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 논증, 귀납 논증 구분

연역 논증, 귀납 논증 구분

작성일 2011.04.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아랫배 오른쪽이 아프네, 맹장염인가?

 

2. 서쪽 하늘에 검은 구름이 덮여 있다. 비가 올지도 모르겠다.

 

3. 우리나라에서는 규칙적인 모양은 인공적으로 만들 수밖에 없지만, 지중해 지방에서는 규칙적인 모양이 식물에 있어서 오히려 자연스러운 모양이고, 따라서 불규칙한 모양이야말로 부자연스러운 모양이다.

 

4. 반가사유상은 반가부좌, 즉 한 쪽다리를 다른 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자세로 앉아 있는데, 이상하게도 의자에 앉아 그런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어쩌면 이 자세는 유라시아 대륙 북방 유목민의 좌법에서 비롯된 것일지 모른다. 왜냐하면 원래부터 유목민은 땅 위에 앉는 것보다는 말 위에 앉는 생활에 익숙해 있어서 말에서 내려 쉴 때에도 휴대해 다니는 의자를 꺼내 앉는 일이 흔했기 때문이다. 인도에서부터 전해오는 사이에 유목 기마 민족의 문화가 융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5. 법규의 의미를 확정하는 작업은 해석자가 자신의 가치 판단에 기초하여 그것을 평가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법규는 해석자의 앞에 놓여 있는 일종의 소재인 셈이다.

 

 위의 논증들이 연역인지 귀납인지 알려주시고 해설도 좀 해주세요 ㅜㅜ...

 

 

 

 


#연역 논증 귀납 논증 #연역 논증 예시 #연역 논증 오류 #연역 논증 타당성 #연역 논증 #연역 논증 사례 #연역 논증 분류 #연역 논증 특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아랫배 오른쪽이 아프네, 맹장염인가?

귀납논증입니다.

아랫배 오른쪽에는 맹장이 있다.

맹장염이면 맹장이 있는 쪽이 아픈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아랫배 오른쪽이 아픈 난 지금 맹장염에 걸렸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 맹장염이 아닌 다른 이유, 예를 들어 배에 가스가 차는 등의 이유로도 아랫배 오른쪽이 아플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2. 서쪽 하늘에 검은 구름이 덮여 있다. 비가 올지도 모르겠다.

귀납논증입니다.

과학적인 원리에 따른 것으로서 연역적인 것인가 답해야 하나 고민하긴 했지만

과학은 관찰과 경험에 의거해 원리를 찾아가는 전형적인 귀납논증에 근거한 학문입니다.

 

숨어 있는 명제까지 찾아서 다시 나열해 보겠습니다.

a 서쪽 하늘에 검은 구름이 덮여 있다.

b 검은 구름은 비구름이다.

c 바람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고 있다.

d 검은 구름이 이쪽으로 오게 되면 비가 올지도 모른다. 

b,c는 우리의 경험상 갖고 있는 숨은 명제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a,b,c의 전제들과 결론d는 연역논증만큼 긴밀한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과학이 10년 전보다 엄청 발달한 지금도 기상현상 예측만큼은 그 특성상 어렵기 짝이 없습니다. 확률로 예측하는 것이 다 입니다. 즉, 서쪽 하늘에 검은 구름이 덮여 있었는데 그것이 사실은 서쪽 어느 집에서 난 연기였을 수도 있고 혹은 바람 방향이 갑자기 바뀔 수도 있고 또는 검은 구름이 이쪽을 지날 때까지 비가 안 올 수도 있습니다. 물론, 경험 상으로는 이런 경우는 거의 80~90%의 강수확률을 갖겠지만요. 역시 확률입니다! 비가 안 오면 결론이 틀리고 그만인 명제로 귀납논증인 것입니다.

3. 우리나라에서는 규칙적인 모양은 인공적으로 만들 수밖에 없지만, 지중해 지방에서는 규칙적인 모양이 식물에 있어서 오히려 자연스러운 모양이고, 따라서 불규칙한 모양이야말로 부자연스러운 모양이다.

연역논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논제를 나눠보겠습니다.

A

우리나라에서 규칙적인 모양은 인공적으로 만들 수밖에 없다.

(인공적으로 만든다는 것은 부자연스럽다는 뜻이다.) -> 이 명제가 숨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B

그러나 지중해 지방에는 식물이 규칙적인 모습을 갖는다.

(식물은 인공적이 아닌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 이 명제가 숨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불규칙한 모양이 부자연스러운 것이다.

 

즉, 인공적 = 부자연스러움

인공적이 아님 = 자연스러움 그러므로 인공적이 아닌 것이 아닌 것(불규칙한 모양 )= 부자연스러움

그런데 A에서 B로 가는 것은 올바른 논증이 아니라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예쁜 여자는 젊다"라는 명제가 참이라고 해도

"젊은 여자는 예쁘다"라는 명제의 역은 항상 참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4. 반가사유상은 반가부좌, 즉 한 쪽다리를 다른 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은 자세로 앉아 있는데, 이상하게도 의자에 앉아 그런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어쩌면 이 자세는 유라시아 대륙 북방 유목민의 좌법에서 비롯된 것일지 모른다. 왜냐하면 원래부터 유목민은 땅 위에 앉는 것보다는 말 위에 앉는 생활에 익숙해 있어서 말에서 내려 쉴 때에도 휴대해 다니는 의자를 꺼내 앉는 일이 흔했기 때문이다. 인도에서부터 전해오는 사이에 유목 기마 민족의 문화가 융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귀납 논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논리를 간단하게 추려보면,

a반가사유상은 반가부좌, 이상하게도 의자에 앉아 그런 자세를 취하고 있다.

b유목민은 땅 위에 앚는 것보다는 말 위에 앉는 생활에 익숙해 있어서 말에서 내려 쉴 때에도 휴대해 다니는 의자를 꺼내 앉는 일이 흔했다.

c그러므로 인도에서 전해오던 문화에 유목기마 민족의 문화가 융합한 것이 반가사유상일 것이다.

유목민이 다른 문화에 비해서 의자에 앉는 자세를 많이 하기 때문에 반가사유상에서 본 뜬 것이라고 경험에서 추측한 것인데, 사실은 다른 이유에서 반가사유상이 디자인되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늘 자리에만 앉아 있던 황제의 생각하는 모습을 본 뜬 것이라든가..

 

5. 법규의 의미를 확정하는 작업은 해석자가 자신의 가치 판단에 기초하여 그것을 평가하고,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법규는 해석자의 앞에 놓여 있는 일종의 소재인 셈이다.

연역논증입니다.

법규의 의미를 확정하는 작업에 대해 해석자가 그것을 평가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소재란 "어떤 것을 만드는바탕되는 재료.( 국어사전 참조) "뜻을 가지고 있어서 작업 자체가 바탕이 되어 해석자가 일을 하는 것이므로 문장과 단어 뜻 안에서 결론 문장("그러므로~")을 유추해낼 수 있습니다.

연역 논증, 귀납 논증 구분

... 위의 논증들이 연역인지 귀납인지 알려주시고 해설도 좀 해주세요 ㅜㅜ... 1. 아랫배 오른쪽이 아프네, 맹장염인가? 귀납논증입니다. 아랫배 오른쪽에는 맹장이 있다....

연역논증귀납논증 구분

... 연역논증인지 귀납논증인지 써주시고 이유와 쉬운 구분법 좀 알려주세요! 전제의 참이 결론의 참을 보장하니 연역이네요. 확장적이라는 것은 어느 부분을 보고 그런 생각을...

귀납논증 연역논증 구분 질문이요~

... 전제와 결론으로 구분 짓고 왜 개연성을 가지는 지 가르쳐주세요! 위의 두가지 논증은... 한다면, 연역논증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귀납이든 연역이든 전제가...

귀납논증 연역논증

귀납논증연역논증의 개념은 알겠는데 구체적인 사실과 일반적 원리를 구분하는 것이 뭔지 모르겠어요ㅜㅜ 귀납논증연역논증의 개념은 알겠는데 구체적인 사실과 일반적...

연역 논증이랑 귀납 논증 구분 할때

... ~ 했기 때문이다 문장이면 무조건 연역인가요? 귀납은 약간 아마도 ~ 일 수도 있다.... 연역 논증은 보편적 명명제가 제시되고, 그걸로부터 개개의 사실을 논증하는 것입니다....

귀납논증,연역논증구분좀 해주세요.....

... 귀납논증인이 연역논증인지 아무리 생각해도 구분을 못하겠어요.. 교수님이 알려주신 방법대로 하면요.. (이방법이요.. 전제가 참이라고 하면 결론이 반드시 참인가? 맞으면...

귀납논증 연역논증 구분

... 이거 귀납논증 중에서 유비논증 맞죠??? 아니든 맞든 뭐고 왜 그거인거죠?? 설명점ㅠ 푸리에의 시계논증인데, 잘못알고계신것 같습니다. 사막 한가운데서 시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