 제외)는 집적도 256K바이트, 선폭 1-2미
크론, 웨이퍼사이즈 6인치의 기술수준
세계와 중국의 반도체 양산 기술수준 비교(메모리 DRAM)
(미크론, 인치)
세계
중국
집적도
선폭
웨이퍼사이즈
집적도
선폭
웨이퍼사이즈
1986
1990
1996
1998
256K
1M
16M
64M
2
1-1.2
0.5-0.6
0.25
4
4-6
8
8-12
1K-4K
16K
16K
256K
5-8
5
1-2
1-2
2-3
3
3
6
자료: 중국산업핸드북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6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중국시장의 반도체 수요 확대 전망에 따라 92년부터 외자계 반도체 제조업
체가 진출하기 시작하여 현재 30여개 제조업체중 절반 정도가 외자계기업
- 외국기업들의 진출은 구미계가 선도
・네덜란드의 필립스, 벨기에의 벨, 미국의 모토롤라 등
- 이에 자극을 받은 일본기업들의 진출도 최근 활발
・NEC는 중국 반도체 생산의 전략적 중요성을 재확인, 2000년 300억엔을
상해 합자공장에 투자, 생산규모를 2배로 증가
・당초 중국에서의 반도체 생산은 PC용 DRAM의 수출을 위한 생산이 주목적
이었으나 중국시장 수요 증가로 휴대전화용 반도체 보강
- 중국의 반도체시장은 2010년에 미국시장에 이어 세계 2위 전망
중국의 주요 외자계 반도체 기업
기업명
기업형태
소재지
주요제품
생산능력, 비고
모토롤라(중국)
전자유한공사
단독출자
천진시
IC
후공정조립
전공정은 건설중, 매출액 1위
수강(首鋼)NEC
전자유한공사
합자, NEC
북경시
DRAM 등
전공정: 8,000개/월
후공정: 8,000만개/월
매출액 2위
상해선진반도체
공사
합자,
필립스
상해시
IC
전공정: 1만개/월
매출액 3위
미쯔비시사통 (四
通)유한공사
합자
미쯔비시전기
북경시
DRAM,
ASIC
후공정조립
히다찌반도체
소주유한공사
합자
히다찌
소주시
DRAM
후공정조립
무석화지(無錫華
芝)반도체 유한
공사
합자
도시바
무석시
1M
/DRAM
200만개/월
후공정조립
삼성전자
합자
소주시
DRAM
후공정조립
자료: 중국산업핸드북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7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3. 중국 산업구조의 고도화 진전
□ WTO 가입 이후 중국 산업구조의 재편 가속화
- 시장개방 확대로 산업구조 고도화 진전
・외국 선진업체들의 진출에 따른 경쟁으로 구조개편 불가피
- 산업구조 재편 과정에서 중국 산업구조의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
・외국 선진기업들(고부가가치 산업) vs 경쟁도태 기업(저부가가치형 산업)
・경쟁력이 약한 중국기업의 도산
- 중장기적으로 중국경제의 경쟁력과 체질 강화에 기여
□ 특히 정보통신, 석유화학, 자동차 등 중국의 기간산업에 큰 영향
- 정보통신산업은 중국의 WTO 가입과 관련하여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될 산업
중 하나
・중국 정보통신 시장의 개방은 세계유명 정보통신업체 및 설비 공급업체에게
대규모의 시장을 제공
・외국기업의 대거 진출로 구조 고도화 가속
- 석유화학산업은 국제적 경쟁에 노출됨으로써 체질개선의 기회
・세계적인 대형기업들의 직접투자 증가: 산업 특성상 대규모 자본투자 필요
・대형 기업들의 경쟁과 국내 업체의 재편 진전
- 자동차 업계의 재편과 구조조정이 가속화
・현재 중국의 자동차 업계는 매우 영세한 수준
・활발한 M&A 및 소형 자동차 회사의 대거 도산
- 그밖에 금융, 유통 등 서비스산업의 발전 자극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8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주요 산업별 영향
산 업
정보통신
- 세계유명 정보통신업체 및 설비 공급업체에 대규모 시장제공
- 특히 미국기업의 대거 진출 예상, 산업구조 고도화 기여
가전산업
- 이미 국내외 업체의 경쟁이 치열한 산업
- 세계 유명브랜드의 경쟁 격화
석유화학
- 장치산업 특성상 대규모 자본투자 필요
- 세계적 대형기업들의 진출 증가, 국내업계 재편
자동차
- 활발한 M&A, 도산 등 업계 재편 가속
금융・서비스
- 진행되고 있는 금융개혁 가속
- 서비스산업 발전 자극
중국의 산업지도 변화 개요
전통 제조업의
재편
세계의 생산기지
위상 지속, 강화
경쟁력 저하산업
도태
산업구조 재편
WTO가입
외국기업진출 가속
디지털시대 도래
첨단산업 태동
첨단산업 급부상
정보통신, 인터넷,
반도체 등
떠오르는 산업군
구조조정, 재편
백색가전→
디지털가전
시장규모
기술(경쟁력) 수준
삼 성 경 제 연 구 소
19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Ⅳ. 주목해야 할 지역
◇ 포동을 포함한 상해지역은 첨단산업・금융의 중심지
◇ 북경 중관촌 지역은 과학기술과 인터넷의 메카
◇ 중국정부는 정책적 차원에서 서부대개발 추진중
첨단산업 발전의 중심지 주목
□ 최근 연해지구 중에서도 상해, 북경 중관촌 등 첨단산업 중심지들의 부상
- 중국의 3대 발전 중심지역들은 북부권(북경, 천진지역), 중부권(상해, 장강델
타지역), 남부권(광주, 심천, 홍콩지역)
□ 포동을 포함한 상해지역은 장강(양자강) 유역 발전의 기점으로서 반도체, IT
산업 등 첨단산업과 금융서비스의 중점 발전지역
- 중국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는 양자강의 발전을 용의 몸통에 비유한다면 상해
는 용의 머리에 해당하는 지역
- 상해지역 경제는 중국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 시현
・2000년 GDP 성장률은 10.2%로 8년 연속 2자리수 성장
・중국 전체에서 차지하는 GDP 비중은 99년 4.6%, 2000년 4.9%
□ 제조업, 하이테크 산업, 서비스 산업 등에서 외국 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
- 폭스바겐, GM, NEC, 소니, 인텔, 휴렛패커드, 루슨트 테크놀로지, 벨, 보쉬,
바스프 등 세계적 선진기업들이 대부분
- 99년 외자계기업의 총생산은 상해 전체 공업생산의 49%(국유기업은 25%)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0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일본기업들은 최근 상해지역을 전략적 투자지역으로서 설정하고 하이테크
분야에서 적극 진출
・반도체, TFT-LCD, 2차전지 등
《 최근 일본기업들의 상해권 지역 투자진출 》
□ 소니 2000년 9월 무석(無錫)에 2차전지 공장 건설
- 투자액 25억엔, 2001년 4월부터 생산 예정
- 휴대전화, 노트 PC 등 소형・경량 하이테크 기기에 사용되는 2차전지
- 아직까지 해외에서 생산해본 적이 없는 첨단제품
- '타사에 없는 선진기술 없이는 중국시장에서 승리할 수 없다'
□ 세이코엡슨 2000년 소주에 최첨단 컬러 액정 대규모 생산라인 건설
- 85억엔 투자, 2001년 4월 완공 예정
- 엡슨은 현재 휴대전화에 들어가는 액정에서 세계 비중의 40% 차지(2000
년 세계 휴대전화 시장규모는 약 4억대)
- 엡슨의 휴대전화용 액정의 반을 소주에서 생산할 예정: 약 8,000만대분
□ NEC의 상해 반도체 합자공장
- 2000년에 투자 확대, 생산규모 2배로 증가
- 휴대전화용 반도체
- 중국 반도체생산의 전략적 거점
□ 그밖에 상해의 소니(평면 브라운관 TV), 소주의 마쓰시다(휴대폰) 등
□ 상해 포동지구는 다른 경제특구보다 10년 늦은 90년에 국가급 개발구로 지
정되었지만 중국 개혁개방의 최선두로서 세계의 주목
- 금융무역구(국제금융센터), 수출가공구(신흥산업과 하이테크기업의 밀집), 보
세구(자유무역, 창고, 수출가공기지), 하이테크구(하이테크산업, 바이오테크
놀로지) 등으로 발전
□ 장강델타지역은 향후 세계의 하이테크 메카로 성장할 전망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1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상해 및 인근 소주(蘇州), 무석(無錫) 등 장강델타지역에 구미일 제조업체들
이 집중되어 글로벌경쟁의 축소판
□ 중국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는 북경 중관촌(中關村) 지역은 중국 인터넷 산업
및 과학기술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는 지역
- 중관촌이 중국 지식산업의 중심지로 등장한 것은 1988년
・88년 8월 중국정부는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장기전략의
일환으로 중관촌을 제1호 첨단기술 개발구로 지정
・현재까지 중국 전역의 첨단기술 개발구는 총 53개소 지정
- 중국 최고의 두뇌집단과 함께 미국 IBM, GE, 일본 미쯔비시 등 130여개의
세계적 기업 및 랜샹(聯想), 베이다팡정(北大方正), 스퉁(四通) 등 중국의 유
명 첨단기업들 입주
- 중국정부는 중관촌을 중국 과학기술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계획하에 향후
10년간 총 2,000억 위안(약 28조원)을 투입할 예정
중국의 실리콘 밸리 중관촌 현황
구분
내용
위치
- 북경 서부 외곽의 하이디앤구(海淀區)
・북경대와 청화대, 북경 이공대 등 중국 유수의 대학들 밀집
구성
- 전자상가단지와 '중관촌과학촌', '정보산업단지'로 구성
・과학촌은 중국과학원과 중국공정원의 연구인력 1만 5,000명을 보유한
중국 최고 두뇌집단
・정보산업단지는 미국 IBM, GE, 일본 미쯔비시 등 130 여개 세계적 기
업들과 중국의 첨단 중견기업들이 입주
외형
-
99년말 현재 입주한 첨단 과학기술 업체수 : 6,690개사
- 총매출 : 89년 17.8억 위안 → 99년 846.1 억 위안(12 조원)으로 10년
동안 48배 확대, 2000년 매출액 목표 1,100억 위안(15 조원),
2010년 6,000억 위안(84 조원) 전망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2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중앙정부의 주도와 집중적 지원하에 서부대개발을 대대적으로 추진중
- 개혁・개방 이후의 동서간 빈부격차 확대, 이로 인한 지역적 불만, 환경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해결
- 중국 전지역으로 발전을 확대하고 외국인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추진
・이미 개방, 발전된 연해지역은 외국인 인센티브를 점차 줄이고 있는 추세인
데 비해 서부대개발에 대해서는 인센티브 지원으로 적극 장려
□ 중국 서부는 광활한 면적과 풍부한 천연자원 매장에도 불구하고 낙후되어 주
민생활은 중국에서 최저수준
중국 서부지역 개요
지역 범위
- 사천, 감숙, 귀주, 운남, 청해, 산서, 중경시, 영하, 티벳, 신강, 등 10
개 성・시・자치구
면적
- 54.5만㎢(중국 전체의 56%)
인구
- 2.88 억명(중국전체의 23%)
소득수준
- 중국 전체 GDP의 14%
- 중국 전체 극빈층 8,000만명중 절반이 이 지역에 거주
- 서부지역 농민의 1년 수입은 1,200위안(17 만원)으로 연해지역 농민수
입의 1/3 수준
천연자원
- 중국 전체 수자원량의 82%, 천연가스의 86%, 석탄의 36%
□ 서부대개발의 중점 투자항목은 천연 자원개발을 위한 기초 인프라 건설
- 도로, 철도, 공항 등의 인프라 건설
・향후 10년간 15만㎞의 고속도로 건설 계획
- 석유, 천연가스, 광산물 등의 자원개발과 전기・통신・수도, 환경보호, 교육
및 위생서비스 등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3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최대 프로젝트는 중국 최대의 천연가스 매장지인 신강 타림분지에서 상해까
지의 천연가스 수송관 건설공사(西氣東輸)
- 총연장 4,212㎞, 1차 투자액 555억위안
・2007년 완공 계획, 연간 수송능력 240억㎥
□ 서부대개발은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에 착수했으나 워낙 열악한 인프
라 등으로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
- 중국정부도 계획수립과 기초건설에만 5년 계획, 50-100년을 보는 사업
- 장기적으로 새로운 비단길 구상 계획
・강소성-서안-성도-난주-우루무치-모스크바-암스테르담의 11,000㎞ 철도
연결 구상(뉴라시아 Land Bridge: 新大陸橋)
중국의 지역적 발전 개념도
북경, 중관촌,
천진지역
상해, 장강델타지역
장강발전의 기점
광주, 심천,
홍콩지역
장강유역 발전
서부대개발
아시아, 태평양
화남경제권
(중화경제권)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4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Ⅴ. 시사점
제2의 중국붐 재연 전망
□ 새로운 사업기회의 확대, 수요의 창출 등으로 제2의 중국붐이 재연될 전망
- 제1의 붐은 92년초 등소평의 남순강화 이후인 9293년
・92년 외국인 직접투자(계약액)는 개방 이후 10여년간(7991년)의 누계액
523억 달러를 넘는 581억 달러
・93년은 다시 그간의 누계액을 초과하는 1,114억 달러
□ 신규 사업분야의 개방과 투자환경 개선으로 외국인투자 급증 예상
-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실행액 기준)는 99년 403억 달러에서 2005년 1,000
억 달러 이상으로 급증할 전망(중국 사회과학원)
- 세계자원의 중국이동
한국의 입지 축소 우려
□ 한편 중국의 급부상에 따라 한국기업(경제)의 위상은 축소될 가능성
- 중국은 시장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우리의 경쟁자로서의 지위 강화
□ 외국 선진기업의 입장에서 중국, 한국, 일본 등은 같은 아시아 시장권, 따라
서 아시아의 전략적 생산기지로서 한국보다 중국을 택할 가능성이 큼
- 국경없는 경제전쟁 시대에 세계적인 생산구조의 변화
- 우리나라의 섬유・의류, 백색가전 등 기존 한계산업들의 도태 우려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5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신규 개방되는 첨단분야에서도 우리의 경쟁력은 열위
- 정보통신, 디지털 가전, 인터넷, 유통, 금융 등 첨단산업과 서비스 분야에서
의 중국시장 개방 확대로 사업기회는 많아지나 한국의 경쟁력은 일부 기업
(품목)을 제외하고는 선진국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뒤져 있는 실정
- 중국시장내 경쟁도 격화
□ 중국의 입장에서도 한국기업은 구미 선진기업에 비해 우월한 전략적 파트너
는 아님
중국의 변화와 부상에 경각심을 가질 필요
□ 중국의 변화와 성장은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진행
- 현재의 중국경제 발전 모습은 과거의 상상을 초월
・예컨대 한국에서 과거 마이카 시대를 거론했을 때 요원한 것 같은 시대가
있었으나 결국 현실화
・중국의 경우 변화 속도는 한국보다 훨씬 빠름
□ 개방 이후 20년간의 경제적 성과와 변화가 21세기에는 불과 몇년 사이에 일
어날 수 있음
- 발전의 초기단계에 있는 산업분야는 시장이 급속히 성장
- 제조업 기술의 세계적 수준에 있는 일본조차도 중국의 발전에 경각심
장기적으로 중국시장은 한국경제의 활로
□ 그러나 너무 비관만 할 필요는 없음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6
- 향후 변화하는 중국의 사업환경이나 조건은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것
이므로 성급한 낙관도 비관도 할 필요없음
□ 장기적으로 중국 사업환경 전망은 낙관적이며 중국시장은 한국경제의 활로
- 제도 및 정책의 투명성과 일관성 제고, 사업환경의 장기적 예측 가능성 등으
로 대중국 사업의 안정성 제고
- 중국시장은 일회성 시장이 아니며 장기에 걸친 사업대상 시장
・장기적인 수요 확대 및 새로운 수요의 창출시장
중국시장에 대한 기존관념에서 탈피해야
□ 중국은 더이상 저가의 저급한 단계의 시장이 아님
- 가격경쟁력, 저임금 등 중국시장에 대한 전통적 사고에서 탈피해야 함
・시장에서 가격경쟁력 보다 품질과 서비스, 마케팅의 중요성 증가
・저급기술 이전은 지양
□ 문제는 실력(경쟁력)임
- 중국시장에서 승리하면 세계시장에서 승리할 수 있음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면 중장기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경쟁에서 도태
□ 한중 기술협력의 중요성
- 중국을 최종 제품시장으로만 생각해서는 안될 것임
・진출 초기단계부터 기술합작에 의한 경제협력이 상호 이익을 극대화
・기술과 인력의 협력
・중국시장에 맞는 아이템의 개발
중국 경제・ 산업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삼 성 경 제 연 구 소
27

중국의 산업구조

... 전망 - 중국 산업구조 재편과 경쟁력 강화 - 글로벌 스탠더드의 적용 확대와 경쟁 격화 □ 중국시장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중국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중국의 산업구조

... 그리고, 중국 산업구조가 앞으로는 어떻게 변할 것인지... 답변부탁드립니다. 2007년 기준으로 중국의 국내총생산은 3조2,055억 달러입니다. 산업구조를 보면 농업 등...

중국의 주요산업!

... 과거 , 현재 , 미래 를 알 수 있습니다 정보만 제공해드릴테니 알맞게 추려내는 건 님 몫 입니다 중국 산업 구조조정 급물살을 타다 - 2015년까지 10개 사 내외 대기업...

중국의 산업

... 지식 많은 여러분들께 제 방학공부 맞길바입니다 ㅠㅠ 중국의 국내총생산은 3조2,055억 달러. 산업구조를 보면 농업 등 1차산업이 11.1%, 제조업 등 2차산업 48.5%, 서비스업...

우리나라와 다른나라의 산업구조...

... 미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의 산업구조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와 비교해 보자. 두개의 질문중에 하나만 이라도 답변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거제도 산업구조변화

... 거제도 산업구조변화 거제도는 해양수산업이 중심이었던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이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2....

중국의 개혁개방

중국이 개혁개방을 실시한 이후, 중국의 산업구조는 크게 변하였다. 기존의 산업구조와 개혁개방이후의 산업 구조가 갖는 특징적변화에 대해 논하고 향후 중국의 산업구조에...

중국투자론 외상투자산업지도목록

중국투자론에 대해 배우고있는데요 외상투자산업지도 목록 을 통해 장려 허가 제한... 산업구조조정목록이라는 것이 또 있어서 이를 참조하고 아울러 투자계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