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설이 더 설득력 있나요? 아님 성선설?

성악설이 더 설득력 있나요? 아님 성선설?

작성일 2007.01.15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인간의 본질에 대해서 학교 숙제로 논술을 쓰려고 하는데요,

 

선생님께서 참고하라고 보여주신게..

 

*우리들은 모두 비겁하다

*인간이 내포하고 있는 악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실로 경박하고 따분한 인간이다

*자기 속에 있는 악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미숙한 사람이다.

 

대충 이런건데요

 

그러니깐 결론은 인간이 자신의 결점을 인정하지 않으면 그 사람은 미숙한 사람이다..

 

뭐 그런거 같아요

 

이걸 결론으로 해서 써야하는데...

 

대체 어떻게 써야하는건가요?

 

잘 모르겠어서 서론은 일단 성악설 성선설에 대해서 쓰려고 하는데...

 

이 둘중에 무엇이 더 설득력 있나요?? 전 성악설에 동의하는 쪽으로 쓰고 싶은데..

 

그리고 이 논술 주제에대해 어떻게 써야 할지 좀 알려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숙제는 괜찮은 것 같은데 참고하라고 한 말은 어처구니가 없군요.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죠. 과연 모두가 비겁할까요? 악의 존재를 인정안 하면 경박하고 따분한가요? 또한 미숙한 가요? 그것은 선생이라는 사람의 극히 개인적인 생각인 것 같은데 자기 생각을 참고해서 글을 쓰라는 건데 솔직히 웃기네요.

 

 특히 결론까지 정해져 있고 글을 쓰라는 것은 거의 교육에 있어서 폭력과 같은 겁니다. 사람이 다른 만큼 생각이 다를 수도 있구요. 굳이 성선 성악에 얽매이지 말고 동등한 입장에서 자기가 괜찮다고 싶은 곳을 택하시면 됩니다. 논술은 정답이 있는 게 아니라 자기 주장을 얼마나 설득력 있게 주장하느냐 즉 그 과정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됩니다.

 

 인간의 본성의 문제는 동양에서 특히 전국시대에 유행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맹자, 순자, 고자를 들 수 있는데요. 일단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고 생각해 보죠. 성선과 성악은 인간의 선천적인 본성을 말하는 겁니다. 어떠한 외부적인 교육이나 물듬이 없는 상태에서 인간은 선하다 악하다 또는 고자처럼 선도 악도 아니다 라는 거죠.

 

 인간 본성의 문제는 그 파장이 매우 큽니다. 인간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같은 문제가 발생해도 대처하는 방법이 달라지니까요. 인간이 선하다면 선한 본성을 계속 더 확충해 나가고 악으로 가지 않게 노력(수양)하라고 하겠죠. 악한 행동을 해도 선하게 다시 돌리기 위한 쪽으로 노력을 하겠죠. 반대로 인간이 악하다면 어떨까요? 당연히 선하게 해야겠죠. 그런 방법이 교육같은 것이 있을거구요. 대신 악한 행동을 했을 때는 선하게 할 가능성이 부정되어 있기 때문에(인간은 선천적으로 악하다면) 처벌을 하고 제재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는 성선을 포기할 수 없는 어떠한 당위적인 측면이 되는겁니다.

 

 그러나 또한 우리가 현실속에서 볼 때는 어떤가요? 착한 사람보다는 악한 사람이 더 많아 보이죠. 물론 성선설에서도 인간이 악해지는게 환경이나 인간의 탐욕과 욕심으로 설명을 하지만 있는 현실을 얼마나 잘 설명하느냐? 에서는 성악설이 더 적합해 보이기도 합니다.

 

 즉 현실에서는 악해 보이는 인간이 많이 있기 때문에 성악설이 설명에서는 더욱 설득력을 가지지만 인간 본성 문제가 가진 파장을 가진 영향을 생각하면 성선설을 포기하기는 힘듭니다. 반대로 이렇게 혼란하고 악해 보이기 때문에 더욱 성선을 추구해야 한다고 할 수 있죠. 이것은 사실을 넘어서는 가치의 문제와 연결이 됩니다.

 

 유교가 2천년이 넘는 역사 속에서 성악이 현실에 적합한 설명이라고 분명 느끼면서도 성선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성악이 가진 폐단이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순자같은 경우 책에서는 성악설을 주장했다고 해서 왠지 색안경 끼고 볼 수 있는데 순자의 성악설은 인간을 도덕적으로 교화하기 위한 설명(예치, 교육)에서 등장합니다. 즉 성악이라고 말했지만 절대적으로 악하다는 것은 아니죠. 그런 측면에서 순자를 소극적 성악설이라고 하는데요. 문제는 순자의 제자들(한비자, 이사)에 가면 완전 적극적 성악설이 됩니다. 이쯤되면 인간의 가치는 거의 바닥에 떨어지죠. 인간이라는 동물은 언제 악한 행동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군주를 위한 강력한 법을 통해 다스려야 한다는게 '법가사상' 입니다.  

 

 순자가 유학사에서 이단시 되는 이유도 법가에 직간접적인 책임이 부과되어 있는거죠. 솔직히 법가의 법을 보면 어떻게 하면 악한 인간을 처벌할까? 하는 부분에 관심이 있으니 거기서 인간의 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죠. 거의 독재를 생각하면 편합니다.

 

 대충 성선과 성악에 대해서 설명했으니 각각의 장단점도 참고가 되었다고 생각이 되네요. 성악도 현실을 더욱 잘 설명해준다는 측면에서는 분명 장점도 있지요. 물론 단점이 가진 영향력이 큰 게 사실이지만요. 성악을 기본 모토로 글을 쓴다고 하면 절대적인 성악으로 가서는 곤란합니다. 소극적 성악에서 그렇기 때문에 인간을 선하게 하기 위한 기타 도구들을 설정하는 노력이 필요하겠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숙제이니만큼... 몇가지 길을 보여드리는게 좋을 듯 합니다.

 위에 언급된 세가지 명제들은 모두... 성악설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결론은...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것이겠죠.

 이것들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글을 쓰자면 우선 성악설로 주장을 펼치는 편이 쉽습니다.

 첫번째 명제에서 우리가 비겁하지 않은 척 하지만 실제로 위험한 순간에는 자신만을 챙긴다던지 하는 경우 등을 말하면서 인간이 비겁하다는 것을, 그리고 인간이 자신의 본성이 악한 것을 모르고 선하다고 주장하는 것이 가식적이라는 것을 전쟁이나 여타의 예를 들면서 두번째 명제를 주장하고, 자신에게 악한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다스리려고 하지 않는 사람은 언제든지 그 악함이 드러날 수 있기에 미숙하다는 것을, 아이들의 행동이나 연애 속에서 드러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진 이기적인 모습에서 살필 수 있다는 것을 말해가면서 결론을 도출시키는 것이 좋겠지요.

 대충 얼개를 짜보자면... 서론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여러가지 논의 - 성악설, 성선설, 성무성악설 - 를 나열한 뒤 본론의 처음에서 인간의 선해보이는 행동들은 실제로는 악한 것이라는 것을 이야기하면서 그것을 통해 성선설이나 성무성악설을 배제하고 성악설로 길을 튼 뒤 여러 근거들을 통해 성악설에 대한 주장을 강조하고, 결론 부분에서 인간의 본성은 악하지만 어떻게 현실에서 악함이 만연하지 않는지에 대한 언급을 해주면서 끝맺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성선설로도... 성무성악설로도 위의 명제들을 통해서 이야기를 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우선 질문자가 땡기는게 성악설이니...

 움... 답변 되셨길 바랍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람의 마음 속에는 선과악이 공존한다 상황에 따라 악할 수도 선해질 수도 있다

타고날 땐 어떠했을까 마찬가지 아닐까요 조물주가 인간들에게 평등하게 나누어 준것은

시간 누구에게나 하루 24시간을주었다 또하나는 누구에게나 양심을 주었다

양심은 선과 악을 함께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상황에따라

선하게 살아갈 수도 악하게 살아갈 수도 있다 지식, 환경,조건등등에따라

양심이 빛날 수도 추 하게 변할 수도 있다 성선설, 성악설,성무악설등은

구별된 마음으로 잘못된 것이다 이 내용을 참고로 선생님이 내준 3개의 문제에

정리해 보심이.......

어렵고 복잡하지만 ㅈㄹ생각하세요

성악설이 더 설득력 있나요? 아님 성선설?

... 잘 모르겠어서 서론은 일단 성악설 성선설에 대해서 쓰려고 하는데... 이 둘중에 무엇이 더 설득력 있나요?? 전 성악설에 동의하는 쪽으로 쓰고 싶은데.. 그리고 이 논술...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악설이 과연...

... 고치시거나 첨가하거나 다른 생각을 적어주셔도 되요 ㅎㅎ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악설에 대한 나의 생각... 하지만 이 물질적인 증거가 확실하다고 믿을 수 있나요?...

성선설과 성무선악설 (내공 캡빵 드림...

성선설성악설, 성무선악설을 공부하다가 궁금한게... 혹시 제가 그냥 본성이 선하냐 아님 선은 본성의 범주가 아... 현실적으로도 맹자의 이런 설명은 설득력이 있죠. 그리고...

성경에 대해 질문합니다.

... 것들이 있나요? 4. 하느님이 우주를 만드셨다면, 우주의... 누가 선한 건가요? 17. 기독교분들은 성선설을 믿나요 아님 성악설을 믿나요? 아님 성무선악설을 믿나요? 18....

수학이 다른 학문의 기초가 되는 이유가...

... 289)는 성선설을 주장하였고, 순자(B.C. 315? ~ 230?)는 성악설을... 남보다도 많이 외운 후 문제를 잘 풀어서 수학 실력이 우수한 사람이라고 칭찬받으려는데 있는 것이 아님은...

수학이란?

... 는 성선설을 주장하였고, 순자(B.C. 315 ? ~ 230 ?)는 성악설을... 남보다도 많이 외운 후 문제를 잘 풀어서 수학 실력이 우수한 사람이라고 칭찬받으려는데 있는 것이 아님은...

성악설성선설

성악설성선설중 뭐가 설득력있나요? 아님 성중설을 주장한 철학자는 없나요?... 그러니까 맹자의 생존시대보다는 순자의 생존시대가 혼란하고 힘을 중시하던...

유교의 사상에 대해 알려주세요

... 배웠는데 자세히 알고싶어요 제가 특히 궁금한점은.. 인간의 심성론(성악설 성선설..이런거)과 관련한.. '인간... 아님 차이점이 있나요? ^ ^ 정말.. 궁금해요 ㅠ_ㅠ...

[철학,예술] "인간의 본성,도(道)" 등 과...

성선설이나 성악설등에 영향을 받은 예술가 또는... 누가있나요? 죠르쥬 루오 혹은 신성과 세속사이의 길[道]... 가장 설득력있는 종교화가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2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