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 사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맞는지 판단해주세요ㅠㅠㅠㅠ (내공100)

윤리와 사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맞는지 판단해주세요ㅠㅠㅠㅠ (내공100)

작성일 2022.12.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진로가 승무원이어서 영화-비상선언(한재림)
테러범이 탄 기내안에서 분말형 바이러스를 퍼뜨리면서, 승객들의 몸 안에서 퍼져나가고 하나 둘씩 각혈을 하며 쓰러지기 시작한다. 항체와 백신이 개발되어 있긴하지만 이미 변형된 바이러스에 제대로 작용할지 안할지 알 수 없는 상황속에서, 국내공항에 착륙하려하지만 이것도 국민들 반대로 이어진다. 이 상황에서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을 감안해 착륙 하지 않을 것인가 , 소수의 생명을 소중히 여겨 착륙하는 것이 맞을까 를 주제로 할려고 하는데, 의무론(칸트 윤리)나 결과론(공리주의)로 결론을 내려야하는데, 저는 결과론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공리의 원리로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을 내릴려하는데, 대전제(도덕원리)로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다.소전제(사실판단) 다수를 위한 숭고한 소수의 희생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선택이다.결론 최대 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은 어쩔 수 없다 라고 내려도 되는걸까요 ..? 수행평가라서 ..! 자세히 봐주시고 고칠 점 알려주세요ㅠㅠ


#윤리와 사상 #윤리와 사상 교과서 pdf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pdf #윤리와 사상 정리 pdf #윤리와 사상 난이도 #윤리와 사상 pdf #윤리와 사상 문제집 추천 #윤리와 사상 목차 #윤리와 사상 문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잘 추론하셨습니다.

아시다싶이 공리주의에서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중요시여기는데요

비행기를 추락시키면 그 안에 있는 사람만 죽겠지만

비행기를 착륙시켜 바이러스가 퍼진다면 그 이상의 수 많으 사람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추락시키는 것이 행복을 더 증진시키는 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공리주의에서 옳다고 말할 것이고요.

지적할 부분 없이 잘 쓰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