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윤리와 사상' 질문입니다.

수능 '윤리와 사상' 질문입니다.

작성일 2006.11.12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수험생입니다.

'윤리와 사상' 공부를 하다가 평소 그냥 가볍게 흘려버렸던 부분들이

수능에 가까워질수록 한글자 한글자 새겨가며 읽다보니 의문 드는 부분이 한 두군데가

아니더군요. ㅜㅜ

윤리에 자신있었던 저라, 사실 많이 당황 했습니다.

 

불교 사상과 도교의 장자.

평소 나름대로 구분을 딱딱 잘해놨었는 데 오늘 교과서를 다시 차근차근 읽어보니

공통점이 참 많더라구요.

 

불교 - 집제는 고통이 모두 모여 일어나는 원인으로, 어리석은 중생이 모든 사물은 변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집착을 고집해 고통의 원인을 모여들게 한다는 것이다.

자아의 아집으로부터 벗어나서 너와 나를 하나로 여기는 지혜를 얻기 위한 것으로, 세상이 공허하다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욕망이나 아집과 같은 자아나 사물에 집착하는 인식의 오류를 지적하고자 출현한 사상이다.  나에 대한 이기적인 집착을 버리는 공 사상을 철저히 깨닫고 실천하는 것을 중시했다.

 

장자 - 만물을 모두 하나라고 보았다. '나'에 집착하기 때문에 판단이 주관적이고 불확실하며, 만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나에게서 초탈해 보잘것없는 지혜를 끊으며,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세상에는 모순,대립하는 것으로 보이는 양면성이 있는데, 그것은 상대적이고 상호 의존적으로 생겨나는 것이므로, 그 중에서 어느것만이 옳다고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와 너의 대립을 해소하고, 모든 사건이나 사물을 차별화하지 않는 정신적 자유의 경지인 제물을 지향하였다.

 

 

위에 붉은색과 푸른색으료 칠한 말들이 비슷한것 같아서요.

이번수능에도 불교와 도교사상 물론 유교사상도...... 비교하는 문제 반드시 나올거거든요.

이제 수능 4일 밖에 안남았는데.... 불교과 장자사상 알기 쉽게 차이점.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색깔칠해놓은 말들 중심으로.... 뭐 예를 들어 불교에서 말하는 집착이란 이러이러한 것이도 장자가 말하는 집착은 이러이러한 것으로 차이가 있다"이런식으로요....

 

제발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수능 윤리와 사상 #수능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수능 윤리와 사상 문제 #수능 윤리와 사상 pdf #수능 윤리와 사상 기출 #2023 수능 윤리와 사상 #2024 수능 윤리와 사상 #2022 수능 윤리와 사상 #2021 수능 윤리와 사상 #2018 수능 윤리와 사상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원래 중국에 불교사상이 들어올때 그 경전을 번역을 해야하잖아요? 그런데 인도의 범어를 중국어로 번역하려니까 그 용어에 있어서 전혀 없는 것을 만들기 힘들어서 원래 있던 도교의 용어를 쓰게 된 것이랍니다.

그러니까 원래 비슷한 주장을 하는 사상에 비슷한 용어를 쓰게 된 거죠.

한마디로 그 차이점을 말하자면 불교의 집착은 욕망에 대한 집착이며, 도교는 지혜(아는 것)에 대한 집착이에요.

불교는 자신의 소유와 자신까지도 버려야 해탈의 경지에 이른다고 하고, 도교에서는 알량한 지식, 지혜가 얼마나 어리석은지를 깨달아야 한다는 거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쪽지 보고 답변드립니다.

우선 지금 상황에서 너무 세세한곳까지 깊이 들어가셔서 헷갈리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교수능이니 대학전공과 비교해서는 일반적인 개념 수준에서 문제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님이 지금 불교와 장자를 헷갈려하시는데 엄밀히 따지면 유학의 성리학또한 불교와 도교의 사상체계를 빌려온 부분들이 많아서 깊이 들어가면 헷갈릴 것이고 스토아와 스피노자가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려하시는 겁니다.  수능에서는 각 학파의 대표적인 개념 주장을 알고계시다면 쉽게 풀릴거란말 우선 드리고 싶습니다.

 

밑에 주신 질문 답해볼께요.

 

불교 - 집제는 고통(인간이 모든 실재하는 것들은 영원불변한 것이 아닌데 그러한 것이 영원 불변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집착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지요.  더 깊게 들어가면 그 원인으로 무명과 갈애라는 것을 말했는데 무명이란 지적인 측면에서의 원인, 갈애는 정서적인 측면에서의 고통의 원인. 이렇게 깊게 알기보다는 인간이 모든건 영원불변한 것이 아니며 나라는 존재도 영원하지 못하다는 삼법인설에서 말하는 제행무상 제법무아를 알지 못해서 모든 것이 고통이 된다는 일체개고로 연결되는 것이지요.)이 모두 모여 일어나는 원인으로, 어리석은 중생이 모든 사물은 변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집착을 고집(고집이 중요하다기 보단 앞에나온 집착이란 단어가 중요한 것이겠지요 집착을 계속한다는 것 앞에 고통에서 말씀드렸으니 넘어갈께요.)해 고통의 원인을 모여들게 한다는 것이다.

자아의 아집으로부터 벗어나서 너와 나를 하나로 여기는(연기에 법칙에 있어서 모든 존재들을 연결되어 있다고 말하고 상대적인 의존관계에 있다고 말하기 때문에 이런말이 나오는 것이지요. 들어보셨죠.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생하고 저적이 멸하므로 이것이 멸한다. 이것이 연기의 법칙을 말하는 대표적인 말입니다. ) 지혜를 얻기 위한 것으로, 세상이 공허하다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욕망이나 아집과 같은 자아나 사물에 집착하는(앞에서 말씀드렸죠) 인식의 오류를 지적하고자 출현한 사상이다.  나에 대한 이기적인 집착을 버리는 공 사상을 철저히 깨닫고 실천하는 것을 중시했다.

- 즉 인간이 제행무상(모든것은 변화한다.) 제법무아(나라는 존재는 영원하지 않다.)를 깨닫지 못하고 현실에 집착함으로써 일체개고(모든 삶자체가 고통이다.)뭐 이런거죠.

 

장자 - 만물을 모두 하나라고 보았다. '나'에 집착하기 때문에 판단이 주관적이고 불확실하며, 만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나에게서 초탈해 보잘것없는 지혜를 끊으며,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 세상에는 모순,대립하는 것으로 보이는 양면성이 있는데, 그것은 상대적이고 상호 의존적으로 생겨나는 것이므로, 그 중에서 어느것만이 옳다고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와 너의 대립을 해소하고, 모든 사건이나 사물을 차별화하지 않는 정신적 자유의 경지인 제물을 지향하였다.

 

너무 길어지내요. 위의 불교는 자기자신 그리고 일체사물에 집착함으로써 고통이 생기는 것이고,  위의 장자는 모든 만물은 획일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말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위의 장자에서 나에 집착하기는 불교에서말하는 내가 영원히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집착이아니라 나의 주관에서 나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판단한다는 것이지요.  

 

불교와 장자의 기본 개념을 생각하신다면 혼동될 만한 문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본개념에 충실하고 그런 입장에서 생각하세요

 

그리고 참고로 도가에서

노자는 무위자연을   장자는 물아일체를 말하고 모든 존재는 상대적이라는 것 획일적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노자와 장자는 똑같진 않습니다. 큰 맥락에서 한학파이지만요.  도움 되셨길 빌께요.

 

 

 

수능 윤리와사상 공부법 질문!!

수능 윤리와사상 공부법 질문인데요 교과서 위주로공부하려고 하는데 사상가들 나오기전에 사상가와연관없는말들도 공부해야하나요?? 예를들어 우리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수능 윤리와 사상 질문

혹시 수능 윤리와 사상 문제 중에서 꼭 하나씩은 출제되는 토픽이 있나요? 예를 들어 성리학vs양명학 이런식으로요! 특히 서양윤리쪽에서 많이 출제되는 토픽 알려주시면...

수능 윤리와사상 윤사 질문

혹시 1단원 인간과 윤리사상 2단원 동양과 한국 윤리사상 은 수능에 안나오나요? 자세히좀 알랴주세여 윤사 전영역이 시험 범위 입니다.

수능 '윤리와 사상' 질문입니다.

... '윤리와 사상' 공부를 하다가 평소 그냥 가볍게 흘려버렸던 부분들이 수능에 가까워질수록 한글자 한글자... 밑에 주신 질문 답해볼께요. 불교 - 집제는 고통(인간이 모든...

수능 윤리와 사상 문제 질문

‘분별 작용’에 의해 구성됐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공 사상은 분별적 사고방식을 부정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공 사상을 계승한 유식사상의 세친이 왜 이런 주장을...

수능 윤리와사상 10번 문제에 대해 질문...

이번 수능 윤리와사상 10번 문제입니다. 제가 문제시하는 것은 ㄱ 선지인데, 교과서와 수능특강, 수능완성 어디를 찾아봐도 저 선지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추론할 만한 근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