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해전 때 이순신 장군을 도운 일본인 이름이 뭔가요?

노량해전 때 이순신 장군을 도운 일본인 이름이 뭔가요?

작성일 2024.01.01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영화 노량해전을 봤는데 거기서 나왔어요
이름이 너무 궁금해서 질문남겨요


#임진왜란 때 노량해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을 도와 대한민국 해군의 초선을 이끈 사람은 '와카사 염라이' 또는 '이야시 아야무라'라는 일본인이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이순신 장군과의 협력으로 노량해전에서 대승을 거둬낸 일본인 장교로 유명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실제 역사에서 노량해전때 준사는 없었습니다.

손문욱이 있었죠.

진린 도독의 함몰을 면한 것도 우리 주사(손문욱)의 공이였습니다.- 도원수 권율장군

손문욱을 준사로 대체하여 각색한걸로 보이네요.

손문욱을 그대로 썼다간 김한민감독도 논란이 될테니 김감독이 신경 많이 쓴 걸로 보입니다.ㅋㅋ

노량해전에서 준사는 아니지만 실제인물인 손문욱이라는 3개국어(조선어, 일본어, 중국어)에 능통한 조선인이였다가 임진왜란 초기 일본의 포로로 끌려가서 왜군의 지휘부에 있다가 당시 점령당한 남해의 현감이 되었다가 다시 조선에 귀순하여 노량에서 이순신장군과 함께 대장선의 배에 탑승하여 이순신 장군을 보좌했고 이순신장군 전사 후 대장선을 지휘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후 사명대사와 같이 동행하여 포로쇄환 핵심역활, 명나라 군대의 표하관, 탐적사 활동 등으로 당시 조선에서 큰 공을 인정받았으나 훗날 인목대비 폐위를 지지했다가 인조반정 이후에 수정신록 등에서 조선역사에서 삭제 처리 된 분입니다.

손문욱 노량해전의 논쟁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 전사후 대장선 지휘를 누가 맡았냐에 대한 당시의 논쟁.

개인적으로 노량에서는 송희립의 공도 크게 인정되지만 이순신장군 전사 후 대장선 지휘는 손문욱이 한걸로 보입니다.

손문욱

일본군 포로, 도요토미의 양자, 일본군 고니시의 장수, 대마도의 신임, 왜의 남해현감, 조선의 만호, 전란후 이등공신, 사명대사와 함께 전쟁 직후 조선과 일본의 전후 처리와 조선의 포로 쇄환에 핵심 역활. 명나라 군대의 표하관, 탐적사 활동.

광해군때 인목대비의 폐비를 지지.

그후 역사기록에서 삭제됨.

생,몰 기록이 없는 미스테리한 인물.

송희립vs손문욱

손문욱(孫文彧)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잡혀 포로가 되어 왜국으로 끌려갔다. 이후 대마도주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신인 야나가와 시게노부의 부하 장수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 정유재란이 발발하기 전인 1597년 4월 손문욱은 박계생을 통해 조선 조정에 비밀 편지를 보내고 귀순 의사를 밝혔다. 1597년 6월, 조선 조정은 논의 끝에 손문욱의 귀순을 허락하였고, 손문욱은 이순신 장군의 휘하 장수가 되었다. 왜국의 정세와 왜군 사정을 잘 아는 터에 외교상, 군사상 전략 수립에 기여를 하였다. 이후 손문욱은 1598년 8월 절이도 해전, 10월 왜교성 전투에 지휘관으로 참전하였다. 왜교성 전투 당시, 조정의 명을 받아 명나라 제독 진린을 만나 순천 왜성의 연합 공격을 모의하였다.

1598년 12월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과 같은 배를 타고 참전하였다. 손문욱은 이순신 장군이 전사할 때 곁을 지켰고,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자 임기응변을 발휘해 직접 갑판 위에 올라 지휘를 대신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손문욱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2등 공신이 되었고, 종3품 첨사에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이후인 1604년 탐적사(耽謫使)로 임명되어 일본과 강화 회담을 하였고, 통교와 우호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를 했다. 같은 해, 사명대사 유정(惟政)과 함께 일본에 가서 조선인 포로 3,000여 명을 송환해왔다.

임진왜란 직후 손문욱의 공적에 이의를 제기한 이가 있었다. 형조 정랑 윤양(尹暘)이 조정에 보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량(露梁)의 전공은 모두 이순신이 힘써 싸워 이룬 것으로서 불행히 탄환을 맞자 군관 송희립(宋希立) 등 30여 인이 상인(喪人)의 입을 막아 곡성(哭聲)을 내지 않고 재촉하여 생시나 다름없이 영각(令角)을 불어 모든 배가 주장(主將)의 죽음을 알지 못하게 함으로써 승세를 이루었다.

저 손문욱(孫文彧)은 일본에 붙잡혔던 하찮은 포로로 우연히 한 배에 탔다가 자기의 공으로 가로챘으므로 온 군사의 마음이 모두 분격해 한다."

ㅡ 조선왕조실록 109권, 선조 32년 2월 8일 무오 2번째 기사 中 ㅡ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자 군사들이 동요하지 않게 하여 전투의 승기를 가져온 것은 송희립(宋希立)인데 그 공을 손문욱이 가로챘다는 것이다. 그러나 손문욱의 공적은 변함없이 조정으로부터 인정받았다. 손문욱은 임진왜란 말기인 1597년 6월에 귀순하여 이순신 장군 휘하 장수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종결된 1598년 12월까지 1년 6개 월 가량 짧은 기간 동안 지휘관으로 있었기에 그의 공적은 주변으로부터 탐탁지 않게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이순신 장군이 전사하고 전투를 대신 지휘한 것을 두고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에는 조카 이완(李莞)이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인조반정 이후 기록이라 손문욱의 공적을 삭제한 것으로 추측된다. 뿐만 아니라 조선왕조실록은 도원수 권율(權慄)이 조정에 보고한 것을 그대로 인용하였기에 선조수정실록보다 신빙성이 높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권율이 보고한 노량해전에서 손문욱의 공적은 다음과 같다.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이 전사한 뒤에 손문욱(孫文彧) 등이 임기응변으로 잘 처리한 덕택에 죽음을 무릅쓰고 혈전하였습니다.

문욱이 직접 갑판 위에 올라가 적의 형세를 두루 살피며 지휘하여 싸움을 독려하였는데 진 도독이 함몰을 면한 것도 우리 주사의 공이었습니다."

ㅡ 조선왕조실록 107권, 선조 31년 12월 18일 기사 4번째 기사 中 ㅡ

이순신 장군 전사 직후 대장선 지휘는 송희립이냐? 손문욱이냐?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리말 로. 김중선 입니다

녹동서원은 볕 잘 듣는 삼정산 남쪽 아랫자락에 있었다. 녹동서원.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의 우선봉장으로 참전했다가 조선에 귀화한 김충선(1571~1642) 장군을 모시는 서원이다. 귀화 이전 그의 이름은 사야가(沙也可)로 전해진다. 녹동서원 옆 한일우호관에서 대구시 문화관광해설사 손수자(67)씨를 만났다.

“조선에 항복한 왜군을 항왜(降倭)라 하는데, 거의 모든 항왜가 평생 신분을 숨기고 살았어요. 김충선 장군이 거의 유일한 예외입니다. 귀화 사유부터 전공(戰功)까지 조선에서의 50년 기록이 전해오니까요. 영화 초반에 이순신 장군이 부하를 구하려다 부상당하는 장면이 나오잖아요. 그때 준사가 의(義)를 말합니다. 김충선 장군이 바로 그 의와 예 때문에 조선에 귀화하셨어요.”

영화 '한산: 용의 출현'에서 항왜군사 준사역으로 출연한 김성규 배우의 모습. 영화 홈페이지 캡쳐

해설사의 설명처럼 사야가는 조선의 예의에 감동해 귀화를 결심한다. 종군 7일 만에 내린 결단이었다. 그는 “피란길에 오른 조선인이 전쟁통에도 의복을 갖춰 입고 노모를 업고 아이들을 걸리고 있었다. 전란 중에도 의관 문물이 일본에서 들었던 바와 같았다”며 항복의 뜻을 밝혔다(사야가가 경상도 병마절도사 박진에게 항복하며 건넨 ‘강화서’에서 인용)’. 무인이자 문인이었던 사야가는 평소 고대 중국 하은주 시대를 흠모했다고 한다. 하은주 시대는 인간이 예와 의를 지키며 사는 태평성대의 시절을 이르는데, 조선에서 그 이상향의 일단을 발견했다는 게 사야가가 밝힌 귀화 이유다. 사야가는 훗날 자신의 호를 ‘모하당(慕夏堂)’이라 지었다. 중국 하나라를 흠모한다는 뜻이다. 영화에서도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을 “불의(不義)에 맞서는 의(義)의 싸움”이라고 여러 번 말한다.

노량해전 때 이순신 장군을 도운 일본인...

영화 노량해전을 봤는데 거기서 나왔어요 이름이 너무 궁금해서 질문남겨요 우리말 로.... 영화 초반에 이순신 장군이 부하를 구하려다 부상당하는 장면이 나오잖아요. 그때...

우리 이순신 장군님을 삼국지 10에...

... 당시 일본의 최고 지략가인 누가 왔는데;;(이름이 생각 안남ㅜㅜ) 개털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일본인은... 이순신노량해전에서 일본군 총에 맞아서 나의죽음을 아무에게도...

국민의 성웅 이라 불리고 잇는 이순신에...

... 이 이순신 장군은 이미 전쟁이 날 것을 알고... 그리고 노량해전에서 전사를 했을때 왜 갑옷을 벗고... 우리 일본인보다도 모르고 있는 것 같다.<일본 해군 전략 연구가...

이순신역사의 신빙성

... 그의 이러한 생각은 한산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의... 그러나 하늘이 도운 것일까? 정말로 현명한? 선조가 자기... 이순신 장군 왕명을 거역하고 왜군을 공격하다! 노량에서...

또해요 ... ㅈㅅ ;;;;;

... 고려라는 이름으로 전한 사람들: 거란의 침략과 고려의 극복 ( )... 사용함 노량해전- 일본과의 마지막 전쟁으로, 이 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전사함 유학자 농민 승려 들로...

권율장군에 대하여.

... 그 이유는, 일본인의 정서로 볼때 왕이나 우두머리만... 퇴각하다 노량에서 조,명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태반을 잃고 본국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유탄에...

이순신이 배에서 죽은게 아닌가요...

... 충무공의 이름이 세계에 알려진 것은 일본인들 때문이다.... 아마 고등학교 역사 선생님한테 들어본 적 있는 사람들도 있을게다. 이순신 장군은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

임진왜란때 나온 유명한 조선,일본,명...

... 나중에 일본인들이 "임진왜란때 져서 밀려난게 아니라... 명장으로 이름 높았으나 권률에게 행주산성에서... 노량해전때에는 우리의 이순신 장군님을 비롯, 조선과 명나라...

명량보고 궁금한점.

... 류승룡이 맡은배역 (이름이 기억안나네요) 그 일본인은... 어차피 이순신 장군이 진다면 그들의 운명도 죽을... 칠천량 해전을 보면 이 사람의 능력을 알 수 있습니다. 4....

참가했던 일본 장수들의 한자이름

임진왜란때 참가했던 일본 장수들의 한자이름을 알고... 진린 명나라의 수군 장수로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장군과... 조선을 도운 사실을 기록한 비를 처음으로 세웠다. 6. 마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