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윤리학(동기주의)와 밀의윤리학(공리주의)에 대해 알려주세요~!^...

칸트의 윤리학(동기주의)와 밀의윤리학(공리주의)에 대해 알려주세요~!^...

작성일 2003.11.2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칸트의 윤리학이랑 밀의 윤리학에대해서 말해주세요~!^^
칸트는 동기주의자나요...밀은 결과주의고..
그러한 틀을 유지한 내용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칸트는 그의 저서 실천이성비판에서 의무론적 윤리관을 제시합니다.

칸트는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끝이 좋으면 모든 게 좋은 것이다.(독일속담)"와 같이 결과에 의해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범시대적으로 어느 곳의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옳다고 인정되는 윤리의 보편적 기준을 제시하려 노력했는데, 결과에 의해서 윤리가 파악될 수 있다고 말하면 보편타당한 윤리 기준을 세울 수 없기 때문이죠.


그런 노력의 결과, 칸트가 제시한 보편적 윤리기준의 모습은 이렇습니다.
"너의 의지의 준칙인 동시에 일반적인 법칙에 타당하게 행동하라."
"Act so that the maxim of thy will can always at the same time hold
good as a principle of universal legislation."


여기서 "준칙(maxim)"이란 개별적인 인간의 행동에 적용되는 원리,
"법칙(principle)"이란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인 가치를 가치고 적용되는 원리를 뜻하므로
이 말은 즉, 남이 보기에나 자기가 보기에 거리낄 것이 없도록 행동하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겠네요.

이렇게 말할 수 있었던 이유는 칸트가 선(善)의 본질(선의 이데아)의 존재를 믿는 플라톤주의자였기 때문이겠죠. 인간이 누구나 본유적(innate;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선의지를 좇아 계속 노력해나가면 최종적으로 "최고선"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람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칸트의 의견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사상이 제레미 벤담(Bentham, Jeremy , 1748.2.15~1832.6.6), 존 스튜어트 밀(Mill, John Stuart , 1806.5.20~1873.5.7) 등으로 대표되는 공리주의적 윤리관입니다.

밀은 "공리성 혹은 최대행복의 원리는 어떤 행위가 행복을 증가시키는 경향에 비례하여 옳은 것, 감소시키는 경향에 비례하여 나쁜 것으로 보는 것이다."라고 말했는데, 이런 의견을 규칙공리주의라고 부릅니다.

한편 또다른 공리주의자인 벤담은 행위공리주의라는 것을 내세우는데요.
그는 매 행위의 쾌락, 고통 증가율을 측정해서 윤리적 평가를 내릴 것을 주장합니다.
이 계산을 위해 그는 쾌락의 가치, 고통의 가치를 계량, 수치화하고 평균을 내서 합산한 뒤, 이해관계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행복의 지수와 더해서 전체적인 행복도를 측정하기 위한 길고 복잡한 식까지 제시했다고 하는데요, 지면 관계상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공리주의자들은 도덕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 즉, 공익을 위한 일이 윤리적으로도 옳은 일이 된다는 뜻이지요. 공리주의가 말하는 <윤리적이다 designtimesp=20303>라는 것은 그 근원이 개개인의 "보편적 윤리의식"에 있지 않고, 사회 유지의 필요에 의해 나타난 발명품이라는 뜻입니다.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론과 공리주의적 윤리론의 차이를 잘 드러내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누구나 살인은 나쁘다고 생각합니다만, 칸트에 의하면 그 이유는 살인이 나쁘다는 것은 누구나 본유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즉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 윤리 기준에 어긋나는 행동이기 때문에 나쁘다고 생각합니다.
반면 공리주의자들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윤리적인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살인이 나쁜 이유는 살인으로 인해서 사회 전체의 행복의 양이 줄어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의무론적 윤리관에 의하면 살인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 의한 것이든 나쁜 짓이지만, 반대 의견인 공리주의자들에 의하면 만약 사회 전체에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살인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도덕적으로 장려해야 할 대상이 되겠습니다.

 

의무론적 윤리관을 비판하자면 그저 "양심에 따라 잘 해야 한다." 정도로 해석될만한 그의 말이 여러 윤리의식이 복합적으로 충돌하는 실생활의 여러 윤리적 모순 상황들을 적절하고 융통성 있게 해석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겠고요.

공리주의적 윤리관을 비판하자면 일단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란 말이 잘 정의된 단어가 아니다. 즉, 사회적으로 한 사람이 모두 독식하든 어쨌든 행복의 총량이 늘어나면 좋다는 뜻인지, 행복의 총량이 적어지더라도 아주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나눠 누리면 좋다는 말인지 잘 알기가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사회의 기본적인 룰(약속 지키기, 살인 안 하기 등 상식적인 것들)을 지키는 한도 내에서 최대 행복-공리-을 추구하자"는 규칙공리주의적인 입장에서, 공리주의적인 관점을 철저히 따르자면, 사회적인 룰이라는 것도 언제든지 공리성에 의해 뒤집힐 수 있는데, 언제 뒤집혀야 하고, 언제 지켜져야 하는지 알 수 없다. 그런 판단을 누가 할 수 있을지도 물론 알 수 없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어느 쪽이 맞고 어느쪽은 틀렸다는 결론이 없으니 두 의견을 참고해서 각자 잘 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칸트의 윤리학(동기주의)와 밀의윤리학...

... 밀의 윤리학대해서 말해주세요~!^^ 칸트동기주의자나... 6), 존 스튜어트 (Mill, John Stuart , 1806.5.20~1873.5.7) 등으로 대표되는 공리주의적 윤리관입니다. 밀은 "공리성...

정의란 무엇인가 책의 공리주의

... 윤리학과 정치철학에 해당하는 공리주의, 자유주의... 이끌어낸 칸트와 부자에게 세금을 거둬 빈자(최소 수혜자)... 것인가에 대해 논하고, 마지막에는 정의 담론이 도덕의...

칸트의 윤리학에 대한 질문이요!

... 칸트동기주의이며 이성주의이지 않나요? 왜 틀렸는지랑, 칸트의 윤리학대해 아주 쉽게 요약해주실수있으면 해주세요 ㅠㅠ 1번 보기는 따라서를 기준으로 앞의 한문장...

칸트의 윤리학

... 옳고 그른 행동은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한다.(o,x) 1.x 2.O 칸트는 진실을 중요하게... 윤리학', '동기주의 윤리학' 등등의 용어들이 칸트 윤리학을 특징지우기 위해 동원되곤...

차이 등 철학에 대해 알려주세요.

... 그런데 흄이 보기에 모든 윤리학적 주장은 모두 이렇게... 때문에 동기주의칸트와 대립되는 입장이지요. 2.2.1.공리주의는 근대에는 양적 공리주의와 질적 공리주의로...

공리주의칸트주의

... 안되서요 공리주의는 어떤 행동의 결과를 중요시하고... 의무론에 대해서 잘 모르겠다는 것 같군요. 일단, 칸트의 윤리학은 그 성질 때문에 의무론 또는 동기주의라는...

공리주의동기주의

... 이 사례에서 공리주의자인 밀의 찬반입장과 이유, 그리고 동기주의자인 칸트의 찬반입장과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3. 무인도에 4명이 갇히게 되었습니다. 구조를 기다려...

칸트공리주의대해

... 공리주의대해 제대로 알지는 못 하지만, 일단 공리주의는 목적론적-귀결주의적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입장에서 J. S. Mill은 칸트의 정언명령이...

칸트의동기주의공리주의(결과주의)...

... 결과가 어떻게 되었든지간에 그 행위를 하게 된 동기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반면에 목적론적 윤리설은 행위의 결과를 중시하고, 쾌락주의(에피쿠로스 학파)와 공리주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