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윤리 유교 죽음관 질문

생활과 윤리 유교 죽음관 질문

작성일 2024.05.2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도에는 시작과 끝도 없지만 만물에는 죽음도 있고 삶도있다” 저는 이게 장자인줄 알았는데 왜 유교(맹자)인가요? 장자는 저 말에 동의하지 않나요?
2. “<삶과 죽음의 이치를 깨달아> 인의의 삶에 힘써야한다” 중괄호 친 부분때문에 틀렸다고했는데 (공자 기출에 엄청 자주 나오는 제시문 = 삶을 모르는데 어짜 죽음을 알겠는가) 저건 또 맞다고하더라구요, 삶과 죽음의 이치(무상,무아,연기,윤회)를 깨닫는건 불교 아닌가요?


#생활과 윤리 #생활과 윤리 교과서 pdf #생활과 윤리 수능특강 pdf #생활과 윤리 목차 #생활과 윤리 문제집 pdf #생활과 윤리 문제 #생활과 윤리 문제집 #생활과 윤리 난이도 #생활과 윤리 기출문제 pdf #생활과 윤리 탐구 주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죽음을 알려하는 것은 인간의 욕심을 채우기위한 것이죠.

삶은 간단하다부터 시작하면 종교가 필요없어 집니다. 우리의 기본 사람관계를 아는 것이 종교라 하면 이또한 종교관으로 시작하는 것이죠. 삶은 우리가 살아가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보면 됩니다. 어느놈은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고 어느놈은 가난한 집또는 전쟁터에서 태어나고 이렇케 다른데 종교로 좋은데를 찿아가려는 것은 자신이 공짜로 욕심을 내보는 방법중 하나이겟죠. 세상 살아보면 공짜는 없습니다. 내가 먼가를 해야 비로소 얻는 것이죠. 그러니 공짜를 찿아 종교에 기댄들 그들의 밥거리이죠 님들을 받들 대상은 아닙니다. 종교가 목자와 양의 관계로 보면 됩니다. 목자가 양을 위해 하는 일은 없습니다. 그러니 신자를 위해 신이 할수 있는 것은 없죠. 그냥 쇠뇌되여 그들의 말을 따를 뿐이죠.

바르게 살면 되는 것이지 별거 있습니까.

인간은 본시 영이 있어 여기에 살려 왓으면 먼가를 벌려고 온것이지 놀러온게 아닙니다.

벌어서 갈수 있는 것은 덕이지 다른것을 벌어도 소용없죠. 님도 덕을 많이 벌어 인생을 값지게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그 덕중 하나가 자식을 키우는 덕도 큰덕중 하나입니다. 이것이 인간이 하려는 본성에 남아있는 것이죠.

생활과 윤리 유교 죽음관 질문이요 ㅠ

... 질문 유교에서 죽음을 고통이라고 보나요? 답변 유교에서는 죽음을 고통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1) 중국 유교의 대가였던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인 '공자'에게 물었습니다....

생활과 윤리 질문

... 주장은 유교의 입장과 일치합니다. 장자는 이러한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답은 X가 됩니다. 다음은 장자의 죽음관에 대한 간략한 요약입니다. - 죽음은 자연의...

생윤 문제 질문 [동서양의 죽음관]

... 5번이 답이 맞습니다. 1번은 살신성인•사생취의 관점으로 유교와 부합합니다. 따라서 질문자님 말처럼 5번이 답이 맞습니다. 2017 수능 생활과 윤리 정답

생활과 윤리 질문

... 삶의 가차관인데 죽음 또한 국가와 왕을 위해 충으로서 죽는 의로운 죽음을 가치있고 훌륭한 죽음으로 여기는 게 유교죽음관이니 죽음을 무조건 나쁘게 생각치 않기에.

생활과 윤리 유교죽음관ㅠㅠ 급합니다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급하게 질문 올립니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간에 '죽음은... 그리고 동양의 죽음관에서 유교를 제외하고 불교와 도가에서는 각각 삶과 죽음이 윤회의...

생활과 윤리 질문

생활과윤리 죽음관에 관한 입장 중 내세를 인정하는 입장은 플라톤과 불교밖에 없나요?... 그러나 유교의 입장이나 도가의 입장에서는 생과 사가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식되기...

생활과윤리 문제 질문!

... 불교입장의 죽음관아닌가요?? 그럼 3번도 맞는건데.. 답은2번이네요ㅜ 갑은 공자의 삶도 아직 다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느냐는 공자의말 로 보아 유교입니다. 을은...

생활과 윤리 유불도 질문

(가)는 도교 (나)는 불교 라 하겠습니다 질문... 여겼습니다 유교와 도교의 경우 아예 현세중심적 사상이여서... 기본적으로 죽음관을 윤회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죽은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