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답변해 주세요~ ㅠㅠ)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제발 답변해 주세요~ ㅠㅠ)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작성일 2006.04.0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 글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ㅜㅜ 제발 ... ㅠㅠ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조사를 할까하는데요..

 

이슬람교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서는 좀 나와있지만..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서는 좀처럼 나오질 않더군요... ㅠㅠ

 

그래서 말인데요...

 

이슬람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

 

제가 파워포인트로 만들건데..

 

잘 좀 정리해서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 이거 찾는다고 도대체 몇시간을 .... ㅠㅠ

 

그런데 제대로 한 건 하나도 없답니다.. ㅠㅠ (손도 못 대고 있단 말씀.. ㅠㅠ)

 

죄송하지만...

 

 좀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내공도 드려요~ ㅠㅠ

 

부탁드려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 올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좋은 답변해주시면 추가내공도 그릴게요~ ㅠㅠ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복 받으실거예요~

 

P. S. 파워포인트로 정리할까해서 그런데요..

 

너무 빽빽한 글로 설명해 주시는것 보다..

 

그렇다고 너무 요점만 간략하게 하시지도 마시구요..

 

어느정도 ... ;;

 

(ㅠㅠ 무슨 말을 하는건지.. ㅠㅠ)

 

이렇게 질문드리는 것도 죄송한데.. ㅠㅠ

 

님께서 알아서 잘 답변해 주실거라 믿을게요 ㅠㅠ

 

제발 좋은 답변 해주시길 바래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위의 자료는 짧은 요약이고....

아래 것도 요약이지만, 좋 더 자세한 것이고... 질문의 내용과는 모두 같습니다.

 

숙제인 것 같으니... 두자료를 적절히 편집해서 내는 것은 어떨까 하네요

 

숙제는 결국은 자신이 하는 것 이잔너요

 

1. 정통 칼리프 시대(631~661)
  ① 칼리프를 선거를 통해 추대한 시기

  ② 칼리프 - 이슬람에서의 정치.종교적 지배자

  ③ 이슬람교의 종파 : 시아파, 순니파


2.  옴미아드 왕조(661~750)
  ① 다마스쿠스를 수도로 옴미아드 왕조 성립
  ② 칼리프는 세습됨
  ③ 아랍어를 공용어로 함
  ④ 세계 제국 건설
     ㉠ 북아프리카 정복
     ㉡ 이베리아 반도 진출, 서고트 왕국 멸망시킴
     ㉢ 투르 푸아티에 전투에서 프랑크왕국에 패배 

  

3.제국의 분열

  ① 아바스 왕조(750~1258) - 동칼리프
       ㉠ 옴미아드조를 멸하고 바그다드에 세움.
       ㉡ 탈라스 전투(751)에서 당군 격파

  ② 후기 옴미아드 왕조(756~1031) - 서칼리프
        옴미아드 일족이 이베리아 반도에 건설.
 

4. 제국의 쇠퇴

  ① 독립 왕조의 속출

     ㉠ 파티마 왕조(909~1171)
         시아파가 카이로에서 칼리프 선언
         북아프리카 지배.

     ㉡ 사만조(874~999) - 이란인이 세운 왕조.
         투르크인의 이슬람화에 큰 역활.

     ㉢ 부와이 왕조(932~1025)
         945년 바그다드에 입성 아바스조 지배
         이크타 제도 실시

 

5. 이슬람 제국의 멸망

  ① 아바스 왕조 - 셀주크 투르크 지배를 받다가
                          몽고의 침입으로 멸망(1258)

  ② 후기 옴미아드 왕조 - 에스파니아에 멸망

http://yeoksa.kwangsung.hs.kr/technote/read.cgi?board=world2&x_number=1056094942&r_search=중세동양&nnew=1

 

 

 

1) 이슬람제국의 형성과 발전

⑴이슬람교의 성립과 발전

①아라비아반도의 번영

ㄱ. 이슬람--‘참다운 믿음’ 의미

ㄴ. 비잔틴제국과 페르시아의 대립으로 새로운 교통로 등장

②이슬람교 이전의 아라비아

ㄱ. 정치적--분열, 분쟁. 동로마와 사산조페르시아의 충돌로 홍해-인도양 바닷길이 활발하게 사용, 메카와 메디나가 무역항 발달

ㄴ. 사회적--빈부격차 극심, 계급주의. 6C 경 문자 사용. 원래 부족단위로 낙타를 이용한 대상으로 상업‧유목활동

ㄷ. 종교적--다신교(자연물, 우상숭배). 유아살해의 풍습 있고, 부족간 반목 극심

③이슬람교의 성립

ㄱ. 마호메트(570-632)의 출현--메카지방 쿠라이슈족 출신. 어렸을 때 고아가 되어 12세 때 백부 아부 탈리브를 따라 대상에 참여. 시리아 왕래. 오랜 목동생활. 대상활동 중 크리스트교‧실생활 지혜 얻은 듯. 29세 때 10여 세 연상의 카디자야와 결혼. 이후 부유하고 안락한 생활로 청‧장년기 보냄. 40세 때(611) 메카 부근 산속 동굴에서 명상 중 천사 가브리엘에게서 “알라의 뜻에 따르라.”는 알라신의 계시를 듣고 메카에서 이슬람교 창시, 포교 시작. 그는 “알라 이외의 신은 없다. 마호메트는 그의 예언자이다.”라고 주장하여 자신을 신격화하기 못하도록 했으며, 유일신 알라 앞에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고 가르침.

ㄴ. 귀족의 박해로 메디나로 피난--622 헤지라, 이슬람교의 기원

※헤지라

  610년 메카에서 포교를 시작한 마호메트가 622년 박해를 피해 70명의 신도와 함께 메디나로 옮긴 것을 가리키는 말. 메디나에서 마호메트는 부족간의 분쟁의 조정자로 활약하여 신앙공동체를 확립. 630년에는 메카를 정복하여 이슬람 성지로 삼음. 「코란」에서는 메디나 이주를 신의 길에 따른 것이라 하여 헤지라(성스러운 천도)라 하며, 이슬람 국가에서는 622년 7월 16일을 기원으로 하는 헤지라 력을 사용

ㄷ. 무력에 의한 포교 시작--메카 점령, 아라비아반토 통일(632). “한 손에는 칼, 한 손에는 코란”. 8C에 북아프리카‧이베리아반도 통일

※단기간에 포교에 성공한 이유

  ⑴포교방식--①전쟁 ②개종 ③조공 바치는 것 중 택일 요구

  ⑵전쟁 종군병사에게 현실적 보장 약속

  ⑶정복지에 관대한 지배정책(cf. 비잔틴--가혹)

④이슬람교의 교리

ㄱ. 유일신 신앙--알라신 숭배, 의식 배격. 유일신 알라(Allah)에 절대 복종하며 그가 내려 보낸 예언자, 즉 노아, 아브라함, 모세, 크리스트, 그리고 최후의 예언자인 마호메트를 믿고 이에 대한 의무를 다 해야 구원을 받게 된다. 신도들은 하루에 다섯 차례 메카를 향해 예배하고, 신(神)의 단일성을 믿는 신앙의 고백을 행하며, 궁핍한 자에게 자선을 베풀고, 9월 한 달 동안 해돋이로부터 해넘이까지 단식하며, 일생에 한 번은 메카를 순례해야 한다.

ㄴ. 만민 평등--경제적‧신분적 평등. 그러나 남녀 차별. 남자는 부인을 4명까지 둘 수 있었음

ㄷ. 경전--코란

※코란

  ‘읽어 왼다’는 뜻. 마호메트가 신으로부터 받은 계시를 기록한 것으로, 마호메트 사후 2대 칼리프 아부 베크르(632-634) 때 편찬 시작, 3대 칼리프 오스만(644-655) 때 완성. 천지창조로부터 세계의 종말까지 언급. 종교의례 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규범에 대해 이야기함. 연대순 무시. 일관성 결여됨. 죽은 후 신체의 부활 있고, 천국과 지옥이 있다고 믿음.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유대교+크리스트교. 마호메트는 지상에 파견된 최후의 예언자. 신의 율법(sharia) 준수할 것. 이슬람교도의 생활 6信(신, 천사, 계시, 예언자, 내세, 숙명) 및  5行(신앙고백, 예배, 단식, 희사, 순례) 규정. 전 114장으로 구성. 교양, 예재, 단식, 혼인, 상업, 식사, 예의 등 규정. 아랍어로 쓰여져 아랍어 전파에 기여. 아라비아어로 쓰인 코란은 번역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슬람교의 확대와 함께 아라비아어가 널리 퍼지게 됨

  ‘코란’의 일절--“하늘에 있는 자여, 땅 위에 있는 자여, 모두 소리 높여 알랏니을 찬양할 지어다.……하늘과 땅을 창조하시고……”

  이슬람 교의 교리에 영향을 끼친 종교--크리스트교

  이슬람교가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한 배경--평등 사상

⑵이슬람제국의 발전

①정통칼리프시대(632-661)--아부바쿠르, 오마르, 오스만, 알리

ㄱ. 칼리프 마호메트의 후계자로 정치, 군사, 종교의 실권 장악

ㄴ. 선거에 의한 칼리프시대(4대 칼리프까지)

※칼리프(Calif)

  신의 사도 마호메트의 대리인, 후계자 의미. 632년 마호메트 사후 아랍인의 풍속에 따라 후계자를 선정하고, 그에게 정치‧종교의 실권 맡김. 마호메트는 아들이 없어 후계자를 교단에서 천거하여 초대 칼리프에 아브 바쿨이 선출. 초기 이슬람국가의 최고 지도자로 정치와 종교의 양권 장악. 이슬람의 예배, 재판, 성전, 국가의 행정 재정을 장악하여 정통 칼리프시대로부터 옴미아드왕조, 아바스조 초기까지 절대적 권한 가짐. 점차 행정상의 권한은 명목적인 것이 되어 파티마조와 후옴미아드조가 건국되자 유일성을 잃음. 1258년 몽고의 침입으로 아바스조의 칼리프도 폐지되었으며, 마물루크조에서 부활되었으나 권한은 전혀 없었음

이슬람 사회에서 칼리프가 갖는 의의--정치, 종교, 군사권을 장악

ㄷ. 정복전쟁(지하드, 聖戰)--이교도 정복--오마르, 오스만 칼리프 때

꠆ꠏ비잔틴제국으로부터 시리아, 팔레스타인, 이집트 정복

ꠌꠏ사산조페르시아 정복

※지하드(聖戰)

  이교도에 대한 이슬람교도의 싸움. 이슬람교도가 지하드를 위해 전사하면 순교자로서 천국에 갈 수 있다고 한다. 이교도는 지하드의 대상이었지만, 인두세를 납부하기만 하면 자신의 신앙을 지킬 수 있었음

ㄹ. 피정복민에게 인두세(지즈야), 지세(하라쥬) 징수--종교적으로 관용

※인두세(지즈야)

  이교도들에게 생명, 재산을 보호하는 조건으로 걷는 세. 유대교, 크리스트교도에게 거두다가 나중에는 자유신분의 성년남자까지 대상으로 함

②세습칼리프시대--옴미아드왕조 성립(661-750). 수니파

ㄱ.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가 정통 칼리프 시아 알리를 살해하고 다마스쿠스에 도읍

ㄴ. 대정복사업 전개

  중앙아시아 진출--당과 접경, 서북인도 진출

  이베리아반도 진출--프랑크왕국과 접경

ㄷ. 아랍어를 공용어로, 아라비아 화폐 통일--사회의 아랍화에 노력→문화적 흥륭의 시대. 그러나 종교적 불관용 및 이민족의 이반으로 멸망. 뒤에 왕족 압둘 라만이 에스파냐 코르도바에 서칼리프 세움

③아바스왕조의 등장(750-1258)--동칼리프, 시아파

ㄱ. 옴미아드왕조의 이민족 이슬람교도 차별정책에 반대

ㄴ. 시아파 이슬람교도 압둘아바스(750-754)가 옴미아드왕조 타도, 바그다드에 도읍

ㄷ. 아랍인의 특권 폐지--이란인 등용(이민족과 제휴하려→이민족 차별대우 폐지

  사산조제도 채용에 노력→페르시아+그리스+아라비아

ㄹ. 정통 교리에 의한 통치로 신 앞에 신자의 평등 이룩

ㅁ. 번영

가. 인도양 해상권 장악

나. 탈라스전투에서 당군 격파(751)

ㅂ. 하룬알라시드(786-809) 때 전성기--바그다드는 세계 최대의 부강한 도시로 발전. 칼리프 역사에서 최대 세력 누림

  그러나 10세기 이후 제국 쇠퇴, 각 지역에 칼리프 난립

ㅅ. 칼리프지위의 신격화에 노력

ㅇ. 알무스타심(1242-1258) 때 훌라구가 이끄는 몽골군에 멸망, 일한국이 건설됨

※이슬람교의 종파

ㄱ. 수니파--이슬람교의 2대 종파 중 다수파. 이슬람교도의 90% 차지. 코란의 확대 해석 찬성파. 예언자 마호메트의 언행(수니)를 따르는 사람들이란 의미. 마호메트 예언의 실천을 따르는 파. 유자격자가 칼리프 될 수 있다고 주장. 코란에 구전적인 전승을 부가하고 마호케트의 혈통이 아닌 자의 칼리프 선출도 인정. 7세기 말엽, 시리아의 총독 무아위야가 마호메트의 사위로 4대 칼리프였던 시아 알리를 몰아 내고 칼리프가 된 후 수니파가 이를 계승하였다. 이슬람교의 2대 종파 중 다수파. 아랍인들은 대부분 수니파

ㄴ. 시아파--이슬람교의 2대 종파 중 소수파. 코란의 순수성을 엄격하게 유지할 것과 마호케트의 혈통을 이은 자만이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 마호메트 이후 3인의 칼리프는 마호메트가 이외의 사람들→마호메트가의 반발→시아 알리를 중심으로 코란에 대한 주석과 보충설명을 반대. 메디나에서 칼리프 선포. 마호메트 사위로 4대 칼리프였던 시아 알리만을 칼리프로 인정하여 그의 자손을 이맘(지도자)로 받듬. 이라크의 알리와 그 아들 후세인의 무덤을 성지로 여겨 순례이란(페르시아)인들은 전 이슬람 교도의 8%에 지나지 않는 시아파에 속함

2) 제국의 분열과 이슬람세계의 확대

⑴이슬람제국의 분열

ㄱ. 옴미아드조의 멸망--일족이 이베리아반도로 진출하여 건국

ㄴ. 코르도바 중심 이슬람문화 발달

ㄷ. 8세기 중엽  ꠆ꠏ 아바스(바그다드)--동칼리프

               ꠌꠏ 후옴미아드(코르도바)--서칼리프

②파티마 왕조(909-1171)

ㄱ. 북아프리카, 지중해를 세력권으로 함

ㄴ. 아바스조 분열 후 시아파가 독립하여 마흐디아에 도읍하여 북아프리카‧지중해를 세력권으로 삼음

ㄷ. 969년 이집트 점령→카이로에 천도하여 칼리프 선언. 카이로는 당시 이슬람 문화와 부의 중심. 학예 발달

ㄹ. 이집트, 시리아 지배--아바스조에 대항

ㅁ. 칼리프의 3分시대--1070년 경부터 내부갈등, 노르만의 지중해 제패 등으로 쇠퇴, 아유브조로 이어짐

③사만 조--중앙아시아 지역. 투르크인의 이슬람화에 공헌. 이란인의 군사정권

④부와이 조--945년 바드다드 입성. 아바스조 지배. 이크타제도 처음 실시. 이란문화 부활 강조

⑵투르크인의 이슬람화

①아바스조의 통치력 약화

ㄱ. 투르크용병 출신의 지방 총독 독립

ㄴ. 투르크족의 왕조 등장--10세기 후반

꠆ꠏ가즈니조--아프가니스탄

ꠌꠏ카라한조--키르기스(투르키스탄) 지방

②셀주크투르크족의 발전(1037-1242)

ㄱ. 셀주크왕조 성립--가즈니, 부와이조 멸망

ㄴ. 이란 병합(1037)

ㄷ. 바그다드 입성(1055) 후 술탄 칭호 받아 이슬람세계 지배

ㄹ. 왕조의 발전--대제국 건설

   ꠆ꠏ시리아, 팔레스타인, 소아시아 진출

   ꠌꠏ이집트 정복, 크리스트교 성지순례자 박해→십자군전쟁 유발

ㅁ. 이슬람문화 육성--이슬람문화의 황금시대 이룩

ㅂ. 사회--이크타제도 실시

ㅅ. 문화--페르시아+비잔틴문화

ㅇ. 멸망--십자군원정 이후 쇠퇴, 서요와 코라즘조의 침입으로 멸망(1194)

③몽고족의 진출

ㄱ. 압바스조 멸망(1258)

ㄴ. 일한국(1258-1411) 건설--이슬람교를 국교로, 페르시아어를 공용어로→페르시아 민족문학 발달

※이슬람과 몽고제국

  이란문화 중심에 자리한 일한국은 원과 긴밀한 관계 가지면서도 이슬람문화의 보호자 역할

  일한국, 몽골은 이집트의 마물루크왕조에 공동 대처하면서 이란, 유럽의 결합 시도

→유럽 선교사, 상인이 인도, 중국 여행

→일한국은 동서교통로로 번영

→이슬람문화 창달에 공헌

→티무르제국도 유사한 역할 담당

④티무르제국(1370-1500)

ㄱ. 차가타이한국의 분열 이용

ㄴ. 칭기스칸 후손 투르크계 티무르가 사마르칸트에 도읍

ㄷ. 서아시아 대부분 병합, 델리 점령. 오스만투르크를 앙고라전투(1402)에서 격파. 명 원정 중 병사(1405)

ㄹ. 동서무역 주도

ㅁ. 이슬람문화 장려--궁정문화 이룩. 이슬람 건축양식과 세밀화 발달, 천문학 발달. 페르시아어+투르크어 문학작품 발달

ㅂ. 우즈벡인에게 멸망(1500)

※사파비왕조(1502-1763)

  시아파 이란인이 건국. 왕명은 아랍풍의 술탄 대신 페르시아식 ‘샤(Shah)’를 사용

  아바스 1세(1587-1629)--중앙아시아 진출, 우즈벡 격파. 오스만투르크로부터 아르메니아, 이라크 등 회복, 이스파안 천도. 이스파안은 아라비아의 중심도시로 번영. 수니파 이슬람국과 대립, 아프간인에 멸망

⑶서이슬람세계

①아유브조(1169-1250)

ㄱ. 살라딘(투르크계)이 파티마조 멸함

ㄴ. 수니파 지배 회복

②마물루크조(1250-1517)

ㄱ. 아유브 조 멸하고 등장

ㄴ. 서 지중해, 인도무역 지배

ㄷ. 정통파 이슬람 신앙과 학예 보호

ㄹ. 수도 카이로는 이슬람세계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번영

③내륙아프리카의 이슬람화

ㄱ. 수단지역

꠆ꠏ베르베르족(무어인)의 활약으로 이슬람왕국 건설(14C 마리 왕국→15C 송하이왕국)

ꠌꠏ가오왕국

ㄴ. 타드호 동쪽--카넴왕국(이슬람 왕국)

④동부아프리카 연안--아랍세계와 폐르시아 영향으로 스와힐리어 사용

⑤이베리아반도--나스르조(1232-1492)

ㄱ. 베르베르인의 후원

ㄴ. 스페인, 이슬람풍의 문화 이룩

ㄷ. 알함브라 궁전(그라나다)--14세기 이슬람 건축 궁전. 화려한 아라베스크장식으로 유명. 이슬람시대에는 칼리프의 성으로 사용했으나, 에스파냐에서는 감옥으로 사용함

ㄹ. 15세기 이후 십자군운동과 병행하여 크리스트교도들은 ‘국토회복운동’ 전개

→최후 왕국인 그라나다왕국 멸망(1492)

→이슬람국가는 서북아프리카에 소국으로 분립, 상쟁

→상인, 이 이집트로 이주

→서방 이슬람세계의 경제‧문화의 중심

→이라크, 시리아, 리비아~모로코에 이르는 ‘아랍권’ 형성

 

 http://user.chollian.net/~khw0115/00d_세계사1.hwp#34-52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ㅠㅠ

제 글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ㅜㅜ 제발 ... ㅠㅠ 이슬람 제국의 성립과 발전에 대해 조사를 할까하는데요.. 이슬람교의... 드려요~ ㅠㅠ 부탁드려요~ 빠른 시간내에 답변...

이슬람교에 관하여

... 문제가 "이슬람제국의 발전 과정과 특징에 대해... 제발 알려주세요ㅠㅠ 참고로 중2이니 너무 어렵지 않게... 왕조의 성립에 의해서 한층 촉진되었다. 9세기가 되자 아바스...

제발 들어오셔서 정보 좀 주세요ㅠㅠ

... 인도의 성립발전 과정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해야 됩니다!!!!제발 알려주세요ㅠㅠㅠ인도의 성립과 인도의... 무굴제국이슬람교로 개종한 몽골제국의 후손들에 의해서...

답변급구!!!!!!!!!!! X아시아 사회의 발전...

... ㅠㅠ 제발 부탁합니다.. 이한몸 구제해주세요!! ↓↓↓↓↓↓↓↓↓↓↓↓ X아시아 사회의 발전과 변화 이거정리부탁 꼭 (1)춘추 전국 시대(기원전 771~기원전 221) ①성립...

많이 아시는분 제발좀 도와주세요 ㅠㅠ

... 신의 평화 이것에대해 정의와 의의 를 알려주세요 이번 시험이라서 너무 급해요~ 제발 알려주세요 1 . 함무라비... 그러나 아랍어와 이슬람 사상으로 통일되어 있는 점이...

중1사회 2학기 문제 몇가지 (책은...

... 모르겠어요 ㅠㅠ 제발 도와주세요. 문제는 제가 올려... 이슬람 문화는 종교와 깊은 관련을 가지며 발전하였고, 매우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아바스 왕조가 성립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