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

네안데르탈인 호모 사피엔스

작성일 2024.01.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가 같은 종인가요?!
그건 아닌 것 같은데 그럼 어떻게 이종교배로 인해 현생 인류에게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남아있게 될 수 있는 건가요?
노새처럼 이종교배로 인해서 생식력 없는 자손이 태어난 것이라고 보기에는 현생 인류에게도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남아있다고 해서... 그러면 둘 사이의 교배로 생식력이 있는 자손이 태어났었단 뜻 아닌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옛날에는 종을 나누는 기준이 두 종 간의 번식이 불가능한가 여부였지만, 현대의 생물학에서는 좀 달라졌습니다. 물론 큰 틀에서는 여전히 번식 가능 여부가 종의 기준이긴 하지만, 그것이 노새의 경우처럼 아예 생식력 없는 자손이 나오는 수준으로 엄격하지는 않죠.

아주 단적인 예로, 어떤 새는 유전적으로 깃털의 색깔을 제외하면 전혀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합니다. 왜냐하면 이 새들은 깃털의 색이 번식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죠. 성선택이라는 개념인데, 특정 색의 깃털을 가진 종과만 자발적인 교미를 합니다. 그래서 염색을 해서 색을 바꿔주면 교미가 일어나고 멀쩡한 2세(물론 교잡종)가 태어납니다.

거주지나 환경이 달라서 아예 만날 수가 없다보니 번식이 일어나지 않을 뿐, 실제로는 멀쩡히 교잡종이 태어날 수 있는 생물들은 의외로 흔합니다. 최근에는 북극곰과 그리즐리가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접촉하게 되면서 교잡종이 태어나고 있죠.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연한 사건으로 인한 교잡종을 제외하면 대체로 서로 다른 종은 교배와 번식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큰 틀에서는 종의 구분 기준이 여전히 번식 여부인 것이죠.

그러므로 근연종인 네안데르탈인, 데니소바인 등과 호모 사피엔스의 혼혈은 그렇게 이상한 현상은 아닙니다. 그리고 현생 인류에게 퍼진 네안데르탈인 등의 유전자가 드물다는 점에서 보아도 두 종의 혼혈은 우연한 사건으로 나타난 특이한 사례일 뿐이라는 점이 분명하죠.

네안데르탈인 호모사피엔스

호모사피엔스만 남은이유 가설이 엄청 많잖아요 그런데 네안데르탈인이랑 호모사피엔스랑 교배가능하다고 들었는데 네안데르탈인이랑 호모사피엔스랑 교배...

네안데르탈인호모사피엔스

네안데르탈인호모사피엔스의 차이점좀 알려주세요.. 그리고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을 많이 죽였다던데.. 올래는 네안데르탈인이 땅주인이었을텐데.. 어떻게...

크로마뇽인, 호모사피엔스, 네안데르탈인...

... 호모는 인간을 의미하며 사피엔스는 슬기를 의미하죠 오스탈로피테쿠스 - 베이징인 자바인 (호모 에렉투스)-네안데르탈인(호모 사피엔스)-크로마뇽인(호모사피엔스사피엔스)...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 ^^a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호모 에렉투스(베이징인,자바인) - 호모 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크로마뇽인) 이 순서입니다. 지금의 인류와 가장...

네안데르탈인호모사피엔스 궁금증이요!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을 잡아먹었다는 유튜브 영상을 봤는데요. 질문 세 가지 드릴게요 ㅠㅠ 1.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과 교배해서 흡수했을 가능성도 있지...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같이...

현생인류인 호모사피엔스 네안데르탈인들도 존재했죠 사피엔스에 의해 흡수되어 사라졌다곤 하는데 그럼 그시절엔 호모사피엔스네안데르탈인 같이 존재해온건가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