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검) 베르그송 들뢰즈 화이트헤드

(내공검) 베르그송 들뢰즈 화이트헤드

작성일 2007.02.2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베르그송

 

들뢰즈

 

화이트헤드

 

이 세분의 /중심적인 철학 내용(주장)/

 /대표저서 한두권/씩

/오늘날 미치는 영향 /

/세 사람간의 관계(영향)/

 

이 궁금합니다^^

 

지식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StartFragment-->

 

안녕하세요. 저두 배우는 학인입니다. 따라서 100% 정확한 내용은 아닐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들뢰즈는 제가 잘 모르므로 제외합니다.

 

베르그송을 생각하면 지속성 Persistency가 떠오릅니다. 베르그송의 철학이 생철학이라고 하나요? 한 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생철학의 의미와 Persistency의 관련성 내지 연관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Persistency는 의식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 것입니다. 사실 이러한 사상은 어렵지 않은 사상이지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살아가는 동안에는 의식이 고정되어있지 않습니다. 안정성(Stability)이 없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님께서 시계의 초심을 따라 시선을 고정시켜 가보세요. 그러면 얼마 안있어서 마음이 밖을 헤메일 겁니다. 이는 일반 사람들은 의식의 Persistency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해 되실 줄 압니다.

따라서 진실된 생철학은 의식의 지속성을 얻을때 가능합니다. 의식의 지속성이라는 것은 바로 생명의 존엄하고 숭고한 상태입니다. 물론 불교에서는 의식의 종지내지 사멸을 이야기합니다. 사실 베르그송의 생철학을 가로지르면 불교의 유식철학과 맞닿습니다. 불교 내용은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고 여하튼, 의식이 시계의 초침을 1분정도 지속적으로 관찰 주시할 수 있을때 의식의 안정성과 생명성을 획득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화이트헤드는 유기체 철학을 강조한 분입니다. 서양철학을 과정과 실재라는 저서로 압축해 놓았죠. 유기체라는 것은 부분과 부분이 총합이 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루고 전체 속에서 부분들이 기어들이 맞물려 돌아가는 것처럼 정교하고 유기적이고 조직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완성체를 이루어나간다는 것입니다. 오영환 교수님의 과정과 실재라는 서적을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창조성을 매우 중시합니다. 인지심리학이라고 하나요? 인지심리학에서는 창발성이라고 하여 Emergency라는 개념을 매우 중시합니다. 화이트헤드는 창조성을 중시합니다. 화이트헤드의 사상은 근대 신학 사조를 타고 태동한 철학으로서 신학과 상호 영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창조성만이 실재라고 할정도로 창조성을 중시합니다. 창조성이 없다면 이 우주의 사사물물들의 합목적성은 와해되고 마는 것입니다. 왜 창조성인가 하면 모든 천재성의 근원은 바로 창조성에서 비롯됩니다. 물론 어느철학자(들뢰즈인가요?)가 말한 것처럼 새로움이라는 것은 요소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배치에 있다고 하였답니다. 요소의 역할과 기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요소들이 어떻게 배합되고 조합되어 새로운 형상력을 지닌 배치로 구현되는냐가 중요합니다.

 

사실, 서양철학의 핵심은 실재(Reality)입니다.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 모든 철학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죠. 실재를 알려면 베르그송이 말한대로 의식의 지속성내지 영속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지속성(持續性)과 영속성(永續性)은 유가(儒家)에서 말하는 신종추원(愼終追遠)과 매락을 갖이 합니다. 즉 끝내는 것을 삼가고 멀리 추구하라는 가르침입니다. 사실 영속성의 개념은 불교사상의 핵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영원성 다시말해서 Eternality는 존재의 가장 숭엄한 형태이며 가장 강력한 형상력과 영험력을 지니게 됩니다. 베르그송이나 화이트헤드나 모두가 실재(Reality)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해독하려고 하였고 그 것을 각각 생철학, 유기체철학으로 압인(壓印)해 냈습니다. 불교에서는 무상(無常) 속에서 무아(無我)를 이야기하는데 이 무아(無我)가 바로 영원성내지 영속성을 뜻합니다.

 

베르그송의 생철학에서 말하는 지속성개념, 그리고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에서 말하는 창조성 개념 그리고 불교의 무아(無我)사상에서 말하는 시공을 초월한 영원한 생명은 결국 하나로 귀일합니다. 사실 창조성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영적 환골탈태를 의미합니다. 새롭게 싹을 틔어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창조성의 의미를 인도철학의 요가(Yoga)시스템에 견주어 해석해 보면 창조성이 창조성을 배태합니다. 서양신학을 말하면 신(God)이 있고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일체가 유지되는 근본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불교에서는 부처님의 천백억 화신을 이야기합니다. 이 이야기는 창조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해줍니다. 불교에서는 천백억 화신을 창조해 냄으로써 그 창조성을 통해서 일체중생을 구원합니다. 과학이 철학을 넘어 종교의 세계를 넘보고있는 시점, 오늘날의 프렉탈이론은 매우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으며 천백억 화신의 구조적 체계를 이해하는데 프렉탈이론이 매우 중요합니다.

 

베르그송의 철학은 의식이라는 것이 지속성을 이루어나가는 것에 대한 해박한 고찰이라고 보면 됩니다. 물론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그렇습니다. 의식이 지속성을 얻을때 마음에 평온이 오고 안정이 오며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 열반, 삼매로 나아갑니다. 여기가 아라한 자리입니다. 화이트헤드의 창조성은 세계가 현현하고 존재하는 성립여건을 바로 창조성에 둡니다. 우주창력의 거대한 파로나마가 모두 창조적 힘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한 창조적 과정은 실재(Reality)를 의미하며 이것은 베르그송의 생철학과 우주적 연대내지 유대를 형성합니다. 왜 그런가 하면 생명이라는 것, 즉 의식을 지닌 존재(Sein)는 바로 영원성을 향유할 때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영원성은 고정되고 틀에밖힌 어떤 형태가 아니라 불변 속에서 변화를 내재한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무수한 내적 변화에 대해서 아무런 흩트러짐이 없을때 그것을 불교에서는 깨달음이라고 합니다. 의상대사는 구래부동명위불이라고 하여 “억겁 전부터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붓다라고 하네”라고 밝혔습니다.

 

세계의 모든 철학, 과학, 종교는 하나로 통섭(統攝:統涉)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베르그송의 철학이나 화이트헤드의 철학 그리고 하이데거의 철학까지도 모두 실재(Reality)로서 생명을 다룹니다. 이 생명은 바로 마음이요 에너지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물질과 에너지는 상호 교환할 수 있다는 과학의 토대를 마련하였습니다. 물질은 바로 육체적 힘을 에너지는 마음의 힘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체력이 정신력과 교환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나타냅니다. 즉, 정신세게의 기층을 이루는 물질세계에 대해서 어떻게 정신과 물질이 상호작용하고 조응(照應)하는 관련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현실태와 가상태를 이해해야하고, 데카르트의 이원론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까지 아울러야 합니다.

 

아무튼 대강은 이렇습니다. 철학을 깊이있게 공부하되 정말로 좋은 책 한권을 10번 이상 읽으면 무엇인가 학문의 대강이 잡힙니다. 교수님이나 선배 그리고 지혜로운 동기들 최소한 세 분에게 물어서 공통적으로 추천하는 필독서를 꼭 읽으시기 바랍니다. 저는 오영환 교수님의 화이트헤스 서적인 “과정과 실재”를 추천합니다. 이 책을 10독이상 하시면 무엇인가 얻는게 있을 겁니다. 그리고 불교의 유식철학도 함께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아마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건승을 빕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표저서 

베르그송 "시간과 자유의지" "물질과 기억"

들뢰즈 "차이와 반복" "천개의 고원"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 "관념의 모험"

 

오늘날 미치는 영향 

인문학에 관심 갖는 사람들 외엔 영향력이란 게 거의 없죠.

하지만 어떤 시대 변화의 반영 같은 측면에서 이 세사람의 철학을 공부해볼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분명 그 이전 시대에서는 이들의 철학 같은 게 나오지 않았기에, 이들의 새로운 출현은 그 출현과 상응하는

시대적, 역사적 변화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세 사람 간의 관계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둘 다 베르그송의 저작을 읽고 그 철학의 어떤 부분은 수용하고

어떤부분은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철학이론을 형성하였습니다. (이 말이 들뢰즈와 화이트헤드가 베르그송으로부터만 철학적 영향을 받았다는 뜻은 아닙니다. 베르그송은 이들에게 영향을 준 한 명의 철학자입니다.)

베르그송 철학의 핵심인 시간 또는 생성을 자신들의  중심 문제로 삼았다는 점에서 들뢰즈와 화이트헤드는 베르그송이 열어놓은 어떤 철학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들뢰즈는 화이트헤드 저작을 읽었지만 그로부터 적극적인 영향을 받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들뢰즈 저서에서 화이트헤드에 관한 언급이 무척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들뢰즈가 국적도 다른 후대 사람이라 화이트헤드는 들뢰즈를 몰랐구요.

 

(내공검) 베르그송 들뢰즈 화이트헤드

베르그송 들뢰즈 화이트헤드 이 세분의 /중심적인 철학 내용(주장)/ /대표저서 한두권/씩 /오늘날 미치는 영향 / /세 사람간의 관계(영향)/ 이 궁금합니다^^ 지식 고수님들...

니체의 영겁회귀가 무슨 뜻인가요?

... 니체, 베르그송, 화이트헤드, 하이데거, 들뢰즈 등으로 이어진 현대 존재론의 흐름은 ‘생성’이라는 개념을 점차 세련되게 다듬어왔다. 이 생성존재론의 가장 앞머리에...

나라별로 철학자 이름좀 적어주세요

... 노스 화이트헤드, 데이브드 흄 오스트리아 : 루트비히... 질 들뢰즈, 드리 디드로, 드니 디드로, 쥘리앵 오프루아... 앙리 베르그송, 시몬 베유, 장 보르리야르, 볼테르, 장폴...

철학인물궁금

... 노스 화이트헤드, 데이브드 흄, 버트런드 러셀... 질 들뢰즈, 드리 디드로, 드니 디드로, 쥘리앵 오프루아 드... 앙리 베르그송, 시몬 베유, 장 보르리야르, 볼테르, 장폴...

소피스트의 철학이 잘 못 된 건가요

... (데리다, 들뢰즈)에 의해 조명되어 현대의 포스트모던... 과정철학자 화이트헤드는 "서양철학의 역사는 플라톤... 키에르케고르나 베르그송 같은 사람들도 있으며...

화이트헤드 철학을 진지하게 공부하려면...

... 아마 베르그송화이트헤드에게서 묘한 공명감을 느끼실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베르그송이 마음에 드신다면 들뢰즈도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무신론자 유신론자에게 묻습니다

... 무엇인가 화이트 헤드 광기의 역사 미셀 푸코 군중과... 원천 베르그송 도덕의 계보학 니체 도마복음이야기 1, 2, 3... 질 들뢰즈 야생의 사고 레비 - 스트로스 에로스와 문명...

사상가 '베르그송'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1.베르그송의 생애 2.베르그송의 철학(쉽게 풀어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사조들(화이트헤드, 들뢰즈 등)의 사상적 기원이 되고 있다는 평가이다. 위키피디아를...

철학자들 이름 좀 많이 알려주세요

... 노스 화이트헤드·에드문드 후설·고틀로프 프레게·버트런드 러셀·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앙리 베르그송·W.V.... 데리다·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안토니오 네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