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과 허무주의 실존주의

모더니즘과 허무주의 실존주의

작성일 2020.04.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모더니즘에 대한 부정과 함께 실존주의 허무주의,포스트모더니즘등의 사상이 나왔다고 하는데 궁금한것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1.허무주의는 세상에 의미있는것은 아무것도 없고 이성에관한것,도덕,양심,사회 등보다는 자신의 쾌락,욕망들이 중요하다여기는것이고,실존주의는 사회라는 집단보다는 자기 자신이 어떻게 살고 나에게 해당하는 진리를 중요시하는 '사회보다는 자신'이라는 사상이라고 알게되었습니다,둘이 결국에는 남보다는 자신에게 중점을 둔 사상인것 같은데 두개의 사상이 서로 반대되는 사상이라고 할수있는건가요?
2.이 두가지가 왜 이성을 중요시하는 모더니즘과 계몽주의에 반하는 사상인지 자세히 알고싶습니다,즉 모더니즘과 계몽주의에서 말하는 이성에는 어떤 요소들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3.현대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흔히 볼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허무주의,실존주의의 사례를 알고싶습니다.

제가 잘 알고있는것이 아니라 글중에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가르쳐주세요,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허무주의와 실존주의 모두 자아에 대한 깊은 고찰에서부터 시작하게된 사상입니다. 허무주의가 도달한 결론은 결국 '나'라는 존재는 허상에 불과하며 우주의 먼지에 불과한 '나'라는 존재가 추구할것은 그저 이 순간의 쾌락이라는 것입니다. 그에반해 실존주의는 일종의 유신론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단지 신앙의 주체가 '신'에서 '나 자신'으로 바뀌었기 때문이죠.

이렇게 보면 별로 차이가 없어보입니다만...실존주의는 자신만의 도덕기준이 존재합니다. 뭐, 그사람이 평소에 생각하던 도덕적 기준이 있으면 그에 맞게 살아가기위해 노력하는것이죠. 그 도덕기준이 실존주의자에게는 율법처럼 작용하니까요.

허무주의는 그런것이 없습니다. 사실상 시대를 거쳐왔던 모든 사상들은 유신론처럼 작용합니다. 그 사상만의 신이 존재하니까요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허무주의는 대부분의 사상과 반대되는쪽에 위치합니다. 그 사상이 진리로 여기는것을 부정하는 셈이니까요.

2. 모더니즘이 이성을 중시한다....이 부분에 대해서는 짚고 넘어가야 되겠네요. 모더니즘이 과거의 화려함만 추구했던 것을 반성하며 등장한 사상으로, 기능적 순수함을 추구합니다. 이성을 추구하는것과는 약간 다르죠.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발전은 모더니즘의 등장으로 인한 결과중 하나인데요, 이성을 추구했다면 나올수 없는 결과이죠. 계몽주의는 확실히 이성을 추구하는 사상이 맞습니다. 여기서의 이성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옳고 그름을 가리는 능력'입니다. 여기서의 '옳고 그르다'의 기준은 그 당시에는 도덕이었습니다. 주의해야 할점은 '이성'이 많은 다른 의미를 담고있다는 것인데요, 플라톤의 logos의 의미도 포함하며, 위에서 언급한 의미도 포함하고, 칸트의 실천이성등의 의미도 포함하므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계몽주의의 이성은 선의지에 기인한 이성을 목표로 판단할것을 요구하는데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는 자신만의 기준에 맞추어가므로 계몽주의에 반하는 사상이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복잡한 내용이라 제 설명이 부족할수도 있으니 관심이 있으시다면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3. 포스트모더니즘 : 해체주의가 포스트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사상입니다.

허무주의 : 사실 현대사회에서 허무주의의 영향은 미미합니다. 허무주의자체가 개인행동을 추구하므로 허무주의자가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거의없습니다.

실존주의 : 도스토프옙스키, 프란츠 카프카등의 작품에서 실존주의적 관점을 엿볼수 있습니다. 요즘 핫한 조던 피터슨 교수 역시 일종의 실존주의자라고 할 수 있죠.

모더니즘과 허무주의 실존주의

... 3.현대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흔히 볼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허무주의,실존주의의 사례를 알고싶습니다. 제가 잘 알고있는것이 아니라 글중에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허무주의,회의주의 철학 관련 저서 추천...

... 능동적 허무주의를 일부 담고 있고 '실존주의란 무엇인가(장 폴 사르트르)'는... 이러한 일련의 철학적 흐름을 통해 전반을 확인하기 위해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

죽음, 철학, - 주의란?(시대정신과 이념의...

... 겪지않은 실존주의가 떠올랐다...가 됩니까? 하지만 선생님이 '자연주의(고대)... 대다수가 허무주의에 어릿광대로 사는 사람들을 계몽시키려는 의도로 강하게 말한건지 둘...

포스트모더니즘연극과 모더니즘 연극의...

... 장벽을 허물어 버렸다는 데에 있다. 힐튼 크레머가... 니체, 하이데거의 실존주의를 거친 후 포스트모던 시대는... 포스트모더니즘이다. 사실주의는 대상을 그대로 옮길 수...

능동적 허무주의, 수동적 허무주의

... 이는 실존주의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출발점이 됩니다. 수동적 허무주의는 조금 더 극단적 허무주의라고 저는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기존의 가치의 해체에서 더 나아가 그...

디자인사의 흐름중 포스트 모더니즘에관...

... 이번에 학교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에 관한 세미나를... 니체, 하이데거의 실존주의를 거친 후 포스트모던 시대는... 파괴주의, 허무주의로 나타나는 것이 해체주의의 이론적...

문학에 나오는 사상??

... 퇴폐주의 허무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실존주의..... 등 과 같은 내용을 담고있는.. 유명한 책 들이라도 이런 사상?? 같은 걸 몰라서 이해를 못하겠는데 이런 것 들을 배울만한...

모더니즘문학에관해

... 이는 실존주의를 가져왔으며 이는 모더니즘과도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모더니즘은... 시에 있어서는 허무주의 영탄조의 시나 주지주의, 이미지즘의 시들이 나타났다.

목마와 숙녀

... (戰後) 모더니즘 시의 대표적 작품이다. 6·25 전쟁 직후의 허무주의, 실존주의적 고뇌, 도시적 감상성(感傷性)을 바탕으로 깔고 있는 이 시는 인생에 대한 애상적(哀傷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