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통일 신라에 대해 아시는분-ㅅ-

삼국통일 신라에 대해 아시는분-ㅅ-

작성일 2004.03.1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문좀 묻겠습니다-_-

1.신라가 삼국을 통일할수 있었던 까닭

2.통일 신라의 문화재와 특징

3.김유신,김춘추,문무왕,대조영이 어떤 일을 했는지 간단하게..

4.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해 간단하게..

아시는분은 꼭좀 알려주세요^^


#신라에 의한 삼국통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新羅三國統一의 意義

98185030 황규태







1.序論





2.本論


①統一新羅의 性格


②三國統一의 歷史的 意義





3.結論


신라 삼국통일의 원동력






Ⅰ.서론

신라의 삼국통일은 민족사의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가하는 문제는 한국고대사에 있어서 지대한 관심사였다. 무엇보다도 신라의 통일은 國民融合에 따른 民族統一과 민족문화의 根幹을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對唐抗爭에서 보여진 自我意識의 발견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는 높이 평가되어 왔다. 다만 外勢利用과 小朝鮮運動이라는 부정적 견해도 간과할 수는 없다.

여기서는 신라통일의 성격과 그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결론에서 신라삼국통일의 원동력에 대해서 다루어 본다.


Ⅱ.본론

①統一新羅의 性格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정벌한 뒤, 唐과의 항쟁을 통하여 새 국가를 창조했다. 그런데 이것에 대해서는 최초의 민족통일로서 민족사의 開幕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두는 경우와, 통일이 外勢를 이용한 반민족적 행위로서 우리나라가 약소국가가 된 계기로 보는 경우의 두가지가 있다. 우선 전자의 경우는 김부식이


김유신은 그 뜻한 바를 가지고 중국과 협동·모의하여 3국을 합치어 한 집을 만들었다. 라고 하여 신라의 통일을 民族統一의 계기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는 손진태·이병도로 이어져 신라의 삼국통일을 옹호하였다.

이에 대해 후자의 경우는 일제치하의 특수한 상황에서 丹齋에 의해 제기되었다. 묘청의 난의 승리에 도취된 金富軾의 事大主義가 자주적인 문헌은 인멸시켰고, 영역이 대동강 이남으로 바짝 줄었으며, 조선에 侮蔑한 말이 많은 문자를 가져다가 그대로 본국에 流傳하여 事大主義의 病菌을 전파하기 시작하였다고 김춘추를 비난한 뒤에 신라의 통일을을을 역사의 죄악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학자들의 주장은 신라의 통일이 외세를 이용했건, 불완전한 것이었건간에 民族史展開에는 결정적 계기였다는 점에는 일치한다. 다만 『外勢의 利用과 『滿洲의 喪失』을 비판하고 있다. 우선 만주의 상실이라는 영토축소와 민족이탈의 문제는 한국사전개에 있어서 큰 손실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막연한 영토상실이라기 보다는 군사적·경제적 의미를 지닌 遼東喪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동지방은 동북아시아의 세력판도에 關鍵이되는 요충지로서 隨·唐의 줄기찬 고구려 침입도 그 확보에 있었다. 당시 신라의 군사력과 경제력의 수준으로서 요동확보는 실제로 불가능하였으며, 10여년간의 대당항쟁으로 지친 신라로서는 대내적인 정치안정 우선책에 따라 당과의 계속적인 대립에 한계가 있었다. 당의 입장에도 670년 이후 吐藩의 계속적인 침입과 突闕의 창궐 및 契丹의 위협은 신라왕의 친선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聖德王 35년(735)에 형식적인 浿水以南의 領有를 승인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신라는 요동상실의 국가적 손실을 北方經營으로 극복하려 했던 것이다.

다음으로 생각할 점은 外勢利用의 문제이다. 3국은 血統·言語·習慣이 비슷한 나라였고, 실제로 중국에서도 같은 민족으로 생각한 것은 사실이다. 삼국의 전단계인 3韓의 유물과 유적에 있어서 馬韓과 弁韓의 그것들이 차이점은 있었다 해도, 신라의 출신을 고조선의 유민으로 보려는 것과 같이 3국은 어느정도의 同族意識을 갖고 있었다. 다만 그러한 동족의식이 곧 하나의 民族意識으로 간주될 수 있느냐의 문제는 간단한 것이 아니다. 단지 하나의 文化圈속에서 비슷한 혈통을 지닌 집단으로 생각할 수는 있었을 것이며, 특히 齊·麗는 같은 계통의 민족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3국이 같은 민족으로 이해하려는 입장은 강하지는 않다.

실제로 7세기 가까이 별개의 국가로 대립된 3국은 각기 130여회의 싸움과 정치적 대립을 계속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족의식은 自己防禦的 對立意識만 조장되었으며, 민족의식이라는 공동 유대감은 크게 둔화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신라의 외세이용은 반드시 反民族的행위가 아니라, 征服과 戰爭의 한 방편에 불과한 것이다. (卷 5, 武烈王 7년)에 의하면 백제를 정벌하고난 직후,


法敏이 隆을 말 앞에 꿇어앉히고 그 얼굴에 침을 뱉어 꾸짖으면서 前日에 너의 아비가 나의 누이를 원통히 죽이어 獄中에 파묻은 일이 있다. 그것이 나를 20년 동안 마음을 아프게 하고 머리를 앓게 하였다.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맺힌 복수심과 정치적 보복의 수단으로 외세이용을 설명하고 있다. 김춘추 일가는 백제를 정벌하기 위해서 또다른 나라를 이용한 것에 불과하다. 더구나 백제정벌과정에서 실제로 당나라는 백제군과 싸은일이 없었고, 마지막 泗搱城陷落때 도와준 일 밖에 없었다. 또 고구려정벌때 신라는 군량미와 병력을 수송한 일은 있으나 고구려의 주력부대와 당군과의 충돌을 유도하는 것이 주임무였다.

따라서 외세이용이란 것은 표현처럼 통일에 도움을 준 것은 아니었고, 정치적 효과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외세이용이란 반민족적 행위가 인정된다 해도, 고구려멸망후에 보여준 신라인의 對唐抗爭은 그것을 충분히 보상해준다.

대당항쟁말기 당은 말갈족, 거란족 등 3국의 연합군을 이끌고 한반도를 침입해 들어왔다. 이에 신라는 고구려, 백제 3국의 연합군으로 이를 맞아 격퇴하였다.(매소성전투) 이는 이미 신라가 어느정도는 2국의 유민을 포섭하여 하나로 역량을 결집했다고 할 수 있다.

②三國統一의 歷史的 意義

신라의 삼국통일은 처음부터 계획된 사건은 아니었다. 백제정벌로부터 시작된 통일과업은 고구려정벌까지는 적대국의 정벌에 주력하였다. 그 후 당의 영토적 야욕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민족적 혈연의식과 국가적 통일의식이 고취된 것이다. 그러므로 백제정벌은 신흥귀족인 武烈王家의 명예회복을 위한 정치수단에서 출발한 것이었고, 당은 명목상 협조를 한것 뿐이다. 당은 고구려 정벌의배후세력을 사전에 제거하려는 욕심이었기 때문에, 백제정벌에는 지극히 소극적이었다. 당의 주력부대는 백제군과 싸운일이 없으며, 마지막에 首都攻擊때 협조한 것 뿐이다.


당나라 사람들은 백제를 멸망시킨 다음, 사비성에 병영을 두고 있으며, 몰래 신라를 침략하려는 음모를 꾸몄다.(중략) 정방이 돌아가 포로를 바치니 천자가 위로하면서 어찌하여 이내 신라를 정벌치 않았는가.


라는 당의 속셈을 파악한 신라는 백제정벌직후부터 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표면으로는 협조하는 듯하지만, 속으로는 의연하게 대항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고구려 정벌 때 신라의 지원은 당의 백제정벌시와 같이 형식적이고 의례적이었다.


이때 왕은 高句麗의 叛衆을 받아 들이고 百濟의 고토를 占據하였으며, 사람을 보내어 이를 수비케하여다. 唐高宗이 크게 노하여 詔로써 왕의 官爵을 삭탈하고 王弟인 臨海公 金仁問이 京師에 있으므로 이를 신라 왕으로 삼고 귀국케 하였다.


와 같이 신라는 당의 영토적 야욕을 분쇄하는데 철저를 기했던 것이다.

고구려정벌 후 양국은 대립을 계속하다가 문무왕 11년(671)부터 양국은 정면으로 충돌하게 되었다. 그 해 6월에 竹旨가 이끈 신라군은 石城에서 5천여 唐軍을 살해하였다. 이 전쟁은 당의 야욕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면서 전면전으로 작전을 바꾼 계기가 되었고, 외세이용의 불명예를 씻기 시작한 대승리였다. 이에 신라는 復興運動을 꾀하는 麗·濟流民을 포섭하는 한편, 唐점령지역에서 逃出하는 다수의 流民에게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당의 反攻勢力을 약화시켰다. 이에 신라는 投降·歸化하는 유민을 적극적으로 흡수하였다.


고구려의 遺臣 淵淨土가 12城 763戶의 3543명을 거느리고 항복하였으므로 왕은 그와 그 從官 24명에게 의복·양식 및 집을 주어 각 都城·州府에 살게하였다.


와 같이 귀화민을 포섭하는 한편, 그 일부는 신라의 관리·외교사절로 이용하면서 反唐戰에 일익을 담당하게 하였다. 이러한 민족포섭·융합책은 결국 麗濟殘民·歸化人·異民族에 대한 寬容과 同盟의 정책으로 왕에 대한 충성을 약속한 9誓幢의 정신과 맥을 같이한다.

신라의 통일은 하나의 정부를 중심으로 정치·문화의 통일을 가져오게 하였다. 특히 화대된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기반은 여·제의 문화흡수와 함께 그 폭을 넓혀 새로운 民族文化의 形成을 가능케 하였음은 사실이다. 더구나 무열계왕권은 統一戰爭에 협조한 하층관리와 일반백성에 대한 파격적 대우를 통해 그들의 신분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왕권강화를 꾀할 수 있었다.

즉, 다수의 평민층이나 지방세력에게 國政參與의 길을 열어 줌으로써, 參戰과 官職에 의한 정치참여의 기회를 넓혀 民族國家의 형성에 기여한 것이다. 이와같이 통일전쟁에 적극 협조한 다수의 평민층을 배후세력으로 삼았다는 것은 慶州中心의 구귀족을 견제하면서 새로운 정치질서를 구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8세기에 시도된 北方經營은 爲民政策뿐 아니라,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려는 정치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신라의 통일은 실제로 외세에 의한 타율적 통일이 아니었고 신라인 스스로이룩한 위업이었다. 비록 출발점에서 당군의 도움을 필요로 한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군사적 효과를 노린 구호에 불과하였고, 신라의 통일은 어디까지나 외세의 도움없이 자력으로 통일을 쟁취한 것이다.

따라서 신라통일의 의의는 이러한 민족적 자아와 자주의식에서 이룩 되었다는 점에 있으며, 나아가 여·제 유민에 대한 융합과 관용으로 새로운 민족국가의 출범이 가능하였다는데 큰 뜻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다수의 평민들에게 參戰을 통한 정치참여의 길을 넓혔다는 것이다. 한편 문화적인 면에서도 여·제의 문화를 수용하여 전란기 속에서도 고대문화의 단절을 그램복하면서 새로운 민족문화의 건설에 계기가 될 수 있었다.


Ⅲ결론

지금까지 신라의 삼국통일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신라가 통일을 할 수있는 원동력은 과연 무엇일까? 여기서는 4가지로 나누어 본다.

첫째, 花郞徒를 들 수 있다. 신라인의 결집력과 문화적 건전성이 삼국통일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화랑도는 귀족 자제로부터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구성되어 있어서 일체감을 이룰 수 있었다. 이는 로마의 중장보병(Phalanx)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둘째, 외교전의 승리를 들 수 있다. 신라는 여·제에 의해서 멸망 직전의 단계에까지 이르렀지만 2국과 당의 관계를 교묘히 이용하여 최후의 승자가 되었다. 즉, 신라는 국내외적 상황에 대한 능동적 대처와 외교역량으로 위기를 넘기고 승자가 될 수 있었다.

셋째, 주체적 군사활동을 들 수 있다. 이는 고구려 멸망후 당의 야욕을 간파한 신라가 당의 군대를 과감히 공격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당태종의 약속을 상기시키면서 전쟁이 신라의 본의가 아님을 당에 전달하였다. 그것은 공손하고 겸손한 표현이자 절대로 물러설 수 없다는 강렬한 투지의 표현이기도 했다.

넷째, 호국의지를 들 수 있다. 이는 선덕여왕 14년(645)에 승려 慈藏의 건의로 지어진 皇龍寺 9층 木塔을 들 수 있다. 이는 신라 중심의 세게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통일 후 五岳정신으로 구현되었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비록 영토의 축소를 가져오기는 하였고 외세를 이용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국제관계에서 국가의 실익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행위도 서슴치 않는 지금의 현실에서 신라의 행위만을 부정적으로 본다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제는 민족사관의 Nationalism에서 탈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객관적인 역사가 보이는 것이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신라가 삼국통일을 할수 있었던 까닭

[1]화랑도 정신

[2]불교로 국민들을 단합한 것,

[3]뛰어난 외교술

2.통일 신라의 문화재와 특징

문화재는 석굴암 불국사 등이 있구요

특징은 불교를 주제로 삼은 문화재가 많고요.

3.김유신,김춘추,문무왕,대조영이 한 일

김유신은 삼국통일을 이뤄낸 장수,

김춘추는 뛰어난 외교술을 가진 사람이죠,

문무왕은 삼국통일을 이뤄낸 왕이구요

대조영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를 일으킨 사람이죠.

4.발해의 건국과 발전

발해는 대조영이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뜻에서 나라를 세웠고요

발해는 북쪽으로 많이 진출을 하였죠.

답변은 여기까지구요. 부족한 답변 드려서 죄송합니다 ^ ^

삼국통일 신라에 대해 아시는분-ㅅ-

질문좀 묻겠습니다-_- 1.신라가 삼국을 통일할수 있었던 까닭 2.통일 신라의 문화재와... 4.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해 간단하게.. 아시는분은 꼭좀 알려주세요^^ 新羅三國統一의...

삼국시대의 유교와 통일신라시대...

... 번영에 대해 쓰고있습니다. 삼국시대의 유교, 통일신라시대, 고려, 조선의 유교를... 혹시 유교에대해아시는분있으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떤방면들에 있으서...

음식과, 통일 신라의 음식 , 식재료를...

... 삼국통일과 통일 신라에 대해 많이 아시는 분이면 좋구요.. 주로 그냥 제가 제목을 적은것을 더 많이 알려 주시면 좋겠어요...;; 꼭요... 한국음식문화사 기원전 6000년경부터...

발해의 문화재에 대해 아시는 분...

가야,통일신라,발해의 문화재에 대해 궁금하네요.. 간단한 설명과 사진이 있으면... 삼국시대 무덤에서 발견되는 금속제의 장식용 신발과 같은 성격을 띤 껴묻거리(부장)...

삼국시대 잘 아시는분

1.현대에는 신라가 삼국통일 한 시대를 통일신라시대라고 하는데 고려때나 조선시대에는... 신라가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킨 이후에 대해서도 고려~조선시대에는 그냥 신라라고...

신라의 삼국통일에 잘 아시는분

신라의 삼국통일의 한계성이 대동강에서 원산만까지를 경계로 한 이념의 땅을... 고조선처럼 대해 주길 바라고있었어죠? 그러나 통일신라는 먼 미래 20C 1900년 일제감정기...

진선사에대해 아시는 분들?? 여기 잠시...

진선사에 대해 아시는 분들?? 진선사에 대해 아시면... 제... 체발득도하였다는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一然)과의... 講雜花萬偈感五十二女現身證聽) 통일신라 시대로 들어서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