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사상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사상

작성일 2012.06.0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사상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 모르겠고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장난 금지 ( 수행평가라서)

답변 글이 좋은 분께 내공 드려요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차이점 #벤담과 밀의 차이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차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기본적으로 공리주의라는것에 대해 이해를 하자면,

공리주의는 가능하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인즉 공리를 최대화시키는 결론을 내려야한다는 사상입니다. 

예시로,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서적에서는 공리주의적인 예시를 몇가지 들고 있는데요(시간되신다면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예시는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습니다. 맥락만 잡겠습니다.)

"선원이 배를 타다가 배가 표류하게되어 선원 몇이서 작은 보트에 소량의 식량을 싣고 바다에 표류하게 되었다. 선원이 여럿 탔는데 한 선원은 힘이 약하고 병에 걸려 다수의 행복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식량이 다 떨어지게 되어 모두가 굶어 죽게 생겼는데 이때 선원중 한명이 병에 걸린 선원을 죽여서 식량으로 쓰자고 제안하였다."

이 경우 공리주의에서는 병에 걸려 힘이 없는 한 사람의 희생으로 최대한의 다수가 행복을 얻을수 있기에 그 선원을 희생시키는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물론 공리주의는 테두리가 넓은 생각이고, 모두가 같은 생각을 하지는 않습니다.)

또한, 다른 예시를 들자면

"어느 마을에서 한 소년이 살았다. 그런데 이 소년에게 좋은일이 생기면 마을 전체에게 나쁜 일이 생기는 것이었다. 마을 사람들은 마을 전체의 행복을 위하여 소년을 빛도 들지 않고 추운 방에 가두었으며, 먹을것도 제대로 주지 않아 소년을 병약하게 만들었다. "

이런 경우에서도 일반적인 공리주의 개념으로 보자면, 공리주의자들은 소년을 잡아가두어 불행하게 만드는것에 대해 비판하지 않습니다. 다소 극단적인 예시로 살펴보았지만, 이러한 예시들이 공리주의를 가장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요약한다면, 절대적인 최대다수의 최대행복론이 되겠습니다. 여기서, 인간이 가지는 도덕적인 개념을 무시하는 경우도 있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생각을 전제로 두고, 벤담과 밀의 생각이 어떻게 다르냐가 중요합니다.

먼저 벤담은, 공리주의에서 행복의 총량을 수량화하여 계산할수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또한 각각의 행복의 총량, 그러니까 표현을 쉽게 하기 위하여, 모두의 행복지수는 같은 일에 대해 동일하게 반응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벤담의 공리주의를 양적 공리주의라고도 합니다. 또한 벤담은 스스로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행복의 양을 계산할수있는 다양한 척도까지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벤담의 공리주의에서 공리를 증가하는 행동은 합리적인 선택이 되고, 반대의 경우는 비합리적 선택이 됩니다.

 “자연은 인류를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군주의 지배 아래 두었다. 우리가 무엇을 하게 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까를 지적하는 것도 오로지 이 두 군주에 달려 있다.”
이것이 벤담의 주장을 한마디로 정리한겁니다.

벤담은 인간의 행동의 목적이 결국 행복 혹은 고통으로 귀결된다는 근거를 바탕으로 공리주의를 전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공리주의를 창시하였으며, 다수의 행복 또는 다수의 고통을 기준으로 결정을 내려야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것이 공리주의 초창기의 원리, 벤담의 원리입니다.


이러한 공리주의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정의, 도덕은 무시될수 있습니다.


반대로 밀의 공리주의는 벤담과는 반대로 질적 공리주의라 불립니다. 

밀은 각각의 개개인의 행복에도 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예시를 들자면(밀의 공리주의에 충실하기 위함일 뿐. 저는 어떠한 매체도 질적으로 어떠한것이 우수하거나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심슨vs모나리자
동요vs고전주의 음악

과 같은 예시가 되었습니다. 전자로 든 예가 밀이 생각한 행복의 질이 떨어지는 것들이고, 후자가 밀이 생각한 행복의 질이 높은 것들입니다.

예시로, 도덕책에서는 "육체적이고 감각적인 쾌락보다는 정신적이고 지속가능한 쾌락이 더 상위의 쾌락이다"라고 말하는데, 이것이 밀의 주장입니다. 중학교 3학년 과정 수준으로 풀어봤습니다.

이에 관하여 밀이 남긴 말이 "배부른 돼지보다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났다(공리주의 중)"라는 말입니다. 본인의 주장을 한마디로 정리했습니다.

배부른 돼지라 하면 육체적이고 감각적인 쾌락이 충족된 상황이고, 배고픈 소크라테스라 하면 감각적이고 육체적인 쾌락은 다소 떨어지지만 정신적인 쾌락이나 그 수준이 배부른 돼지보다 상위에 있다는 것입니다. 밀이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났다고 평가했으므로, 밀은 정신적인 쾌락이 감각적인 쾌락보다 상위에 있다고 주장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공리주의를 완성했다고 평가받는 밀의 공리주의 원리입니다. 

벤담이 가지는 1차원적인 행복의 양이라는 측면에, 다시 행복의 질을 더하여 공리를 계산했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글을 마칩니다만 혹시 도움이 될까 해서 캐스트에서 밀을 정리해놓은 url을 남길까 합니다. 들어가보시는것도 괜찮을것 같네요.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사상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사상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 모르겠고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장난... 들어가보시는것도 괜찮을것 같네요. 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3806

운리와사상 벤담 공리주의 , 칸트 의무론

운리와사상 과제인데 신문기사에서 나타난 윤리적 문제를 찾고 그거를 벤담 혹은 밀의 공리주의 그리고 칸트의 의무론 세 가지 입장 중에서 한가지의 사상을 바탕으로 문제...

밀의 공리주의가 자유주의를 탄생시킨...

... 우선 밀은 질적공리주의를 주장했던 사상가죠. 밀을 설명드리자면 양적공리주의를 주장했던 벤담과 비교하면 설명이 더 빠를것같은데요.. 우선 벤담은 인간이 느끼는 쾌락의...

제레미 벤담과 밀의 차이점 쉽게

... 제레미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에 대해 아주 간결하고 쉽게 설명해 주실분 찾아요... 이런 벤담과 콩트의 사상은 존 스튜어트 (John Stuart Mill, 1806-1873)에게서 하나로...

쾌락의 벤담과 밀의 관점

... 모든 캐락은 질적으로 동일하다(벤담) 쾌락들 간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 () 윤리와 사상에 나오는... [공리주의의 문제점] 쾌락 원칙을 윤리적 원리로 간주하려는 주장...

벤담이나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제레미 벤담이나 존 스튜어트 밀이 주장한 공리주의에 대하여 이해하기 쉽게 써... bid=2907160 싸고, 얇고 한번에 볼 수 있고, 저 책 시리즈로 다른 철학 사상도 얇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