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학(독서), 철학 제시문 논술문제,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

비문학(독서), 철학 제시문 논술문제,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

작성일 2013.08.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현재 고3이구요

 

독서와 논술문제 영어지문을 풀때 주로 나오는 단어들의 쓰임이 철학적으로 해석 될 때는

 

일반적으로 이것들이 해석 될 때 와는 달리 받아들이기 어려워 지는데.

 

조금 많습니다만. 쉽게 이해가 되도록 예를 들어주시면서 설명부탁드립니다. 

 

(사전꺼 그대로 빼겨서 붙여놓기 하지마세요. 이미 단어뜻 사전으로 다 찾아보고 질문하는겁니다.

 

1. 이성

 

2.이성주의

 

3.이성론

 

4.인식 (제일많이등장)- 사물이 사물에 대해서 가지는 그것이 '진'이라고 하는것을 요구할수있는 개념 또는

그것을 얻는과정(느낌은 알겠는데. 크게 와닿지 않습니다

 

5.본질-

   본질주의-

 

6.실질주의

 

7.이치

 

8.일원

  일원론

9.이원

   이원론

    이원성

10.다원론

 

11.의식- [철] 감각하거나 인식하는 작용?

 

12.존재- ㅊ 의식으로부터 독립하여 외계에 객관적으로 실재하는일

 

13.실재 -

 

14.주관- 외부세계 및 그밖의 객체로 의식하는 자아?

 

15.객체

 

16.객관-주관작용의 대상이 되는것 또는 인식주관에대한 인식내용

 

17. 사유

 

18.사고

 

19.감성 - 대상에서 감각되고 지각되어 표상을 얻게 되는 인간의 인식능력..

 

위에 있는 모든 단어들이 사전적 뜻을 읽으면 크게 와닿지 않습니다

 

 

그리고... 논술문제 풀다가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 이야기가 간접적으로 나왔는데

 

이게 이원론이라고 하더군요. 물질과 정신 어쩌고~~!#$!@#@#!@뭐라는지 못알아듣겠..

 

여기서 물질과 정신이 뭘 의미하는건지도 안 와닿습니다.

 

정신:우주의 근원을 이루는 비물질적인 실재

물질 :정신에 대하여 인간의 의식이 바깥에 존재하는것

 

이해가게 설명 좀 부탁 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이성: "이것은 ~이다," "이것은 ~가 아니다"라고 판단하는 능력입니다. 예컨대 눈앞의 책상을 보고 "이것은 책상이다," "이것은 필통이 아니다"라고 판단하는 것도 이성입니다. 더 나아가 "이것은 옳다" "이것은 옳지 않다"라고 도덕적으로 판단하는 것도 이성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2.이성주의: 이성의 능력, 즉 무언가를 무언가로 판단하는 능력이 정당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반면에 反이성주의는 사물과 상대방을 그렇게 판단하지 말자고 제안하는 것이고요.


 3.이성론: 이성의 능력이 어떻게 해서 작동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4.인식: 사물을 그 사물로 받아들이는 능력입니다. 책상을 필통으로 보지 않고 책상으로 보는 게 인식이지요. 이때 "이것은 책상이다"라는 명제는 참이 되지만, "이것은 필통이다"라는 명제는 거짓이 됩니다.


 5.본질주의: 우리가 이것을 책상으로 인식하는 원인은 이것이 '책상'이라는 본질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이 책상이기 때문에 우리 역시 책상으로 인식한다는 얘기입니다. 반면에 反본질주의는 책상이란 본질은 어디에도 없고, 우리가 다만 이것을 책상으로 바라보기만 할 뿐이라고 말하겠지요.

 

 6.실질주의: 처음 들어보는 용어네요.

 

 7.이치: 원리, 법칙 같은 것과 비슷한 단어로 보이네요. '사물의 이치'라고 말하면 그 사물이 형성되고 유지되는 원리 및 법칙 등을 얘기하는 거겠죠?

 

8.일원

  일원론: 우리의 인식 능력,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 등등이 모두 한 가지 이치(원리)에서 비롯하고 유지된다는 입장입니다. 예컨대 물질주의적 일원론은 인간의 의식이든 사물이든 전부 물질이라는 요소에서 비롯한다고 말합니다.


9.이원

   이원론

   이원성: 일원론과 달리 이 세계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원리에 의해 생겨난다는 입장입니다. 데카르트의 심신(心身)이원론도 이원론이죠.


10.다원론: 일원론이나 이원론과 달리 세계가 두 개 이상의 여러 가지 다른 원리에 의해 생겨난다는 입장입니다. 어떤 고대 그리스 철학자는 만물이 불, 물, 흙, 공기에 의해 구성된다고 말했죠. 이러면 다원론입니다.

 

11.의식: Consciousness. 철학에서 의식이란 이렇습니다: “'이것은 책상이다'라는 것을 나는 안다.” 내가 무언가를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다시 한 번 인식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질문자께서는 어떤 사람을 싫어할 수 있겠죠? 그러면 "나는 이 사람을 싫어한다"라는 문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나는 이 사람을 싫어한다는 것을 나 스스로 안다"라고, 즉 '아, 내가 이 사람을 싫어하는구나'라고 스스로 자각이 되면 그게 바로 의식적인 겁니다.


12.존재: 실재하는 모든 것입니다. 질문자 분의 의식도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 분은 지금 무엇이든 생각하고 있을 텐데요, 그 생각이 존재하지 않는 것, 즉 '없는' 것은 아니잖아요? 그것도 있는 것입니다. 그처럼 있는 모든 것이 존재입니다.


13.실재: '실제로 존재함' 혹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 우리는 상상을 통해서 괴물을 만들 수 있는데요, 어떤 사람은 그 괴물이 실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것입니다. 있긴 있는데 실제로 있는 건 아니라는 말이죠.

 

14.주관: 지금 질문자께서 하시듯이 무언가를 보고, 느끼고, 만지고, 생각하는 의식이 주관입니다.

 

15.객체: 지금 질문자께서 보는 것과 느끼는 것과 만지는 것과 생각하는 것이 객체입니다.


16.객관: 그런데 질문자께서 설령 눈앞의 책상을 보지도 느끼지도 생각하지도 않는다고 해서 그 책상이 객체로서 존재하지 않는 건 아마도 아니겠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상은 있을 텐데요, 이때 "책상은 있다"라고 말하면 그건 주관적인 명제가 아니라 객관적인 명제입니다. 즉 나의 주관과 상관없이 어떤 대상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걸 객관적인 시각이라고 부릅니다.


17. 사유: '생각'입니다.


18.사고: 이 역시 '생각'입니다. 어렵게 받아들일 필요 없습니다.

 

19.감성: 그런데 질문자께서 눈앞의 책상을 "이것은 책상이다"라고 판단하려면 먼저 그 책상을 볼 수 있고 또 느낄 수 있어야겠지요? 그렇게 무언가를 보거나 느끼는 인간의 능력을 감성이라고 부릅니다. 칸트의 용어입니다.




비문학(독서), 철학 제시문 논술문제...

현재 고3이구요 독서논술문제 영어지문을 풀때 주로 나오는 단어들의 쓰임이 철학적으로 해석 될 때는... 논술문제 풀다가 데카르트의 물심이원론 이야기가 간접적으로...

대입 논술

... 국어 비문학/사회탐구/영어 독해 교과 학습을 위한 기초... 면접과 제시문면접 대비 실전 수업(2,3,4시간 단위 수업) 3. 독서논술: 책 주제로 강의와 토론 1시간+독후감 쓰기...

논술 공부 시간

... 국어 비문학/사회탐구/영어 독해 교과 학습을 위한 기초... 면접과 제시문면접 대비 실전 수업(2,3,4시간 단위 수업) 3. 독서논술: 책 주제로 강의와 토론 1시간+독후감 쓰기...

인문학 ,철학 추천도서

... 독서활동으로 인문 도서랑 철학 도서를 읽으려고... 방법서설, 성찰 둘다 데카르트 책인데 각각 이백p... 비문학들만 소개해놨지만 인간이란 무엇인가 어떤 존재인가...

국제철학올림피아드에 대하여...

... 한국철학올림피아드 대회 문제와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그리고 대학 입학 논술 시험 기출푼제의 제시문 주제에... 어려서부터 철학에 관심이 많았다면 데카르트와 칸트의...

대학 논술전형 준비

... 국어 비문학/사회탐구/영어 독해 교과 학습을 위한 기초... 면접과 제시문면접 대비 실전 수업(2,3,4시간 단위 수업) 3. 독서논술: 책 주제로 강의와 토론 1시간+독후감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