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과 프로이트

에릭슨과 프로이트

작성일 2007.06.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심리학자 에릭슨과 프로이트를 비교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프로이트는 성격이 심리성적 발달 단계에 따라 형성된다고 보았다. 심리성적 단계의 주요한 특징은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신체 부위의 어디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다섯 단계로 구분된다.

 

반면 에릭슨의 이론은 자아 발달과 매우 관련이 깊다. 에릭슨은 자신의 이론을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를 체계적으로 확장한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곤 하였다. 정신분석의 현대적 추세는 대상관계이론 등에서처럼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흐름에 기여를 한 초기 인물이 바로 에릭슨이라고 할 수 있다. 에릭슨은 원초아에 대한 전통적인 강조에서 자아에로의 관심을 도모하였으며, 자아야말로 인간 행동과 기능의 기초가 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견해를 자아심리학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에릭슨은 심리사회적 발달, 적응대 부적응의 (프로이트의 심리 성적 발달과 구분된다.)의 여덟 단계를 제안하였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를 살펴보면

구강기

 유아기가 출생하여 1세까지로 심리성적 발달의 첫단계이다. 이 시기에 유아의 리비도는 입에 집중되어 있어서 유아는 입을 통해 빨고 먹고 깨무는 행위에서 긴장감소와 쾌락을 경험한다.

항문기

심리성적 발달 단계의 두 번째로 보통 1~3세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리비도가 항문에 집중되는 항문기이다. 이 시기의 성격형성은 본능적 충동인 배설과 외부적 현실인 배변훈련과 관련되어 결정된다.

성기기

 4~5세 중에 나타나며 성격형성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아이의 리비도의 초점, 즉 쾌락의 초점이 항문에서 성기로 옮겨진다. 이시기 남자아이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여자아이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겪게 된다고 보았고 남자아이는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 함으로써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한다 .

잠복기

6세에서 사춘기까지로 실제로는 심리성적 단계가 아니다 이 시기에 성적 본능은 휴면을 취한다.

생식기

사춘기에 시작한다. 심리성적 발달의 마지막 단계인 생식기에는 청소년의 발달 특징은 급격한 신체적 성장과 더불어 호르몬의 변화이다. 오랫동안 휴면에 있었던 리비도가 성기에 집중되면서, 청소년은 이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성행위를 추구하기 시작한다;;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를 살펴보면

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프로이트의 구강기가 유사한 단계로 0~1세에 나타난다. 인간이 가장 무력한 시기 유아들은 생존, 안전, 애정을 위해 일차적 돌봄을 주는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 이 시기 유아들은 입을 통해 세상과 생물학적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맺는다. 사회적 관계인 유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은 유아가 신뢰 혹은 불신의 태도로 세상을 보는 것에 대한 여부를 결정한다.

2단계 자율성 대 의심 및 수치심

프로이트의 항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2~3세에 해당된다.  아이들은 다양한 신체적 및 정신적 능력을 빠르게 발달시킨다. 이 시기 아이와 부모간에 의지의 마찰이 있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본증적인 욕구에 대한 사회적 규칙의 첫 사례인 배변훈련이다.  그리고 에릭슨은 아이가 자신의 의지를 연습하도록 혀용되지 않을 때, 아이는 다른사람과의 관계에서 수치심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의심을 발달 시킨다고 믿었다. 자기 자신이고자 하는 의지는 좌절되고 위협받는다. 그러므로 항문 부위가 이 단계의 초점일 수 있지만, 잠지적 갈등의 형태와 구조는 생물학적이기 보다 훨씬 심리 사회적이다.

3단계 주도성대 죄의식

프로이트의 성기기와 유사한 단계이다. 3~5살에 해당되며 아이의 주도성이 강해졌다 이 단계에 나타나는 주도성 발달의 환상적 형태는 반대 성의 부모를 쇼유하고자 하는 용막이다. 하지만 아이의 주도성은 보다 현실적이고 사회적으로 허용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발달된다. 따라서 아이는 어른들이 갖는 책임감과 도덕성을 발달시킨다.

4단계 근명성 대 열등감

프로이트의 잠복기와 유사한 단계로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부터 11세까지 해당된다 아이의 세계는 이제 집밖에서의 새로운 영향과 압력에 노출되면서 상당히 확장된다. 가정에서 학교에서 아이는 주어진 일을 완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성취감을 느끼고 인정을 받기 위해 부지런히 뢍동한다. 반대로 노력한 것에 대해 조롱받고 야단맞고 거절당하면 아이는 열등감을 발달 시키게 된다.

5단계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돈

프로이트의 생식기와 유사한 단계이다. 12~18세 까지의 청소년기로 개인이 자신의 기본적인 자아 정체성에 대하 ㄴ의문을 갖고 심사숙고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개인은 자기에 대한 타인의 견해와 자신에 대한 견해를 통합하여 일관된 자아상을 갖아야 한다. 이러한 이미지 혹은 자아상을 통해 개인은 자아정체감을 형성한다. 분명한 정체감을 가지고 이러한 어려운 시기를 거친 사람은 자신감을 가지고 다가오는 성인기를 맞이할 준비를 하게 된다. 정체감을 성취하는데 실패하고 정체감 위기를 경험한 사람은 역할혼돈을 보인다.

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 초기로서 청소년 말기에서 부터 성인중기가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에 해당된다

이 시기 개인은 우정과 성적인 결합으로 다른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성인 초기에 개인은 자기상실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의 정체감을 누군가의 정체감과 융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친밀감을 형성할 수 없는 사람은 고립의 상태에 빠진다.

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중년기로 대충 35~50세까지이며 인간의 완전한 성숙기에 해당된다. 개인은 다음 세대를 가르치고 인도하는데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간은 자신이 속한 어떤 조직에서 다음 세대에 영향을 끼치고 이끌고자 하는 욕구를 만족시킬수 있다. 그러한 행동이 중년기의 개인에게 나타나지 않으면, 그 사람은 침체감, 권태 대인관계 약화 상태에 빠지게 된다.

8단계 자아 통합 대 절망감

인생의 황혼기에 자아통합이나 절망의 상태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자신의 전체적인 삶을 바라보는 방법을 좌우하게 되며 이 시기에 개인의 주요한 노력은 자아완성 혹은 완성에 가까워지려는 데에 있다. 이 시기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거나 겈토해보며 마지막 평가를 하는 숙고의 시간이다. 만약 개인이 충족감과 만족감으로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고 그가 인생의 성공과 실패에 잘 적응해 왔다면 그는 자아통합을 하게 된다. 자아통합은 한 개인의 자신의 현재상황과 과거를 수용한다. 반대로 그렇지 못하다면 좌절감에 빠져 매우 고통스러워 한다.

 

이처럼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성적 발달 단계를 참고하였지만 프로이트와는 달리 전 생애적으로 발달 단계를 구분하였습니다.

 

 

 

 

에릭슨과 프로이트

심리학자 에릭슨과 프로이트를 비교해주세요^^ 프로이트는 성격이 심리성적 발달 단계에 따라 형성된다고 보았다. 심리성적 단계의 주요한 특징은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에릭슨과 프로이트의 발달비교 단계

유아기- 신뢰감 VS 불신감 ( ) (중략) 학령기-근면성대 VS ( ) 잠복기 청소년기-( )VS 역할혼란 생식기 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구강기 유아기(신뢰-불신) 감각운동기 항문기...

찬반 토론 주제 추천 프로이트, 에릭슨...

... 2.주제: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은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보다 인간 발달에 대한 더 정확한 이론인가? 찬성: 에릭슨의 이론은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고려하여 인간 발달의...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에릭슨...

... ㅇ 프로이트에릭슨의 정신분석학은 정신분석.정신이상자에 대한 치료. 정신장애인에 대한 분석을 전제로 하고 연구해야 됩니다. * 프로이트에릭슨의 정신분석 이론...

프로이트,에릭슨,융이 생각하는 건강한...

프로이트, 에릭슨, 융이 생각하는 건강한 사람은 어떤사람인가요? 프로이튼 - 자아가 강한 사람 에릭슨 - 발달 과업을 잘 수행해서 덕목을 잘 갖춘 사람 융 - 자아가 확장되서...

사회복지 전공중인데 프로이트에릭슨

사회복지 전공중인데 프로이트에릭슨 이론의 장단점 매슬로우의 단계이론의 장단점 인본주의 이론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내공 100 그런 문제는 " 성격이론 " 이라는 책을...

프로이트의 이론과 에릭슨의 이론을...

... 에릭슨은 자아와 의식을 강조하였고, 프로이트는 원초아와 무의식을 강조하였다. 정답 : 다. 프로이트는 환경적 요인을 중요하게 고려하였으며, 생애 초기 경험의 중요성을...

에릭슨의인성발달단계

... 에릭슨프로이트가 고려하지 않은 사회, 문홪거 요인을 성격발달과 연관, 정신기능의 중심요소로서 자아를 강조. 프로이트는 성격발달이 사춘기에 완성된다고 보았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