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코패스가 범죄 심리학 이론중 하나인가요?

싸이코패스가 범죄 심리학 이론중 하나인가요?

작성일 2015.11.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문 그대로입니다

 

심리학과 관련된 이론중 하나를 정리하고 실 사례에 적용을 해야하는데 저게 이론인가를 헷갈려서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이코패스(정신병질)은 하나의 증상을 이론적으로 표현한 겁니다. 한때 정신감정의 기준이 되는 DSM에 포함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거의 배제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정신병질의 대표적 요인들이 다른 정신병리로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완전 새로운 발견이라면 정신병질이 하나의 정설로 받아들여졌겠지만, 현재까지는 허점이 너무 많습니다. 최근에 4요인 모델이라고 하여 삶의 방식, 상호작용전략 부재, 반사회적 행동, 충동성을 규정했는데... 이 또한 매우 모호하기 때문이죠. 단순히 범죄학에서 말하는 특질이론의 일부와 반사회적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일부까지 복합시켜 놓은 짜집기 개념과 다를 바가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공감능력의 저하 및 부재는 정신병질의 유일한 특성으로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공감능력의 저하나 부재가 꼭 범죄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단 것이죠. 물론 하나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순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범죄학 이론에서 말하는 신념이나 사람과의 교류정도, 타인과의 애착정도가 범죄를 예측하는 만큼 강력한 요인으로는 안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감능력이 없으면 타인의 고통을 이해못해니 과도한 폭력을 휘두를 수도 있습니다. 특히 갈등상황에서 상대를 고통 등으로 제압하는 방식은 문제해결을 빠르고 쉽게 해줍니다. 즉, 타인의 감정을 이해 못하니 폭력이 부정한 수단인 걸 인식 못해 하나의 도구로 사용하는거죠. 허나 실제 연구나 보고되는 내용에서는 공감능력이 반드시 높은 폭력을 불러오진 않습니다. 폭력이외에도 거짓말이란 수단도 있기 때문이죠.

정리하자면 정신병질은 하나의 설로서 학술적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론으로 인정받기 위해선 양적 연구. 즉, 통계분석이나 수많은 사례 연구를 통해 지지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신병질은 아직은 뿌리가 완전한 이론이라 보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정신병리에서 범죄와 연관이 높은 개념들은 반사회적 성격장애, 망상장애, 조현증 정도가 있습니다. 이들도 마찬가지로 범죄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기 보단 확률을 높이는 위험요인이라 평가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범죄행동의 결정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계속 이뤄집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갖고 있는 내재적 요인과 그를 둘러쌓은 환경 및 상황 그리고 인간관계 같은 외부적 요인이 맞물려야 한단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적인 접근만으로는 설명이 매우 어려운 게 당연합니다.

어떤 상태의 개인이라도 결국 행동을 발생시키는 격발장치는 외부적 상황과 환경이니까요.


도움이 됐길 바라고 궁금증이 있으면 글 남겨주세요.

싸이코패스가 범죄 심리학 이론중 하나...

질문 그대로입니다 심리학과 관련된 이론중 하나를 정리하고 실 사례에 적용을 해야하는데 저게 이론인가를 헷갈려서요 사이코패스(정신병질)은 하나의 증상을 이론적으로...

범죄 심리학의 대표적인 이론 알려주세

범죄 심리학의 대표적인 이론 알려주세요 일반긴장이론 Robert Agnew가 주장한... 긴장이론 중 하나이다. 이 이론은 과거 Merton이 제시했던 긴장이론에 뿌리를 두고...

범죄심리학 이론책 추천

... 진단명싸이코패스 밖에 읽어보지못했습니다 위책들도 유익한 내용이었으나 제가 원하는 것은 이론에 관한... 그래서 범죄심리학을 자세히 다룬 더욱 전문적인 책을...

고2 범죄심리학 발표 도와주세요ㅠ

... 주제 중 하나입니다. 2. 죄수의 딜레마와 범죄심리학의 관련성을 설명해주세요.... 또한, 범죄심리학이론을 바탕으로 죄수의 딜레마에 대한 심리적인 요소를 분석하는 것도...

범죄심리학 동아리 활동

제가 범죄심리학 동아리장인데 동아리에서 어떤 활동을... 게임이론과 심리전에 대해서, 사람마다 중요시하는... 기본 중 하나니까요 2. 유명 소설/만화 or 실제사건 등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