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왕에서부터 문왕때 발해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하면서 국제적...

무왕에서부터 문왕때 발해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하면서 국제적...

작성일 2011.06.1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역사 수행평가인데요 답변해주세요

 

 

무왕에서부터 문왕때 발해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하면서 국제적으로 자신감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좀 길게써주세요

 

 

내일까지에요 바로 채택해드림 내공 100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직접 썼습니다 다 쓴 후에 보기 편하게 번호를 붙였습니다

 

무왕

무왕은 발해의 시조인 대조영의 아들로서 719년에 즉위합니다

 

1. 연호

그는 즉위한 후 인안 이라는 연호를 제정합니다 - 연호는 그 나라의 왕이 일개 왕이 아니라 천하의 주인이라고 자부하는 것

 

2. 일본에 보낸 국서

그리고 계속해서 대외 영토 확장 전쟁을 지속합니다

727년 일본에 발해가 처음으로 사신을 보내 "발해가 여러 나라를 아우르고 여러 번국을 감독하니 고구려의 옛 거주지를 회복하고 부여의 습속을 지녔다" 고 표현했는데 이 표현에서 여러 나라를 아울렀다는 것은 주변의 여러 나라들을 정복하여 속국으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흑수말갈 처리

그리고 당시 말갈 부족 가운데 최고의 전력을 보유했던 흑수말갈이 당나라와 연계하려 하자(추장인 아속리계가 당나라에 직접 방문-> 흑수말갈은 당나라의 흑수주가 됨) 발해는 자신들을 위협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아우 대문예를 시켜 흑수말갈을 공격하도록 명령하였습니다

그런데 대문예는 어려서부터 당나라에서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당나라의 국력에 두려워하여 그 명령에 불복종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친척 형인 대일하를 사령관으로 삼아 출정을 시켰고 대문예를 처벌하려고 하자 대문예는 당나라로 망명하였습니다

 

4. 당나라와의 전쟁

대문예가 당나라에서 크게 환대받자 무왕은 당나라에 동생을 죽일 것을 요구하지만 당나라는 거절하면서 대문예를 피신시킵니다

 

그러던 중 732년 거란이 당나라에게 패하고 그 옆에 있던 해족이 당나라에게 져서 복속당하면서 발해에게 정세가 불리해지고 당나라가 외교적으로 발해에게 압박을 가해오기 시작했습니다

 

때문에 무왕은 선제 공격을 감행하여 장문휴를 장군으로 바다 건너 등주를 공격하였습니다

그 전투에서 등주 자사 위준을 죽이고 등주성을 함락시킵니다

 

당나라가 대문예를 사령간으로 삼아 발해군과 싸우게 하자 무왕은 분노하여 자객을 파견하였으나 암살에 실패합니다

 

733년엔 당나라에 대항하는 모든 세력들을(거란, 돌궐) 끌어들여서 당군을 합동 공략하였고 당나라는 여러 전투에서 패배합니다

 

당나라는 위기을 느끼고 신라에 원병을 요청하여 10만 병력이 출병하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바로 회군합니다

 

문왕

1. 연호 사용

즉위 후 문왕은 대흥과 보력이라는 연호를 사용합니다

무왕의 경우처럼 자신을 제왕으로 자부한 것이죠

 

2. 일본과의 외교 문서

 

일본에 보낸 국서에 자신을 고려국왕(고구려의 왕)으로 표한합니다 이 때 고려왕이라고 한 것은 자신을 고구려의 정통 계승자로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죠

문왕때 발해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역사 수행평가인데요 답변해주세요 무왕에서부터 문왕때 발해가 동북아시아의 강대국으로 성장하면서 국제적으로 자신감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좀 길게써주세요 내일까지에요...

민족구성, 발해의 발전 무왕,문왕,선왕은...

... 질문3)무왕 시대 때 발해의 발전은 어떤가? 질문4)문왕 시대 때... 견제하여 동북아시아에서 세력 균형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어 문왕 때에는 당과 친선 관계를 맺으면서 당의...

발해에 대하여

... 견제하여 동북아시아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였다. -문왕(737~793)... 문왕 때는 비록 영토가 가장 넓은 것은 아니였지만, 문왕은 발해성장에 따라 수도를 대조영 이래 30년간...

발해의 건국,발전과멸망,정치제도에...

... 이후 동북아시아지역의 대내외적인 객관적 정세가 크게... 어떤 강대국의 세력도 미치지 못하는 국제적인 힘의... 발해의 순조로운 성장은 720년대에 접어들면서 위기를...

발해의 도읍지와 역사 (짧게)

... 어떤 강대국의 세력도 미치지 못하는 국제적인 힘의... 발해성장 건국 후 대조영은 돌궐과 신라에 사신을... 및 발해의 건국과 발전 등에 따라 격동하던 동북아시아지역에...

발해가 고구려처럼 강대국이 아니던...

... 발해강대국이였습니다. 대조영, 즉 고왕이 발해를 세운후에 2대 무왕를 거처 3대 문왕때 전성기를 이루웠죠.... 발해국의 성장에 따라 대조영(大祚榮) 이래 30년 간...

전올해5학년소년입니다발해건국과정을...

... 이후 동북아시아지역의 대내외적인 객관적 정세가 크게... 어떤 강대국의 세력도 미치지 못하는 국제적인 힘의... 발해의 순조로운 성장은 720년대에 접어들면서 위기를...

발해에 대하여

... 이후 동북아시아지역의 대내외적인 객관적 정세가 크게... 어떤 강대국의 세력도 미치지 못하는 국제적인 힘의... 발해의 순조로운 성장은 720년대에 접어들면서 위기를...

발해의문화

... 지도 발해(渤海)는 698년부터 926년까지 동북아시아의... 고왕과 무왕 대에 확장된 발해의 초기 영역을 살펴보면... 신라보다 국제적 위치에서 우위에 서게 되었다. 이는 당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