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공30★>> 병부. 골품제. 주·군제도. 진골귀족회의. 건...

<<★내공30★>> 병부. 골품제. 주·군제도. 진골귀족회의. 건...

작성일 2004.04.2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중2인데요 ;

중간고사가 얼마 안남아서 책을 읽어보는데

무슨뜻인지 몰라서 , ㅜㅜ

이렇게 쩔쩔매다가

올립니당 ;

★★★★★★★★★★★★★★★★★★★★

병부.

골품제.

주·군제도.

진골귀족회의.

건원.

담로.

★★★★★★★★★★★★★★★★★★★★


이해 되도록 쉽게 풀어서 설명해주세요 ㅜㅜ

부탁드립니다 ..

방금가입하고 올리는거라,

잘 모르겠어요..

쫌 빨리 답변해주셨으면 좋겠어요..

수고하시구요 ,

감사합니다 ^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병부(兵部)

신라시대에 국방의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517년에 설치한 중앙부서입니다. 신라에서 중앙관부로서는 병부가 제일 먼저 설치되었는데, 이것은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체제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군사권을 왕이 직접 장악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골품제.

신라의 전통적인 신분제도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 제도의 성립시기는 신라가 중앙 집권 국가로 성립할 무렵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즉, 4세기라는 말이죠. 또한 골품제는 각 족장 세력을 통합하고 편제하는데 목적이 있었습니다. 때문에 족장 출신의 귀족은 4,5,6두품이 되구요. 왕족은 성골과 진골이 됩니다.
골품제의 기능은 사회 활동과 정치 활동의 범위를 결정하고 골품에 따라 가옥, 복색, 수레까지 제한하며 관등에 따라 공복의 색깔을 다르게 하였습니다.
(관등과 신분은 같지 않다는 거 알고 계시죠? 하지만 신분에 따라 올라갈 수 있는 관등은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진골 위주의 폐쇄적인 사회였습니다. 최고 관직은 모두 진골이 독점하고 있었죠. 다른 신분과는 달리 승진에 제한이 없었다는 말이 되겠습니다.

주·군제도.
전국에 주와 군을 설치하는 행정제도를 말하죠. 주군제도(州郡制度)의 실시는 고구려, 백제, 가야 등의 삼국과의 전쟁에서 얻어진 점령지의 통치와 영토확장의 수단이죠. 즉, 중앙집권적인 통치체제의 수립을 위하여 새로이 신라의 영역내로 편입된 점령지를 행정적 차원에서 일원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지방통치를 행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진골귀족회의.
다른말로는 화백회의라고 합니다. 신라 화백회의는 진골귀족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대등(大等)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은 법흥왕 18년(531)에 처음 설치되었죠 . 화백회의는 상대등의 주관으로 '네 곳의 신령한 땅'이라는 의미의 사령지(四靈地)에서 돌아가면서 개최되죠. 사령지는 청송산·오지산·피전·금강산이라 합니다. 화백회의에서는 평소 국가의 중대사를 만장일치로 의결하는 것이 원칙이었고, 왕위 계승권자가 애매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상시에는 왕위 계승권자를 선출하기도 하는 권한을 가졌습니다.

건원(建元)
신라 최초의 연호입니다. 신라는 건국 이래 연호를 사용하지 않다가, 법흥왕이 중국 양나라와 통교하면서 독립왕조에서는 연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고, 536년(법흥왕 23) 처음으로 연호를 제정하여 ‘건원’이라 부르고 그 해를 ‘건원 원년’이라 하였죠. 연호를 제정했다는 것은 그만큼 신라가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담로.
백제의 지방행정 구역입니다. 중국의 군현과 같은 것으로 백제의 건국 초기부터 설치한 제도죠. 《양서(梁書)》의 에 따르면 전국에 22담로를 두고 왕자나 왕족을 보내어 다스리게 하였다고 합니다.
따라서 담로는 지방지배의 거점으로서 성을 뜻하는 동시에 그것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통치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며, 일종의 봉건제라고 할 수 있죠. 22개라고 한 것은 웅진에 도읍하던 때의 것으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변천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골품제. 주·군제도. 진골귀족회의. 건원...

... ★★★★★★★★★★★★★★★★★★★★ 병부. 골품제. 주·군제도. 진골귀족회의. 건원. 담로. ★★★★★★★★★★★★★★★★★★★★ 이해 되도록 쉽게 풀어서...

신라에 대해서

... 율령제정에 앞서 516∼517년경에는 군사문제를 전담하는 병부가 설치되었다. 531년에는 진골귀족회의의 주재자로 상대등 제도를 채택하였다. 또한, 상대등의 설치를 전후한...

중2-2 기출문제 내공 진짜 많이줌...

... 수상 귀족회의 관등 국가기틀 마련 전성기(한강차지) 기타... 정복, -군제도. 법흥왕 율령반포, 공복제정, 병부설치, 골품제정비,‘건원‘연호사용, 불교공인, 금관가야...

중 2 사회 요점정리좀요 . 내공 100 검

... ․군 제도 실시 - 관리 파견 ② 법흥왕의 중앙 집권화 정책 율령 반포 및 17 관등과 관리의 공복 제정 병부 설치: 군사 지휘권 장악 골품 제도 정비: 진골 귀족 회의의...

신라에 대하여

... 지방 제도인 주·군 제도를 정비하고 관리를 파견했어.... 제도인 골품제를 정비하는 한편 나라의 법령인 율령을... 진골 귀족들은 화백 회의를 열어 자신들 중에서 유능한...

중2사회,국사문제 질문!!(내공15)

... 삼국의 귀족회의,정치제도 비교 6.골품제도및6두품 7.... ㅜ 골품제 : 신라의 독특한 신분 제도 1)등급 : 성골.진골.... 법흥왕 체제 정비 : 율령 반포, 공복 제정, 병부 ㅈ설치...

오늘 않에욤 내공은 많이 드리겠습니다

... 처음으로 병부가 설치되었으며, 귀족회의 의장으로서의... 즉, 505년에 신라는 지방제도로서 주군제도를 채택... 3) 골품제는 상위 성골,진골부터 1~6두품으로 구분 지어 진다. 1...

삼국시대 자세히

... ① 귀족회의:고구려의 제가 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개편:, 군 제도 실시 법흥왕 ∙중앙 제도 정비:율령 반포, 17 관등 제정, 병부 설치, 골품제 정비, 상대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