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백가 사상 법가에 관한질문이요!(내공있음)

제자백가 사상 법가에 관한질문이요!(내공있음)

작성일 2003.04.13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제가백사 사상중 법가에 관하여 알고싶습니다
법가의 사상의 핵심내용을 알고싶고요
그 당시 사회에 미친영향등을 알고싶습니다..
가능한 많이 써주세요


#제자백가 사상 4가지 #제자백가 사상 #제자백가 사상 정리 #제자백가 사상의 특징 #제자백가 사상 종류 #제자백가 사상이 등장하게 된 배경 #제자백가 사상 유가 #제자백가 사상 법가 #제자백가 사상의 의미 #제자백가 사상 도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법가는 중국사상중에 중요한 일파를 이루고 있는 사상이다.
법가는 유가의 덕치주의에 대하여 형법에 의한 정치를 주장한 사람들로서
商앙,申不害,愼到등이 초기의 법가를 정립하였다.
후에 韓非(BC280~233)가 법가의 이론을 집대성 하였는데 , 그는 法,術,勢를 결합시켜
법개념을 중심으로 한 법치이론을 정립하엿다.
그에 따르면 천하를 통일하는데는 천명의 개념이 아닌 법의 개념이 필요하고,
따라서 법의 준수가 매우 중요하므로 위반할시에는 엄격한 징벌을 내려야 한다는것이다.
그는 또 중앙집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법도 필요하지만 술도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술'은 군주가 관료를 통제하는 수단으로 공개적인 법에 의해 은밀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세'는 정권을 장악하는것으로 '세'와 '법'을 결합시켜 정권을 공고히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법가의 사상은 진시황에 의해 제대로 구현되었고 결국 천하를 통일하는데 기여하였다.
이사상은 중국에서 종교,도덕,등의 관념적인 방식이 아닌 실존의 법사상을 발전시킴으로서 법의 공정한 집행과 중앙집권화 된 관료제도를 확립하는데 위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지나친 신상필벌으 원칙은 군주의 저네적 통치를 부추겼고,대부분의 백성들은 그로인해 고통을 받을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법가사상은 백성을 위한 것이 아니었기때문에
일반대중속에 전파되지 않고 사라졌다.
하지만 위정자,즉 왕이나 권부에 들어가면서 체제유지적인 유가사상에 펴입된것으로서 그명맥을 유지하였다.


첫째, 인간은 근본적으로 이기적이기 때문에 국가는 강력한 통제와 조종을 통하여 부강을 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 군주는 법과 세와 술로 민중과 백관을 통솔하며, 그 제재 방식은 종교적, 도덕적인 것이 아닌 사회 조직의 정점에 선 왕의 권세와 법의 강제에 의한다는 것입니다. 셋째, 가치 판단의 기준은 현실적으로 효과있는 결과를 낳았느냐 아니냐이고, 따라서 '고대의 도와 원칙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상황을 연구하고 대처 방안을 내는 것'이 관리들의 임무가 된다는 것입니다.

법의 공정한 시행과 중앙 집권화된 관료 제도, 사회의 경제적 기초의 강조 등을 통하여 한비자는 정치 철학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고, 다른 학파보다 현실적인 정치관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나 법가 사상은 자유와 자발성이 아니라 복종과 강제를 강조하여 군주 전제주의를 이룬 것입니다. 이 사상은 민중에게 정치에 대한 의논이나 생각을 하지 말고 다만 복종하라고 가르쳤습니다. 분명히 이런 이론은 민주주의 원칙과 거리가 있지만, 주나라 식 봉건 제도를 넘어서 효율적인 관리 제도를 확립하는 이론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상에 힘입어 진시황은 중국 천하를 통일하였습니다. 또한 법가 사상은 유교의 도덕론과 결합하여 중국 사회를 2000년 동안 전제 군주제로 이끌어 온 이론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어떤 면에서 법가 사상의 현실적 합리성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중국의 문화대혁명기에는 과거의 철학을 유가와 법가로 대립시키고, 법가 진영에 속한 사상을 유물론의 입장에 선 진보적 사상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이것은 법가의 현실적 인간관, 역사의 진보에 대한 인식에 주목하고 현실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실천적 지향이 강한 철학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당연히 법가 사상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아야 할 부분입니다. 그러나 법가의 이론이 비교적 과학적 인식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고 그들의 법은 군주의 무한 권한에 의존하는 통치술의 의미가 강했습니다. 또한 인간관도 인간을 오직 통치의 대상으로만 볼 뿐, 자율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어서 중앙 집권적 전제 군주 국가가 합법적으로 독재를 행사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다만 사회의 현실적 토대를 기준으로 이론을 전개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라 옛 제도를 바꾸어야 하며, 이론은 현실적 실효성을 가져야 한다는 법가의 정신은 아직도 가치 있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법가(法家)의 사상

1. 한비자(韓非子) 이전의 법가(法家)사상

중국 역사상 '법(法)'은 춘추시대까지만 해도 예(禮)를 보완하는 것으로서 기능하여, 양자 사이에 커다란 대립은 없었다. 그러나 전국시대의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면서 법은 예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다.
법가들은 대체로 실제적인 정치가로서 내외 정세를 법에 의한 정치로 대처하고자 하는 시도를 했던 인물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기본토대는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이었다. 제(齊) 환공(桓公)을 도와 패업을 이룬 관중(管仲)이나, '형서(刑書)'를 만듦으로써 실정법을 공포한 정(鄭)의 자산(子産) 등에서부터, '법치(法治)'를 내세워 위(魏)에서 변법을 시행한 것으로 유명한 이회(李 ), 신료들을 통제·제어하는 '술(術)'을 강조한 한(韓)의 신불해(申不害), 그리고 신하가 군주에 복종하는 것은 군주의 세력이지 결코 그의 덕행이나 재능때문이 아니라고 하여 '세(勢)'를 강조한 신도(愼到), 그리고 진(秦) 효공(孝公)을 도와 2차 걸친 강력한 개혁을 단행하여 이후 진(秦)의 통일기반을 제공한 상앙(商 ) 역시 법가(法家)로 유명한 인물들이었다.


2.한비자(韓非子)의 사상

위의 여러 법가사상을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이로서, 우리는 한비자(韓非子)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말기는 한창 평화와 통일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한 시기였고, 그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부국강병, 그리고 전쟁에 의한 합병이 중시되던 시기였다. 이런 때, 한비자는 기존의 여러 법가사상들, 즉 술(術)·세(勢)와 법(法)을 통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배를 추구하였다. 법(法)과 술(術)·세(勢)를 통합했다는 것은 법치(法治)의 운영방법으로서 술치(術治)와 세치(勢治)를 병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민(民)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법(法)이 필요하고, 관리를 부리기 위해서는 술(術)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法)과 술(術), 그리고 세(勢)는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기본이라는 것이다. 그가 생각하는 법치(法治)의 기본은 철저하고 엄격한 상벌(賞罰)을 통해 '사적인 것을 배척하고 공적인 것을 이롭게[排私利公]'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한비자가 집대성한 법가사상은 이후 진시황(秦始皇)과 이사(李斯)에 의해 실현되어, 진(秦)이 춘추전국시대의 분열상황을 극복하고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는 기틀이 되었다.
(그러나 진왕조가 단명한 후 한대 이래 법가는 유가에 밀리게 된다. 그 이유는 '교화'나 '위민(爲民)'의 이상이 없다는 데 있다. 법치를 강조하고 있지만 법에 의한 통치의 정당성 또는 합리적 근거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에, 난세를 극복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적합하나 안정 국면에 적용하기에는 부족하였던 것이다.)

묵가(墨家)

묵자(墨子)의 사상

묵가(墨家)를 제창한 묵자(墨子)는 일찍이 유가의 학설을 배웠으나, 유가의 형식주의와 불평등성에 반대하여 묵가를 세웠다. 예컨대 공자는 어리석은 군주라도 신하가 잘 보필하면 정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한 반면, 묵자는 왕위세습을 반대하고 훌륭한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묵가에서는 또한 유가에서 중시하는 예의와 음악을 허례허식의 낭비로 배척하고, 부모의 삼년상 역시 같은 이유로 비난하였다. 그리고 유가의 가족제도 및 인간상호간의 특수한 관계를 중시한 차등적인 사랑[仁]에 반대하여, 인간이 자신을 사랑하듯 다른 사람을 평등애[兼愛]로 사랑할 때 사회의 평화가 온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유가가 내세관을 부정한 데 반해, 묵자는 귀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귀신을 모시는 제사가 현세에 축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믿었다.
묵자는 또한 생산활동과 함께 절약[節用]을 강조하면서 정치의 임무를 역설하였는데, 국가부강·인구증가·정치의 공정함을 강조하고, '백성의 굶주림, 추위에 입을 것이 없는 것, 일하는 자가 쉴 곳이 없는 것'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묵가의 사상에는 권위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추종자에게 절대 복종을 요구하고 엄격한 훈련을 통해 교단을 강화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절대적인 겸애설과 공리주의, 지나친 금욕주의 등으로 점차 신망을 잃게 되어 차츰 그 힘을 잃어갔다. 결국 현실주의적이며 중용주의적인 중국인들의 성격이 비현실적인 묵가의 사상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유가의 차등애(差等愛)쪽을 선택한 것이다.



제자백가의 사회적 배경

춘추시대 말기부터 전국시대에 걸쳐 독창적인 사상을 지닌 많은 학자들이 출현하였다. 이들을 일컬어 제자백가(諸子百家)라 한다. 그 이전까지는 사상가라 할 수 있는 자가 거의 없고, 개인적인 저서 또한 별로 없었다. 그러나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기존의 봉건적 사회질서가 무너지면서 그 때까지 간부(官府)나 귀족이 독점하고 있던 학문과 지식이 일반 서민들에게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이러한 사상의 자유와 지식의 확대로 인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신분상승을 실현코자 하는 강력한 사회적 욕구가 분출될 수 있었다. 또한 학자를 우대하는 풍조를 들 수 있다. 전국시대 각국의 경쟁은 자연히 부국강병의 추진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능력있는 학자[士人]를 우대하는 풍조가 팽배하였다. 게다가 각국의 분립이 사상의 다양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국가권력이 강력하면 사상과 학문을 통제하기 쉬워 다양한 사상의 발달은 어려운 법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각 파의 학설이 쉽게 용인되었으며, 또 사실상 이것들을 모두 하나로 통일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의 정치적 혼란이 도리어 사상의 자유를 보장하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퍼온곳=
http://aped.snu.ac.kr/cyberedu/cyberedu2/kor/kor12-01.html

^^ 도움되실진..^^

사상 법가에 관한질문이요!(내공있음)

... 따라서 이법가사상은 백성을 위한 것이 아니었기때문에 일반대중속에 전파되지 않고 사라졌다. 하지만 위정자,즉 왕이나 권부에 들어가면서 체제유지적인 유가사상에...

제자백가 사상을 이용한 사회 문제 해결

... 것인지에 관한 해결책"이라고 전했다. 이어 장 교수는... 한비자)와 법가의 상앙까지 총 8명의 사상가들이 추구한 철학을 설명하고, 현대 상황에 맞게 제자백가에서 얻을 수...

제자백가 사상 유가 법가 도가에 대해서

... 갑니다 제자백가(諸者百家) 중국 춘추전국시대(BC 8세기∼BC 3세기)에 활약한 학자와 학파를 총칭합니다 그 사상은 유가 도가 묵가 법가 사상으로 대분되며 이는 동양사회를...

제자백가에서...유가,법가 도가,묵가의...

제자백가사상 은 유가,법가,도가,묵가 로나뉘는걸로... 참고로 내공은 70!!!!!!!! 저가중학생이라서 너무... 승자는 법가라 할 수 있음. 여기까지는 시대적인 흐름이고, 내가...

법가사상 평가 (내공50)

... 법가사상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여 달라고 질문하였습니다. 나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생각합니다. 법가란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가운데 하나입니다. 법가는...

법가사상에 대해

... 알려주세요ㅜㅜ 내공50 법가사상의 기원과 중요 인물, 핵심사상, 장점과 단점에 대해 질문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법가란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 가운데 하나입니다....

유가사상,법가사상,도가사상에 대해서요!

세계사에 관한건데욤.. 유가,도가, 법가 중에서 한가지를 골라 핵심내용을 써주세용.. 그리구 그 사상을 선택한 이유를 길게 써주세요.~~ 내공 15드림 ! 제자백가사상 유가(儒家)의...

제자백가중 맹자의 사상 좀 알려주세요

질문 제목 그대로 제자백가중 맹자의 사상좀 알려주세요..... 내공30걸께요 ~~~~ ◈ 맹자 (孟子 ; BC 372 ?~BC 289 ?) 중국... 성선설은 그러한 인심(仁心)이 누구에게나 갖추어져 있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