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을 배우려고합니다

심리학을 배우려고합니다

작성일 2008.10.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처음으로 한걸음을 내딛는데요

 

뭘뭔저 시작해야할지 모르겠어서 몇가지 질문하겠습니다

 

일단

 

먼저 시작하는사람들이 읽어야할 책이 뭔지알려주시구요 딱히

 

정해진 시리즈가 없다면 시작단계수준의 책을 추천해주세요

 

(책가격은 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리고 심리학을 공부하면 어떤 직업을 가질수있는지 알려주시구요

 

심리학의 종류를 알려주세요(일반적으로 심리학을 배운다면 꼭배워야하는것)

 

나이는 20대구요 이해력에 관계없이 책을 추천해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심리학에 관심이 가기 시작하셨나봅니다...

요즘 심리학에 관한 다양한 서적들이 많이 나와 있어서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종류만도 수십가지는 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전공자가 아니시라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일반교양심리서적을 읽으시고,

어느정도 이해도를 높혀서 워밍업이 되셨다 싶으시면

조금 심도있는 전문서적을 읽어보시면 심리학의 이해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궁금하신 심리학의 종류에 대해 간단하게 몇가지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심리학이란 이런 종류가 있구나....하는 정도로 대충 감만 잡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우선 심리학이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그럼 인간의 무엇을 연구하느냐... 인간의 내면, 즉 의식과 행동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더 쉽게 말하면 마음을 연구한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정확하게는 마음의 학문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심리학의 정의를 사전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심리학이란 생물체의 의식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

심리학을 어원상으로 보면 사이키(psyche)의 학문이라는 말로, 즉 ‘마음의 학문’이라는 뜻이 되지만 그렇다고 심리학을 마음의 학문이라고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심리학이 연구대상으로 삼는 ‘마음’이라는 것은 다의적(多義的)인 동시에 다차원적(多次元的)이기 때문에 이 마음의 어떤 측면, 어떤 차원을 대상으로 삼는가에 대해서는 시대적으로도 입장과 학파에 따라 차이가 있고, 각 학파나 시대에서 제기하는 정의라는 것 또한 같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자~ 그럼 심리학의 종류에는 아래와 같습니다.

 

지각심리학[Perceptual Psychology]

지각심리학이란 특히 인간 인지체계의 전의식적 내적 국면들에 집중하는 인지심리학의 하위영역입니다.

유기체가 감각기관을 통해 환경사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여 지각표상을 형성하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써, 지각심리학은 주된 연구대상과 방법에 따라 생리학적, 정신물리학적, 인지적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생리학적 접근은 환경사상의 에너지를 신경흥분으로 변환하는 감각기관의 구조적 특징과 감각자료를 바탕으로 지각경험에 이르게 하는 뇌 과정을 연구합니다.
정신물리학적 접근은 환경 에너지의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감각과 지각경험 간의 양적 함수 관계를 연구합니다.
인지적 접근은 유기체의 사전경험이나 맥락 또는 주의집중에 따른 지각 현상의 다양성을 연구합니다.

 

인지심리학 [cognitive psychology]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 인간의 여러 가지 고차원적 정신과정의 성질과 작용 방식의 해명을 목표로 하는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인간이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획득한 지식을 구조화하여 축적하는 메커니즘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합니다. 인공지능·언어학과 함께 최근의 새로운 학제적(學際的) 기초과학인 인지과학의 주요한 분야를 이룹니다.

인지(cognition)란 인식으로도 번역되며, 온갖 사물을 알아보고 그것을 기억하며 추리해서 결론을 얻어내고, 그로 인해 생긴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정신적인 과정으로서 오랜 세월 동안 심리학이나 철학·의학 분야의 중요한 주제가 되어 왔습니다. 그 중 지식의 기원이나 한계 등의 추상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은 철학이 다루고, 각종 정신 활동에 관여하는 두뇌 활동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들의 역할·순환 등에 대한 탐구는 의학이 맡고 있는 한편, 심리학에서는 생각하고 기억하고 추리하고 계산하는 등 많은 정신 활동의 내적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합니다.

방법론적으로는 실험심리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실시하여 그것으로부터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예상 가능한 모델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실험 결과가 애초에 예상했던 것과 어떻게 다르게 나오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인간의 인지과정에 대여하는 구조와 원리를 하나하나 밝혀나가는 것입니다. 정신 활동이라는 특성상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수많은 가설과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함으로써 그 내부 구조를 정확하게 그려내는 것이 인지심리학의 목표입니다. 실험심리학에서는 1920년대 이후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만을 다루려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발달에 따라 정신적인 여러 현상에 대한 관심은 무시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1950년대로 접어들어 정보 개념이 도입되고 이에 따라 통신공학·정보처리 공학·언어학 등이 발달하면서 마음의 내부 구조와 과정을 직접 논하려는 인지심리학이 다시 대두되었습니다.

최근의 인지심리학을 특징짓는 인간관으로는, 《유유아사고발달(乳幼兒思考發達)에 관한 연구》를 펴낸 J.피아제와 《생성문법이론(生成文法理論)》을 펴낸 A.N.촘스키 등을 중심으로 그때까지의 지나친 환경·경험주의적 인간관에서 벗어나 생체의 천성적 능력, 주체적 능동성, 창조성 등의 측면에도 주목하려는 움직임, 인공지능 연구에 촉발되어 인간의 인지과정을 기호조작(記號操作) 과정으로 간주하려는 경향과 그 과정을 명확·세밀하게 기술·설명하려는 움직임, ‘스키마론적 인간관’, 즉 행동에 대한 지식 또는 과거 경험의 축적 영향을 중요시하고 그 메커니즘을 확실하게 밝히려고 노력하는 움직임 등이 큰 흐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은 최근 들어 인지과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

인지심리학·인공지능·언어학의 세 분야에 걸친 새로운 학제적(學際的) 기초과학. 인간 및 일반적·추상적 의미에서의 '지능·인식'의 이해를 지향하며, 그 방법론은 컴퓨터상에 모델화를 중심으로 고도의 형식성과 정밀성을 요구합니다.

1970년대에 들어와, 미국의 인지심리학에서는 인식되어 있는 정보, 즉 '지식(knowledge)'이 인간의 기억 내부에서 어떻게 구조화되어 '표현(represent)'되는가 하는 문제가 크게 다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 문제의 해명에는 종래의 실험분석이나 수치적 해석의 수법으로는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없어, 내부지식의 구조와 작용을 충분히 밝힐 수 있는 동적인 기호처리 모델의 작성이 요구되었습니다. 이런 종류의 모델은 인간의 지적 능력의 '대행(代行)이나 증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컴퓨터상에 프로그램으로 실현됨으로써 당초부터 인공지능연구와 밀접한 연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또, 이들 지식 표현상의 기초적 아이디어는, 언어학에서의 의미표시(표현) 이론을 참고로 한 것이 많고, 더 나아가서는 그 내부지식에의 입출력매체로서 자연언어를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들의 연구와 언어학의 연관도 밀접해졌습니다.

이와 같은 경과를 바탕으로, 위에서 말한 세 분야를 중심으로 한 학제적 연구 교류의 기운이 높아져서, 미국에서는 1977년 학술잡지 《인지과학 Cognition Science》이 발간되었고, 1979년 학회도 설립되었습니다. 현재까지의 성과로는 R.C.섕크를 중심으로 한 문장(텍스트)이나 회화의 이해와 생성의 과정에 대한 이론화, H.A.사이먼의 흐름을 딴 사고과정의 시뮬레이션 연구, D.A.노먼 등에 의한 기억이나 행위 스키머에 관한 연구 등을 들 수가 있습니다. 현재와 앞으로의 테마로서는 언어·기억·사고·지각·학습·발달·감정·의식·신념·행위·사회적 상호작용, 동기부여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교육심리학 [educational psychology]

교육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문제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연구하여 원리를 정립하고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응용심리학 또는 교육학의 한 분야.

교육심리학에서 심리학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학습자의 발달과정이나 학습방법과 관련된 법칙정립이 그 핵심이 되어 가치중립적인 과학적인 연구가 됩니다. 한편 바람직한 방향으로 학습자를 성장하도록 도와준다는 교육적 측면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여기에 가치가 개입됩니다.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의 영역 중에서는 과학적인 성격이 가장 강한 연구영역이지만, 심리적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목표나 교육과정을 타당성 등에 대한 고찰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가치문제를 벗어나기 어려운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심리학[Biological Psychology]

심리학에서 생물심리학, 혹은 정신생물학은 생물학의 원칙을 정신과정 및 행동에 대한 연구에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신생물학은 인간 유아의 경우 초기 애착행동, 거위의 각인행동을 비교하고, 이 두가지 현상에 관련된 이론을 구성하게 됩니다. 생물학적 심리학은 종종 어떤 생물학적 변인들 예를들어 해부학적, 생리학적 혹은 유전적 변인들을 심리학 적 혹은 행동적 변에 대하여 양적 또는 질적으로 관련시켜 증거기반실제(Evidence Based Practice)에 기여토록 노력을 기울여 측정하기도 합니다.

 

 

임상신경심리학[Clinical Neuro Psychology]

임상신경심리학은 한창 성장하는 분야로써 임상시술은 신경심리학 이론, 기초신경과학 및 건강진료의 일반 분야 등에서 영향을 받아 변화하고 있습니다. 직업적인 임상 신경심리학 분야는 심리학과 의학적 신경과학의 결합으로 발전해 나왔으며 임상신경심리학자들이 관여하는 아주 다양한 수련의 유형과 활동의 유형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임상신경심리학자는 뇌종양, 뇌졸증 및 외상에 의해 뇌손상을 입은 환자들을 평가합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여러 장애들이 인지적 기능이나 정서적,행동적 기증과 어떤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고 있으며, 환자의 진단 범위는크게 확장되어 오늘날 임상신경심리학자들은 뇌 손상에 대해 평가할 뿐만 아니라 뇌손상으로 인해 고통받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습니다.

 

 

경제심리학 [psychology of economic behavior]

응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경제생활을 중심으로 인간의 생활형태 또는 태도를 경제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 20세기 초에 H.뮌스터베르크 등이 생각했던 정신공학의 일환으로서의 경제심리학은, 적성검사와 생산능률향상을 목표로 하는 산업심리학(産業心理學)과 거의 같은 내용이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나타난 경영심리학(經營心理學:management psychology)에서는 위에서 말한 내용에 모랄 조사와 심리적 기업조직이론이 첨가되었고 미국에서는 노사관계(勞使關係)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영어에서는 'economic psychology'라는 말은 여간해서 사용하지 않으며, 이것은 경제행동의 심리를 말합니다. 그 속에는 노동자의 심리, 경영자의 자본, 시설투자에 대한 의욕 등도 포함되어야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① 소비자 선호(選好)의 이론, ② 소비함수론(消費函數論), ③ 가계조사의 분석, ④ G.카토나의 소비자 태도지수 등 사회심리적 해석(解析)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사회심리학 [social psychology]

사회적 행동에 관한 여러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사회환경 속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타인과 관계를 가지고, 또 사회의 문화·규범·제도 등의 규제를 받고 생활하는 인간의 경험이나 행동을, 그러한 사회적 여러 조건과의 관련에서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하는 학문입니다. 사회로부터 추상(抽象)된 개인을 주로 다루어 온 심리학과, 인간을 사상(捨象)한 사회나 문화를 주로 다루어 온 사회학이나 문화인류학이 서로 접근하고 교착(交錯)하는 영역에 사회심리학이 등장합니다. 그러므로 사회심리학에서는 중점을 두는 곳과 접근방법이 달라지는 데 따라서 갖가지 입장과 사고방식 및 연구방향이 갈라지게 됩니다.

 


색채심리학 [色彩心理學]    

색채와 관련된 인간의 행동(반응)을 연구하는 심리학.

색채심리학에서는 색각(色覺)의 문제로부터, 색채에 대하여 가지는 인상·조화감 등에 이르는 여러 문제를 다루게 됩니다. 그뿐만 아니라, 생리학·예술·디자인·건축 등과도 관계를 가집니다. 특히, 색채가 어떠하며, 우리 눈에 그것이 어떻게 보이고, 어떤 느낌을 주는지는 색채심리학이 다루는 연구대상 중 가장 주요한 부분입니다.

 


비교심리학 (比較心理學)

개인(個人), 집단(集團), 남녀(男女), 인종(人種), 사회적(社會的) 신분(身分) 또는 정상적(正常的)인 사람과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사람의 서로 다른 점이나 같은 점들을 견주어 연구(硏究)하는 심리학(心理學).

사람과 다른 동물(動物)과를 견주어 연구(硏究)하는 동물(動物) 심리학(心理學)도 포함됩니다. 

 


범죄심리학(犯罪心理學)

범죄자(犯罪者)의 성격(性格), 범죄(犯罪) 행위(行爲)의 심리(心理) 따위를 연구(硏究)하는 심리학(心理學)의 한 분야(分野) 

 


산업심리학 (産業心理學)

산업(産業) 상(上)의 심리학(心理學) 문제(問題) 즉, 적성(適性), 작업(作業), 능률(能率), 관리(管理) 등(等)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하는 응용(應用) 심리학(心理學)의 한 부문(部門) 

 


광고심리학 [advertising psychology]

경영심리학의 한 분야로서 광고에 관한 심리학. 광고에 관한 지각, 기억, 광고가 야기하는 동기, 행동 등 광고에 관련된 인간행동을 해명하는 심리학과 소비자행동을 해명하는 사회심리학을 포함합니다.

 


아동심리학 [child psychology] 

아동의 심리를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이론적으로는 인간의 심리가 어떻게 발달해가는가를 연구하고 개체발생(個體發生)에서의 발달의 원리를 구명하려는 학문입니다. 아동심리학에서는 출생으로부터 청년전기(靑年前期)까지의 아동의 심리기능과 이와 관련이 있는 생리적 과정까지도 연구하는데요, 실천의 학문으로서의 아동심리학은 아동심리의 성립과정을 분명히 파악하고 아동의 교육 및 취급방법의 기초를 확립한다는 임무를 띠게 됩니다.

 


실험심리학 [experimental psychology]   

심적 사상(事象)에 실험적 방법을 적용하는 심리학. 특별한 연구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는 시대·국가·학자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넓은 의미로는 경험적 심리학·과학적 심리학과 같은 뜻이며, 과거에는 사변적 심리학(思辨的心理學)·철학적 심리학에 대응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주로 자연과학적인 관찰과 실험을 이용하는 심리학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차이심리학 [differential psychology] 

개인 ·성 ·연령 ·인종 ·문화집단 등 사이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차이를 비교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의 총칭으로 이것은 개성이나 민족성의 구조를 해명하려는 연구입니다. 1895년 A.비네와 V.앙리는 <개인심리학>이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개인차를 중심으로 한 차이심리학의 목적, 방법 및 범위에 관하여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심리적 과정에서의 개인차의 특성과 범위를 연구하고, 다시 개인 안의 여러 가지 정신과정의 상호관계를 찾아냄으로써 그들의 특성을 분류, 기본적 기능을 결정하여 가는 것이 차이심리학의 주요 문제라고 지적하였습니다.

 


상담심리학 [counseling psychology]
상담의 목적·방법·과정, 상담원의 양성, 상담의 본질규명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임상심리학 [Clinical psychology ]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관찰 ·측정 ·검사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의 능력이나 특성을 밝혀내고 개인의 적응에 대한 것을 가르치고 권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이 밖에도 벡터심리학, 실험심리학, 계량심리학, 토플로지심리학, 메타심리학, 기능주의심리학, 구성주의심리학 등등 아주 많습니다.

 

요즘은 뒤에 '심리학'이란 말만 붙이면 다 심리학의 종류가 될 정도로 계속해서 새로운 분야의 심리학이 개척되고 있으며, 말하자면 심리학은 사람들의 고민의 숫자 만큼 다양하고 많은 분야로 나뉘어지고, 지금도 여전히 계속 세분화가 진행되어 발전하고 있는 학문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과를 전공으로 할 수 있는 직업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상담이 심리학의 대표적인 직업이며, 그 밖에도 다양한 방면으로 진출하여 활동하고 계신 심리학과 전공자들도 많습니다.

 

흔히 많이 알고 있는 상담관련 자격증에는

청소년상담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직업상담사, 상담심리사, 임상심리사, 범죄심리사, 발달심리사, 건강심리사, 조직심리사, 놀이치료사, 미술치료사, 예술치료사, 독서치료사, 아동상담사, 군경상담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이 밖에도

 

① 인사, 노무 관련분야
기업체에서 노동관계의 원활한 운영을 기하고 사업 또는 사업장의 자율적인 노무관리를 도모함으로써 근로자의 복지증진과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직종인 노동관계 전담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② 기업체 연수·교육 분야

기업체 신입사원들의 연수 프로그램의 기획, 개발이나 교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전문요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③ 산업상담원

기업체에서 근로자의 문제를 상담하며, 노사간의 의견조정, 산업현장의 복지후생문제를 관리하는 전문 상담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④ 청소년 상담원

청소년 상담기관에서 전화, 면접, 서신 등의 상담을 통해 청소년들의 고민과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전문 상담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⑤ 조사분석 연구원

정부기관, 공사, 언론사, 기업체에 소속된 각종 여론조사기관에서 조사목적, 방법을 결정하고 질문지를 작성하며 회수된 응답지를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는 전문 조사분석 연구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⑥ 인간공학분야

공학심리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교통안전진흥공단, 한국도로공사 등에서 교통심리학 전문요원으로 활동할 수 있으며 이밖의 인간공학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⑦ 병원장면

임상심리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환자의 정신병리를 심리진단하고 치료하는 임상심리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임상심리사, 임상심리전문가를 일컫습니다.

⑧ 교도직 공무원

청소년 감별소나 교도소 등에서 전문적 교도직 공무원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⑨ 광고기획자

소비자 심리, 광고업계 정보등의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광고대행사에서 의뢰받은 제품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반적인 광고업무를 수행하는 광고기획자로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이밖에 각종 심리학 관련 연구소(사회복지관, 상담연구소, 스트레스 관리 연구소, 행동치료 연구소, 청소년 회관, 교육연구원 등)에서 활동할 수 있는 등 아주 다양합니다.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심리학 서적

긍정 심리학(진정한 행복 만들기)   
마틴 셀리그만 | 김인자 역 | 물푸레(창현) | 2006.09.18


인간관계가 행복해지는 나를 위한 심리학   
이철우 | 더난출판사 | 2007.07.20 


유쾌한 심리학(1)(2)   
박지영 | 파피에(딱정벌레) | 2003.04.14 

 

설득의 심리학(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법칙) 
로버트 치알디니 | 이현우 | 21세기북스 | 2002.09.30


괴짜심리학
리처드 와이즈먼 | 한창호 | 웅진지식하우스 | 2008.01.21

 

협박의 심리학(감정적 협박을 이기는 심리의 기술)   
수잔 포워드 | 김경숙 역 | 서돌 | 2008.03.10 


선택의심리학   
도흥찬 | 좋은책만들기 | 2008.03.20 


거짓말의 진화-자기 정당화의 심리학   
엘리엇애런슨 외 | 박웅희 역 | 추수밭 | 2007.12.17 


심리학의 즐거움(사람이 알아야 할 마음의 모든 것)   
크리스 라반, 쥬디 윌리암스 | 김문성 역 | 휘닉스 | 2005.08.25 

 

화의 심리학(성공하는 사람은 화내는 법이 다르다,Honour Your Anger)   
비벌리 엔젤 | 김재홍 역 | 용오름 | 2007.01.10 

 

 

이 정도라면 시작하기 좋을 서적으로 보입니다.

위의 책을 재미있게 읽으셨다면, 약간 전문서적으로 읽으셔도 좋겠습니다..

 

나를 사랑하기
Matthew Mckay | 홍경자 | 교육과학사 | 2003년 발행

 

정신분석학 개요(Sigmund Freud Gesammelte Werke)
지그문트 프로이트 | 박성수 역 | 열린책들 | 2003. 09. 30

 

성격심리학

L.A.젤리 / D.J. 지글러 | 이훈구 역 | 법문사 | 2005

 

 

또한 이 정도의 전문서라면 심리학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재미있게 읽으세요..

 

 

 

소피의 심리학 이야기였습니다.

 

심리학을 배우려고합니다

... 인지적 접근은 유기체의 사전경험이나 맥락 또는 주의집중에 따른 지각 현상의 다양성을 연구합니다. 인지심리학 [cognitive psychology] 과학적·기초적 심리학의 한 분야....

심리학을 배우려고합니다. 답변주세요...

... 심리학을 전공으로 배우려고 합니다만... 지금부터 천천히라도 심리학에 대하여 공부하려구요^^.. 심리학에 대하여 처음부터 차근차근 가르쳐주실분 없으신가요...?? 답변에...

사업,심리학,경영학을 배우려고 하는데...

... 사업,심리학,경영학을 배우려고 하는데 여러분들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라고 질문주셨군요 일단 질문이 매우 광범위하군요 그리고 심리학과 전혀 무관한 질문도 하셨네요...

심리학에대해 배우려고 합니다....

일단 타 분야를 전공하였는데 자기 개발을 위해서 다른분야의 전공을 공부하려고 알아보는 중에 심리학에 관심이 생겨서 배워보려고 합니다. 대학과정을 배우면 좋겠지만...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 심리학

배움사이버평생교육원에서 심리학배우려고 하는데 뭐 편입이나 대학원은 아니고 그저... 가능합니다 심리학 외로 어떤 전공이 관심이 있으실까요? 심리학은 어떤 계기로...

(내공100) 임상심리학전공후 가질 수...

... 심리학 중에서도 임상심리학을 전공하려고 합니다. 집안 형편이 어렵지만 저는 꼭... 돈만 있다면 원하는 공부 걱정없이 할 수 있겠는데 심리학을 배우려고 결정을 해 놓고도...

사주명리학을 배우려고 합니다.

1981년 (음력) 8월 7일 _ 오전 11시 _ 남자 배우고 싶은데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까요? 위의 3권만 졸업하면 명리학과 심리학은 졸업합니다.

심리학 독학하고 싶은데...

우선 심리학의 종류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배우려는게 정확히 뭔지... 막막합니다. 배우려고 하는 이유가 몇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저에대해 알고 상처를...

심리학과 외고에 대해서

... 제가 심리학을 배우고 싶은데요 심리학 배우고 유학가서 마케팅에 대해 배우려고... 특히 영어는 기본적으로 1등급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심리학을 전공하기...

심리학 대학원, 임상심리사 질문요~

제가 공대출신 직장인인데요...일이 적성에 안 맞아서 제가 예전부터 배우고 싶었던 것을 배우려고 합니다. 그래서 알아보고 있는데, 임상심리사 2급을 취득하려면 심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