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질문이요

속담 질문이요

작성일 2024.03.2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논 99마지기 가진 자가 논 1마지기 가진 자의 논을 탐하더라

이 속담 어디서 들어봤는데 제대로 무슨 속담인지 알려주세요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논 99마지기 가진 자가 논 1마지기 가진 자의 논을 탐하더라"라고 하며, 보통 한자 속담으로 통용됩니다. 이 속담의 의미는 논 99마지기를 가진 사람이 논 1마지기를 가진 사람의 논을 탐하는 상황에서 어이없음을 나타냅니다. 즉, 상황이나 사람의 위치에 비해 불필요한 욕심이나 탐욕을 가지는 것을 비판하는 속담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사촌이 땅을사면 배가 아프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논을 한 마지기 가진 사람과 99마지기 가진 사람이 누구에게 논을 달라고 하는 줄 아세요? 99마지기 가진 사람이 한 마지기 가진 사람보고 달라고 합니다. 100마지기 채우려고 그럽니다.

그것처럼 본인이 부처님 법 만나서 깨우쳤잖습니까? 팔순 어머니에게는 사랑을 안 준다고 불만이었고, 아들에게는 다 컸는데 왜 나에게 사랑을 요구하느냐고 불만이었는데, 어머니를 향한 나의 불만스러운 마음이 아들의 마음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또 아들을 향한 내 마음이 지금 팔순 어머니의 마음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뒤집어서 보니 어머니와 아들이 다 내 마음속에 있는 것임을 알았습니다. 이렇게 내가 깨우치게 되면 어머니를 향한 나의 불만을 보면서 아들의 불만을 이해하게 되고, 아들의 불만을 보면서 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나를 괴롭히던 두 가지가 다 내 공부를 도와주는 게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지금 질문하신 분은 논이 한 마지기도 없던 사람이 99마지기를 장만해서 행복해야 되는데 한 마지기 더 채우려고 욕심 부리는 사람하고 똑같습니다. “우리 아들이 부처님 법 공부해서 마음이 편해졌으면 좋겠다” 하는 것은 나의 원이지만은 ‘우리 아들 불자 만들고 싶다’ 하는 것은 나의 욕심입니다. 어떻게 보면 불자가 돼야 한다는 것이 진리 같지만 결국은 “내가 원하는 대로 아들이 됐으면 좋겠다”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우선 내 마음대로 하려는 생각을 내려놔야 합니다. 그래야 나와 아들과의 사이에 긴장이 해소됩니다. 아들은 아들 고집대로 하고 나는 내 고집대로 하면 싸움이 멈추지 않습니다. 긴장 관계 속에서 이기고 지는 것이 있는 한, 상대가 설득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굴복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긴장이 있으면 이기고 지는 문제가 되기 때문에 교화가 안 됩니다.

그러니 먼저 내가 자식을 내식대로 하려는 생각을 내려놔야 합니다. 전에는 내식대로 하려고 했는데 부처님 법의 말씀을 듣고 보니 이게 잘못된 줄 알고 내려놔야지요. 그런데 그 내식대로 하려는 카르마가 남아서, 내 고집이 부처님 가르침이라는 옷으로 딱 갈아입어 버린 겁니다. 그래서 지금은 부처님 법이라는 잣대를 내걸고 아들을 굴복을 시키려는 겁니다. 아집 대신 법(法)집을 쥐고 이걸로 상대를 다시 굴복시키려고 하는 거지요.

그러니 전에는 아들이 나하고 싸웠는데 이렇게 되면 아들이 부처님하고 싸우는 게 되어버린 겁니다. 그리고 내가 부처님을 방패로 내세워놓고 싸우니까 아들은 불법으로부터 점점 더 멀어지게 됩니다.

우선 나를 먼저 내려놔야 됩니다. 그래서 이 긴장을 해소시키고 그런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얘기가 오고가야 됩니다. 아들을 불자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불법을 말하지 말고 그냥 불법을 믿고 안 믿고는 아들의 문제지만 이런 좋은 법이라는 게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수준에서 행하면 오히려 아들에게 마음의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속담 질문이요

논 99마지기 가진 자가 논 1마지기 가진 자의 논을 탐하더라 이 속담 어디서 들어봤는데... 그런데 지금 질문하신 분은 논이 한 마지기도 없던 사람이 99마지기를 장만해서...

속담 질문이요 ! ! !

... 그런 속담이 있나요? 전화위복 : 재난을 이겨내어 복이 됨. 속담으로는 양지가 음지 되고 음지가 양지된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 태산을 넘으면 평지를 본다.

속담 질문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는 있는 속담 이잖아요? 새우싸움에 고래등터진다도 있는 속담 인가요? '새우 싸움에 고래 등 터진다'도 속담입니다. (의미) 남의 싸움에 관계없는...

한국 속담 질문

한국 속담 중에 어중간하다, 애매하다 이런 단어가 들어간 속담이 있나요? 어정7월 건들8월이라는 속담이 있네요

속담 질문

죽음에는 편작도 할 수 없다 이 속담 죽지 말자 라는 뜻도 포함인가요? 죽지말자에 관한 속담 찾아야해사 죽음에 관한 속담은 맞는데, '죽지 말자'의 의미와는 거리가 있어...

속담 질문이요

작은 것을 막으려고 큰 것을 잃는 다는 뜻의 속담이나 문장좀 알려주세요 [속담] 새우를... [속담] 서까래감 아끼다가 용마루 썩인다(표제어:서까래감) [북한어]서까랫감 많이...

속담 질문이요

속담 질문이요 쇠뿔도 단김에 빼라는 속담이 마음먹엇으면 물러서지 말고 진행하라는 표현이잖아요 그럼 쇠뿔 빼듯이 단숨에 라는 말은 틀린 표현이 되는게 맞나요? 빠르게...

속담 질문이요~

여자가 시집 가는 내용이 담겨 있는 속담이나 옛말이 무엇인지... 비슷한 문장의 속담이나 옛말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시집(여자의 결혼)에 대한 좋은 뜻을 지닌 속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