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칸트주의 반헤겔

신칸트주의 반헤겔

작성일 2023.10.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고3입니다. 생의철학의 흐름에 대해 공부 중입니다.
생의 철학이 헤겔을 정점으로 한 독일의 관념론을 비판하며 나온철학이고 실증주의와 신칸트주의와의 대립사이에서 그 입지가 더욱 굳어졌다고합니다.

실증주의와 신칸트주의의 공통점은 둘다 반헤겔적이며 과학에 대해서만 유독 긍정적 태도를 취한다고 되어있습니다.
둘 다 과학에 긍정적인 것은 알겠습니다 또한 실증주의가 왜 반헤겔적인지도 알겠습니다.

근데 신칸트주의는 왜 반헤겔적인가요?
칸트와 헤겔의 철학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이해하고있습니다 답변 제발 부탁드립니다.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반갑습니다 ^^

신칸트주의가 왜 반헤겔적인지 이해하려면 먼저 헤겔과 신칸트의 철학적 입장을 이해해야 합니다.

헤겔은 독일 이상주의적인 관념론을 발전시킨 철학자로, 역사의 흐름과 이해에 중점을 둡니다. 그는 오브제그라운드라고 불리는 실재에 대한 정신적 관념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변화하고 있는 것을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그는 개개의 개별 인식 보다는 전체적인 역사적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면에 신칸트는 주관적 경험과 이성, 그리고 생각하는 주체의 역할에 주목한 철학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운동에 대한 감각적 경험은 주관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의 이성을 적극적으로 동원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인식의 주체적 요소에 더 중점을 두었고, 예를 들어 외부 세계의 분석과 이해 보다는 인식의 주체인 인간을 중심으로 이해를 추구했습니다.

따라서 신칸트주의는 이러한 헤겔의 역사적 발전 관점과 전체적인 이해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들은 개별적 주관성과 이해를 강조하면서, 사회적, 정치적 현상들을 우리의 주관적 이성과 개별적 경험에 기반하여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런 이유로 신칸트주의는 헤겔의 철학적 입장과 대립하며 반헤겔적인 입장을 취한 것입니다.

궁금한 점이 해결되셨나요? 도움이 되었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