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도가 법가 묵가

유가 도가 법가 묵가

작성일 2022.04.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가, 도가, 법가, 묵가의 입장에서 취해야할 태도를 한 가지 경우로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서 남의 물건을 마음대로 가져갔을 때 유가에선(도가에선/법가에선/묵가에선) 어떻게 조취를 취할까? 같이요!! 이해하기 쉬운 경우였으면 좋겠어요


#유가 도가 묵가 법가 #유가 도가 #유가 도가 공통점 #유가 도가 묵가 #유가 도가 비판 #도가 유가 차이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흠....먼저 각 제자백가의 입장을 먼저 아셔야 할듯 하네요

먼저 유가는 유가는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예•악 등 인위적 질서를 강조하였으며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사이에서 중용적 세계관을 표방합니다. 또한 유가는 현세중심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동시에 지배층과 연결되어 정치사상으로 발전하며 도가와 더불어 2대사상의 위치를 확보합니다.

도가는 노자•장자 등이 주장한 것으로 유가의 인위적 질서와는 달리, 무위자연의 자연적 질서를 표방하면서 이상주의적 성격을 지녔습니다. 정치적으로 유가의 전제군주제를 비판하는 한편, 소국과민을 이상으로 하면서 동시에 피지배층과 연결되어 예술•종교•민란에 영향을 줍니다.

법가는 상앙•이사•한비자 등이 주장한 것으로 엄격한 법률에 의해 사회를 통제하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극히 현실적인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중앙집권을 지향하는 가운데 왕권강화뿐 아니라 부국강병에 기여합니다.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신상필벌•권모술수•군주의 권위 등이 인정되었고, 부국강병과 관련하여 엄격한 사회통제, 철저한 조세제도 운영 등이 시행되었다.(결혼하면 분가해야 한다) 이러한 법가사상은 순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진의 통일 배경이 됩니다.

묵가는 묵자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이상주의적 성격을 지닙니다. 이들은 비공•평화를 강조하였고, 노동도 중시합니다. 이들은 특히 유가와 갈등이 심했는데, 예컨대 유가의 차별애에 대해 겸애를 강조하였고, 동시에 유가에서 주장하는 왕위세습도 반대하였으며, 또한 유가에서 강조하는 예악을 낭비로 간주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유가의 사상이 불평등을 표방한다고 주장합니다.

남의 물건을 가져가면

가장 쉽게 법가는 가장 쉽게 손목을 자를 겁니다.

다음 묵가는 그에 상응하는 노동을 시킬 수 있습니다.

도가는 그가 잘못을 뉘우칠때까지 자연과 함께 살게 할 수 있습니다.

유가는 교도소에 보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래 내용이 있는데, 사실인 지 정확한 내용인 지 잘 모르겠네요. 님이 직접 확인해 보시고

참조만 하시길 바랍니다.

===

Ⅰ. 도가, 유가

"근본원인을 살피어 근본원리를 보호하고 사사로움을 적게하여 사리사욕을 작게 하라."

視素保朴少私寡慾

(시소보박소사과욕)

"하찮은 지혜(법률지식)를 끊고 법정다툼(송사)을 버리면 백성들은 백배 이로워진다. 법률이 요란할수록 도적이 많아진다."

絶智棄辯民利百倍法物滋章盜賊多有

(절지기변민리백배법물자장도적다유)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 죽간본(竹簡本)>

"법령이란 정치적인 도구일 뿐, 정치의 맑음과 탁함을 다스리는 근본적인 제도인 정의가 아니다...옛적 천하의 법망이 일찍이 치밀해졌도다. 그리하여 간사함과 거짓을 일삼는 자들이 싹이 움트듯이 일어났다. 이러한 상황이 극에 달하자 관리들과 백성들이 서로 속이고 나라의 정치가 부진해졌다. 이러한 때에 관리들은 불은 그대로 두고 끓는 물만 식히려 했다...그러므로 공자가 말하기를, '법정다툼(송사)을 처리하는 것은 나도 남과 다를 바가 없으나 나는 반드시 애초에 아예 법정다툼(송사) 자체가 일어나지 않게 한다.'라 하였다. 한나라가 일어나자 한고조는 가혹한 형벌을 없애고 법을 간단하게 했고, 번다한 것을 버리고, 소박한 것을 취했는데, 법을 배를 삼킬만한 큰 고기도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 너그럽고 간략하게 만들었다. 이로써 관리의 다스림은 간사하지 않게 되었고 순수하게 되었으며 민중과 백성들은 편안하게 다스려지게 되었다. 이를 살피어 보면 나라의 정치는 도(道)와 덕(德)에 달려있는 것이지 엄혹한 법령에 달려있는 것이 아니다."

法令者治之具而非制治?濁之源也昔天下之網嘗密矣然姦?萌起其極也上下相遁至於不振當是之時吏治若救火揚沸故曰?訟吾猶人也必也使無訟乎漢興破?而???鵰而?樸網漏於呑舟之魚而吏治烝烝不至於姦黎民艾安由是?之在彼不在此

<사마천의 사기(史記) 혹리열전>

"하늘에는 때가 있고 땅에는 재화가 있다.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이것을 함께할 수 있는 것이 인(仁)이다...사람들의 죽음을 건져주고 어려움을 풀어주며 환란에서 구해주며 위급함을 돌봐주는 것이 덕(德)이다...다른 사람들과 나의 근심, 즐거움,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의다...무릇 모든 사람은 죽는 것을 싫어하고, 사는 것을 즐거워하며, 덕을 좋아하고, 이로움에 따라간다. 사람들을 살리고, 이롭게 하는 것이 도(道)다."

天有時地有財能與人共之者仁也...免人之死解人之難救人之患濟人之急德也...與人同憂同落同好同惡者義也...凡人惡死而樂生好德而歸利能生利者道也

<육도삼략(六韜三略) 제1편 문 도(文 韜) 문사(文師) 제1 천하는 천하사람의 것이다>

2. 법가

"사마천...진나라는 법이 가혹하여 멸망했다...상앙...이사...내가 만든 법에 내가 걸려들었구나...지나치게 법치를 세우려고 했으며, 그 천성이 각박하여 복이 적다"

===

라는 내용이 있는데, 사실인 지 정확한 내용인 지 잘 모르겠네요. 님이 직접 확인해 보시고

참조만 하시길 바랍니다.

유가 도가 법가 묵가

유가, 도가, 법가, 묵가의 입장에서 취해야할 태도를 한 가지 경우로 알려주세요!! 예를 들어서 남의 물건을 마음대로 가져갔을 때 유가에선(도가에선/법가에선/묵가에선)...

유가 도가 법가 묵가

유가 도가 법가 묵가는 어떤사람이었느냐하고, 중심사상에 관해서 요약해서 1)유가:............................. 간략하게 해주셨으면 합니다 ^ ^ 1. 도가 :중국사상(中國思想)의...

유가, 도가, 묵가, 법가 정리 부탁드립니다.

... 유가 도가 법가 묵가에 대해 정리해서 쓰는건데 중요내용포함해서 간단하게 답안쓸수 있는게 내용 좀 부탁드립니다.^^ 그대로 쓸꺼니까 부탁 좀 드릴게요...정리가 너무...

특징,핵심주장(유가,도가,법가,묵가)

... 제자백가의 핵심주장(유가,도가,법가,묵가)에대해서도써주세요 등장배경은 논리와 이론의집대성시기입니다 전국통일을위한 계책을 너도 나도 제안하다보니 정치적 방략...

유가 묵가 도가 법가 설명좀

유가 묵가 도가 법가 설명 쉽고 자세히 해주세요 모든 사상은 사회 혼란의 시기에 그 혼란의 원인과 그 해결책을 모색하면서 탄생하게 됩니다. 고대 중국은 하 - 상 - 은...

유가 묵가 법가 도가 설명해주세요

유가 묵가 법가 도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간단하게 부탁드려요 유가의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공자와,맹자 등이 있고, 예와 인을 강조합니다. 예는 예의,예절을...

세계사(유가, 법가, 도가, 묵가) 내공100

고대 중국의 유가,법가,도가,묵가의 대표주장이 무엇인가요? 1,유가사상: 인의예지를 강조한 공자의 사상을 중심으로 설파한 학문적 사상.한나라이후 국가통치이념으로...

유가,묵가,도가,법가,병가

예) (유가,묵가 등)---(대표인물) (주장한것) 으로 해서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병가 를 알려주세요. 유가 대표인물:공자 맹자 순자 공자 인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주나라의 문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