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웅진 천도에 대한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

백제의 웅진 천도에 대한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

작성일 2005.02.20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문제지를 보면 광개토 대왕이 백제를 웅진으로 천도하게 한것은 틀린 말이라 합니다. 하지만 다른 문제를 보면 '백제를 압박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장악하였다'라고 합니다. 지도를 보면 한성이 한강 바로 밑에 있는데 적을 코앞에 두고서 천도를 안 했을까는 의문이 듭니다. 한강 이북이 이더라도 쫌 떨어져서 정복했다면 말이 될것같은데‥ 교과서에는 장수왕 말기 당시의 영토만 나와있어서 광개토 대왕의 한강 이북 점령 때문에 백제가 천도를 했는지, 장수왕의 남하정책 때문에 천도를 했는지 정확한 답좀 구하려고 합니다. 잘 부탁 드립니다.


#백제의 웅진천도 #백제의 수도 웅진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륙 백제설은 단지 몇몇사람들 주장하는 불확실한것이므로 그런것은 생각지 않겠

습니다.(대륙 백제설이란 백제가 한반도만이 아닌 중국대륙에까지 영토를 두어서

엄청난 영토를 가졌던 강대국이였다고 하는 주장입니다. 국사책에는 백제가 단지

근초고왕 시기에 중국의 진출했었다고만 나옴) 광개토 대왕시기에는 한반도보다는

중국쪽에 많은 초점을 두었습니다. 사실 광개토 대왕이 백제를 친것은 예전에 백

제가 고구려를 침범하고 황해도 지방을 뺏았고 고구려왕을 죽였던데 대한 어느정

도 보복과 백제가 왜와 연합에 신라를 친데 대한 공격과 북쪽을 치기위한 남쪽의

안정등이었습니다. 그래서 백제를 공격한 광개토 대왕은 백제한테 빼앗겼던 영토

를 다 찾았습니다. 그때 백제왕이 나와서 동족이니 나라를 멸망시키는것만은 봐달

라고 하는 바람에 멸망시키지는 않았죠. 그 후 광개토 대왕은 북쪽을 쳐서 후연과

부여의 땅을 빼앗았습니다. (그때문에 후연은 국력을 너무 많이 소비해서 멸망)

그 후 광개토 대왕이 죽고 장수왕이 즉위하는데 그당시에는 북쪽의 중국세력이

강하고 더이상 북쪽으로는 영토를 넓히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게 남하정

책인데 먼저 수도를 평양으로 옮겼습니다. 그렇게 되자 신라와 백제가 나제동맹을

맺죠. 그 후 고구려는 중(불교의 스님) 한명을 보내 백제의 게로왕을 속인다음

백제를 쳐서 게로왕을 죽이고 한강쪽을 얻게되죠. 이때 신라에 구원병을 청하러

갔던 왕자는 웅진으로 가서 도읍을 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백제 웅진 천도는 장수왕에 의해서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 얘기는 일단 고구려의 고국원왕의 이야기 부터인데 백제의 전성기의 근초고왕은 고루려를 침략했는데 그때의 고구려왕이 고국원왕입니다. 광개토 대왕의 증조 할아버지 정도 생각하면 됩니다. 근초고왕의 침략에 고국원왕이 죽었습니다.. 그래서 소수림왕 ,고국양왕 등이 복수를 하기위해 노력을 했지만 내정을 수습하는것에 온힘을 쓰다보닌 그럴 시간이 없었습니다.그래서 고국양와의 아들 광개토 대왕이 안정적인 내정을 명분은 고국원왕의 복수로 백제를 공격 합니다. 그떄 백제의 왕은 진사왕입니다. 진사왕은 겁이 많아서 도망을 칩니다. 그래서 고구려는 백제의 많은 성을 빼았는데, 그때 아신이라는 놈이 왕을 죽이고 백제의 왕이 됩니다. 아신왕은 일본을 끌어드려 싸우는데 지고 항복합니다. 일단은 그렇게 넘가지요 그러나 광개토 대왕이 죽고 장수왕이 왕이 되었을때 백제는 신라와 동맹을 맺지요.그러나 그것도 불안한지 백제는 북위에 구원을 요청합니다. 그사실이 장수왕에게 알려지고 장수왕은 분노를 하여 백제의 수도를 공격합니다. 그리고 개로왕이 잡히고 수도는 정렴됩니다. 당연히 개로왕은 참형 당했습니다.. 그래서 수도를 빼았기 백제는 웅진으로 천도를 할수 밖에 없었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백제는 천황이 다스린 나라입니다. 서로는 중국의 요서에 외백제라는 나라를... 남으로는

십제라는 나라(한반도 남부)와 왜, 그리고 저 밑에 인도네시아의 흑치라는 나라까지... 여하

튼 이거 말고도 더 있는데 여하튼 그러한 나라들이 모인게 백제입니다. 이런 백제의 수도

는 감나루라고 합니다. 그리고 십제의 수도는 원래부터 어디더라? 여하튼 십제는 수도를

천도한 적이 없었습니다.

 

  근데 문제는 광개토대왕 때에 고구려가 이런 백제에 정면으로 쳐들어왔습니다. 백제는

결국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의 뛰어난 전술에 밀려 수도를 버리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나라

정부를 세우지요. 이 때문에 일본 왕이 천황으로 이어져 오는거고요. 여하튼 십제는 백제

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숙제 하다가 올립니다.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구부(丘夫), 고국원왕(故國原王)의 아들. 355년(고국원왕 25)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371년 고국원왕이 백제의 근초고왕(近肖古王)과 평양에서 싸우다가 유시(流矢)에 맞아 전사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전진(前秦)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여 전진의 제도와 문화의 수입에 노력하여, 372년 전진 왕 부견(符堅)이 보낸 승려 순도(順道)가 가져온 불상과 경문을 받아들여 최초로 불교를 수입하였으며 같은 해 태학(太學)을 설립하였고, 373년 처음으로 율령(律令)을 반포하고, 375년 초문사(肖門寺)를 창건하여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그해에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하였다. 또 전년에 고구려에 온 중 아도(阿道)를 위하여 이불란사(伊佛蘭寺)를 지어 주지(住持)로 삼았으며, 같은 해에 백제의 수곡성(水谷城)을 빼앗았다. 377년 3만 대군의 백제군 침공을 물리치고 백제의 북변(北邊)을 역습하였으나 이듬해 거란(契丹)에게 북변을 빼앗겼다.

 

 

 

이름은 담덕(談德)이며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이다. 그의 완전한 묘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이며, 생존시의 칭호는 영락대왕(永樂大王)이었다. 광개토대왕은 약칭이고, 그가 쓴 영락(永樂)이란 연호는 한국에 알려진 최초의 연호이다. 즉위 초부터 대방(帶方) 탈환전을 개시하여 백제의 북쪽을 진격하여서 석현(石峴) 등 10성을 함락하였고, 396년(광개토왕 6: 백제 아신왕) 친히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를 정벌하여 58성을 차지하였으며, 왕제(王弟)와 대신 10인을 볼모로 삼아 개선하였다.

이리하여 한강 이북과 예성강 이동의 땅을 차지하게 되었다. 400년에는 신라 내물왕의 요청으로 5만의 원군을 보내어 왜구를 격퇴시켰으며, 동예(東濊)를 통합하고(410), 신라와는 하슬라(何瑟羅)를 경계로 삼았다. 또 연(燕)나라의 모용 희(慕容熙)를 반격하여 신성(新城) ·남소(南蘇)의 2성 등 700여 리의 땅을 탈취하였고, 405∼406년 후연(後燕)의 모용 희의 침입을 2번 받았으나 요동성(遼東城)과 목저성(木底城)에서 모두 격퇴하였다. 407년 모용 희를 죽이고 자립한 고운(高雲)과는 수교를 맺기도 하였다. 410년에는 동부여(東夫餘)를 정벌하여 64성을 공파함으로써 철령(鐵嶺: 安邊) 이북의 동부여가 고구려의 판도 안에 들게 되었다. 또한 남하하여 한강선까지 진출하였으며, 서쪽으로 후연을 격파하고 요동지역을 확보함으로써 만주의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③장수왕의 업적.

장수왕의 업적 중 하나는 국내성에서 평양성으로 도읍을 옮겼다는 것이다.

여기서의 평양성은 현재 북한의 수도인 평양을 포함한 곳이다.

이로인해 장수왕은 아버지인 광개토대왕과 달리 남하정책을 추진했다.

그리고 국내성에 있던 귀족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결국 백제가 차지하고 있었던 한강 유역의 모든 땅을 얻었고

최종적으로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이룩하게 된다.

 

요점정리에요....

 

* 소수림왕 (374 ~ 384)

 

1. 불교의 공인 - 전진에서 순도가 전래

2. 태학의 설립 - 삼국시대 유일의 국립대학

3. 율령의 반포

 

--> 지방에 산재한 부족세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 중앙집권국가로의 체제를

강화하려는 것으로 4세기 고구려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체제를 개혁하여 새로운

발전의 토대를 마련.

 

 

* 광개토대왕 (391 ~ 413)

 

1. 영토확장

 

1) 백제격파 - 한강선진출(임진강까지), 중부지역은 한강상류까지 진출

2) 왜구 격퇴 - 신라, 가야에 침입한 백제의 용병인 왜구를 격퇴

3) 후연(선비족)격파 - 요하선 진출

4) 숙식(여진) 정벌 - 동북방으로 진출

5) 비려(거란) 정벌 - 서북방으로 진출

 

2. 우리나라 최초로 연호 사용 - 영락

 

 

* 장수왕 (413 ~ 491)

 

1. 평양천도 - 대내적으로 국내성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뿌리깊게 잔존하고 있던

옛 고구려 5부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것이고, 대외적으로는 백제에 대한 압력을 강화하고 한강유역으로 진출하기 위한것이다.

 

2. 백제를 침공하여 위례성 함락

 

3. 중원(충주)까지 영토를 확장

 

도움이 되었기를...

백제의 웅진 천도에 대한 광개토 대왕과...

문제지를 보면 광개토 대왕이 백제웅진으로 천도하게 한것은 틀린 말이라 합니다.... 죽였던데 대한 어느정 도 보복과 백제가 왜와 연합에 신라를 친데 대한 공격과 북쪽을...

백제 사비천도 웅진천도

... 사비천도 웅진천도 백제의 중흥을 위헤서 수도를 옮겼다는 걸 본 거ㄱ 같은데 뭔지... 것이며 수도를 옮기는 것에 대한 귀족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위한 조치이기도 했습니다.

백제의 문화재(웅진-공주)

... 예정부지에 대한 지표조사 후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해당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유물이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에 조영된 것으로 짐작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백제 위례성,사비,웅진 문화재좀요 급함

... 예정부지에 대한 지표조사 후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해당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유물이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에 조영된 것으로 짐작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오늘11시까지요~~~백제웅진...

... 예정부지에 대한 지표조사 후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해당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유물이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에 조영된 것으로 짐작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백제의문화제웅진(공주),사비(부여)...

... 제발최대한빨리답변해주시길바랍니다.백제문화제좀... 또 1232년(고종 19)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현릉은 다시... 있는 웅진 백제시대 왕들의 무덤이 모여있는 곳이다....

백제(웅진,사비,위례성)의 문화재 2...

... 예정부지에 대한 지표조사 후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 해당지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유물이 백제의 웅진천도 이전에 조영된 것으로 짐작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에 대하여

... 만든 광개토대왕과 장수왕대한 기사를 올리려고... (平壤)으로 천도하여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로 인해 백제는 수도를 웅진(공주)로 옮길 수 밖에...

백제의 수도 웅진에 대해서요!

... 백제가 도성을 웅진성에서 사비성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웅진성은 중요한 기능을... 옛 백제 땅에 대한 지배시책과 더불어 웅진도독부의 성격을 시사해 준다. 즉, 당은 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