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가르침

정약용의가르침

작성일 2009.10.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정약용의가르침이뭔가요?

오늘안에부탁드려요

제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정약용의 가르침

 

[철학 사상(가르침)]

 

 당시 주자학을 절대시하여 이기설(理氣說)·예론(禮論) 등의 논쟁에만 골몰하던 학계의 현실을 개탄하고 보다 참되고 가치있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실학을 건설하기 위하여 한대(漢代) 이후의 오도된 유학을 거부하고, 공자·맹자의 원시 유학[16]으로 돌아가 유학의 본질을 파헤쳐 후인에 의하여 왜곡되고, 날조된 이론을 바로 잡으려고 하였다.

 이이·유형원·이익의 경세학적 태도를 이어받아 새 시대의 새 학문을 건설하려고 하면서, 당시 중국에 유입되고 있던 서양의 종교·과학 등에 접촉하여 이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새 학문의 목적을 고증(考證)·경세(經世)·목민(牧民) 등에 두고 공자로부터 재출발하여 전연 독자적인 체계를 수립하였다.

 천(天)을 유형천(有形天)과 주재천(主宰天)·역리천(易理天)으로 구분하고, 주재천에의 신앙을 강조하였다.

 천명(天命)을 정치적으로는 인심(人心)으로, 윤리적으로는 정명(正命)으로 보아 백성을 위한 군자(君子)의 사명을 강조하였다.

주자의 천리설(天理說)과 이기설(理氣說)을 부정하고 천명이 도심(道心)에 있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인성론(人性論)에 있어 인간의 본성은 기호(嗜好)라는 성기호설(性嗜好說)을 주장하고, 사람에게는 도의지성(道義之性)과 금수지성(禽獸之性)의 양성(兩性)이 있음을 밝혀 이들 양자간의 갈등을 인정하였다.

 인물성동이논변(人物性同異論辨)에 있어 한원진의 인물성이(人物性異)를 지지하면서도 기질(氣質)의 성(性)은 같되 본연의 성은 다르다는 새로운 입장을 취하고, 주자학의 기질지성청탁수박설(氣質之性淸濁粹駁設)을 부정하였다.

 주자의 이기론(理氣論)을 전면 거부하고, 공자·맹자의 양기설(養氣說)을 다시 주장하고 이를 목민(牧民)사상과 연결지었다.

 역리(易理)의 성립과정을 합리적·과학적으로 해명하여 음양(陰陽) 64괘(卦) 등을 미신적인 교리(敎理)로 보는 데 반대하였다.

성인(聖人)을 신격화하는 데 반대하고, 인간은 누구나 성(誠)을 다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공자의 충서(忠恕)·효제(孝悌) 이외에 자(慈)를 강조하여 윗사람의 아랫사람에 대한 의무·사명으로 하였다.

 성정중화론(性情中和論)에 근거하여 예악중화론(禮樂中和論)을 전개하고 원시 유교의 왕도(王道)사상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정약용은 한나라 이후 유학의 병폐·타락을 성리(性理)·훈고(訓話)·문장(文章)·과거(科擧)·술수(術手) 등 다섯 가지로 지적하고, 공자에게로 돌아가 보다 합리적이고 건전하며 실제적인 신유학(新儒學)을 건설하여 조선 봉건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려고 한 주체적·혁명적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평가]

 정약용은 유형원(柳馨遠)·이익(李瀷)을 통해서 내려온 실학사상을 한 몸으로 집대성했다. 한국 근세에서 남인학파(南人學派)의 불평의 비판과 정치적으로 비현실적인 태도에 비하여, 다산은 남인학파 중에서도 정치적으로 다분히 실제적인 경험을 지녔고, 자기의 학문·사상의 체계화를 정리한 귀양지 강진에서 귀양살이를 보내기까지의 중앙 관리의 경력, 지방행정의 경험, 연천(連川) 방면의 암행어사(暗行御史) 행각, 청년 시절의 왕환(往還)과 부친의 임소(任所)에 수행한 견문, 그리고 귀양살이 등은 그대로 생생한 교훈이며, 평생을 통하는 힘이었다.

 

 이와 같은 문견(聞見)과 경력은 그의 사상에 현실적인 인식과 자료로 제공되었다. 다른 실학자들처럼 성리학·천문·지리·역상(曆象)·산학(算學)·의복(醫卜)에 관련된 저서는 물론 《경세유표(經世遺表)》와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 등은 모두 다산학(茶山學)의 귀결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경제·사상의 총괄 편으로 정박명절(精博明切)하며 탁견(卓見)이 아님이 없다.

 

 이러한 사상이 급속도로 붕괴해 가던 조선사회에 적절히 적용되지는 못했지만, 다산이야말로 조선조 학계에 전개된 진보적인 신학풍을 한 몸으로 총괄·정리하여 집대성한 실학파의 대표인 것이다. 일찍이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는

 “ 선생(茶山) 1인에 대한 요구는 곧 조선사의 연구요, 조선 근세사상의 연구요, 조선 심혼(心魂)의 명예(明銳) 내지 전조선 성쇠존망에 대한 연구 ”

라고까지 평하여 그의 학문·저술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최근에 와서 다산 연구의 열이 높아가고 있음도 우연의 일이 아닐 것이다.

 

 

[3대 저서]

 이른바 '1표 2서'라 불리는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는 정약용의 주요 저서로 꼽힌다.

 

《목민심서》 : 백성을 다스리는 지방 목민관(牧民官, 수령)의 치민(治民)에 관한 요령과 감계(鑑戒)가 될 만한 마음가짐과 태도 등을 저술한 목민서(牧民書)이다.

《흠흠신서》 : 곡산부사로 재직할 때 실제 수사했던 사건들을 바탕으로 서술한 판결과 형벌 및 치옥(治獄)에 대한 주의와 규범에 관한 책으로 사람의 생명에 관한 일을 가벼이 처리하지 않도록 유의할 점을 적었다.

《경세유표》 : 관제·군현제와 전제(田制)·부역·공시(貢市)·창저(倉儲)·군제·과거제·해세(海稅)·상세(商稅)·마정(馬政)·선법(船法) 등 국가 경영에 관한 일체의 제도 법규에 대하여 적절하고도 준칙(準則)이 될 만한 것을 논정(論定)한 책이다.

 

 

[기타 저서]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마과회통》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 : 정약용이 회갑을 맞던 해 자신이 직접 쓴 자신의 일대기이다.

《맹자요의》

《논어고금주》

《춘추고징》

《역학제언》

《상서지원록》

《주역심전》

《사례가식》

《상례사전》

《악서고존》

《상서고훈》

《매씨서평》

《모시강의》

《삼미자집(三眉子集)》 : 정약용이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았다가 나았는데, 그때 오른쪽 눈썹에 그 자국이 남아 눈썹이 셋으로 나뉘어 삼미(三眉)라 불렸다. 이 《삼미자집》은 정약용이 10세 이전에 지은 글을 모은 문집이다.

<위키백과에서 발췌> 

정약용의가르침

정약용의가르침이뭔가요? 오늘안에부탁드려요 제발~~~~~~~~~~~~~~~~~~~~~~~~~~~~~~~~~ 정약용의 가르침 [철학 사상(가르침)] 당시 주자학을 절대시하여 이기설(理氣說)·예론(禮論) 등의...

정약용 유배지 에서 보낸 편지가...

... 주는 가르침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서술하기 이해정도 적절한표현 적절한사례 교훈서술 점 해주세여 ㅠㅠ 급해여.. 내공 100겁니다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에는 기사...

정약용이 가까이 지낸 사람

... **노유선과의 관계:** - 노유선은 정약용의 제자 중 한 명으로, 정약용가르침을 전하고 지도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노유선은 정약용의 이념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데...

정약용 목민심서 특징

... **목민심서 주 내용:** - 목민심서(牧民心書)는 조선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가인인 정약용(鄭夢周)이 지은 책으로, 주로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농업 및 생활에 관한 가르침을...

정조가 정약용을 계속 승진 시켜주며...

... 셋째, 정조는 정약용의 충정과 가르침에 대한 깊은 감동과 존경심을 가졌습니다. 정약용은 정조가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제안을 하면서도, 자신의 생각을...

정약용 수양론

... 그의 글과 가르침은 종종 유교 원칙을 반영하고 유교 윤리와 실용적인 통치를 조화시키려 했습니다. 정약용의 실천은 광범위한 지적, 사회적, 윤리적 활동을 포괄한다. 그는...

정약용의 성격과 가치관

... 내 가르침을 받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정약용의 아들로 산다는 것은 큰 복이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가 이렇게까지 아들들에게 공부를 강조한 이유가...

정약용 조사 (숙제예요!)

정약용의 업적 정약용의 출생배경 정약용의 독특한 행동 정약용의 가치관 알려주세요!... 기본적 가르침이었던 민본(民本)의 의식을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