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군6진과 사민정책

4군6진과 사민정책

작성일 2009.01.2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4군 6진

이후 개척한 6진을 조선의 영토로 만들기 위해서 여러 정책이 병행되었다. 우선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인민 가운데 명망 있는 인물을 토관으로 임명하여 해당 지역에 맞는 정책의 수행에 만전을 기하였다. 그리고 영남에 거주하던 백성들을 이주시키는 시사민정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개척된 땅이 무주공산이 되지 않도록 하였다. 오늘날 함경도 사투리와 경상도 사투리가 서로 비슷해진 것도 바로 이 사민정책의 결과라고 한다. 한편 이 사민정책은 강제로 이행되었기 때문에 국가에 의해 이주된 백성들의 원망을 낳게 되었고, 이는 훗날 이 지역에서 발생한 이시애 난의 직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여기서 질문입니다.
당시 사민정책에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고싶습니다.
이주 주민의 규모라든지 정착은 잘했는지 등 자세한 내용을 알고싶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당시 사민정책은 여진으로부터빼앗은 영토에다가

사람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이엿는데강원도는 물론이고 충청·전라·경상도에서까지 자원 및 초정() 사민을 모집하는 방법까지 동원한 대거사민운동엿구요 처음에는 범죄자를 위주로 이주시켯습니다

이때 양반이면 관직을 올려주거나그랫어요 ㅎㅎㅎ그리고천민에게는 양반으로의 길을 열어주거나하는 따위의

사민우대책이 나서기시작햇죠 이래서 성종때까지 계속된게

한 3만명쯤? 할껍니다 ㅎㅎ

도움되셧길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백과사전에 답이 있어 인용합니다.

 

사민정책 [徙民政策]
요약
조선시대 초기, 함길도(咸吉道)·평안도 지방의 개척을 위하여 추진한 이민정책.
본문

사실상 북방이민은 고려 때부터 시행되었는데, 그 한 예가 윤관()이 9성을 쌓은 뒤 많은 사람들을 이주시켜 살게 한 일이었다. 덕종 때에도 정주()에 1,000호를 이주시킨 일이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사민은 조선 초 4군 6진을 개척하면서부터이다.

함길도 지역의 경우, 1398년(태조 7) 새로 편입된 지역의 중심지인 공주()에 경원부()를 두고 그 관내 지역에 사는 부유한 백성들을 이주시킨 것이 북방사민정책의 시작이었다. 1410년(태종 10) 여진족이 경원부에 쳐들어오자, 조정에서는 길주() 도안무찰리사(使) 조연()으로 하여금 여진족을 토벌하도록 하였고, 그는 적장 파아손()을 쳐 두만강 건너 적의 본거지까지 점거하였으며, 경원부를 경성()으로, 다시 부거참으로 옮기고 1,000여 호를 그곳에 이주시켰다.

1433년(세종 15) 경원부 자리에 영북진을 설치하고 대규모의 이주를 단행하였는데, 강원도는 물론이고 충청·전라·경상도에서까지 자원 및 초정() 사민을 모집하는 방법까지 동원한 대거 사민이었다. 초정사민은 주로 범죄자를 강제로 입거시키는 제도였다. 이때 양반이면 자품()을 높여 주거나 토관직을 주고, 향리나 천인에게는 면역()과 관직 진출의 길을 열어 주었으며 양반으로 면천()을 해주는 등의 사민 우대책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편, 사민의 공평한 선정과 이거 후의 안정된 정착을 위하여 여러 가지 통제와 벌칙이 마련되기도 하였다.

평안도 일대에서는 1437년부터 3년간 여덟 번에 걸쳐 1만 5000여 명(1,000여 호)이 국경 지대 가까이 이주를 하였다. 그 까닭은 여진족의 국경 침입이 잦은데다가 국경의 경비에도 취약점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여 평안도 일대에는 황해도를 비롯하여 남도지방 일대에서 사민 3000여 호를 모집하여 이주시켰다. 이러한 사민정책은 성종 때까지 지속되었다.

4군6진과 사민정책

4군 6진 이후 개척한 6진을 조선의 영토로 만들기 위해서 여러 정책이 병행되었다. 우선... 그러나 본격적인 사민은 조선 초 4군 6진을 개척하면서부터이다. 함길도 지역의 경우...

4군6진에대해서요..

... 후에 4군 6진 개척 후에 영토 유지를 위해 사민정책, 즉 평안도와 함경도로의 이주 정책을 펼쳤고 압록강, 두만강 유역 개발을 추진하였다 [편집] 함께 보기 여진족 최윤덕...

4군6진

... 설치한 6진(六鎭)을 합쳐 부르는 말이다. 세종대왕은 이 지역에 삼남 지방의 백성들을 이주시켜 인구를 보충하는 사민정책을 실시하였고, 그 지방의 사람을 관리로...

4군6진 질문

... 교린 정책이란회유책과 강경책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정책이다. 4군 6진 개척은... 세종은 이 지역에 백성들이 없으므로 남방의 백성들을 이주시키는 사민 정책을...

4군6진

4군6진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좀 원합니다. ▶ 세종은... 하고, 4군(四郡)을 설치하였다. 이 때 국경선이 압록강으로부터 두만강까지 확보되어 이 곳에 사민정책(徙民政策)...

사민 정책에 대해서

세종이 굳이 사민 정책을 실시한 이유가 뭐죠? *4군 6진 개척 당시 삼남 이남 지방의 백성들을 강제 이주 시키는 사민 정책을 실시했다. 강제로 징발된 백성들은 북쪽으로 가는걸...

이종무의 4군 6진에 대해 자세히...

... 국경에 진.보 설치, 4군 6진 개척 북방 사민 정책 * 국토의 균형 발전 * 농병일치에 의한 국경 방어의 강화 * 토관제도 활용 사민 정책 세종때 4군 6진의 개척으로 북방...

4군6진은 어떻게 개척했나요?

빨리 부탁드립니다 4군 6진 개척은 여진족에 대한 강경책이고, 사신 파견, 북평관 설치... 세종은 이 지역에 백성들이 없으므로 남방의 백성들을 이주시키는 사민 정책을...

세종대왕과 4군 6건의 계획

... 국경에 진.보 설치, 4군 6진 개척 북방 사민 정책 * 국토의 균형 발전 * 농병일치에 의한 국경 방어의 강화 * 토관제도 활용 사민 정책 세종때 4군 6진의 개척으로 북방 영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