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가 아닌 왕자는 세자에게 존칭을 썼나요?

세자가 아닌 왕자는 세자에게 존칭을 썼나요?

작성일 2005.12.30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갑자기 매우 궁금해졌습니다.

 

사극에서 그런 경우를 봣는 지 기억이 안나는데요,

 

왕의 아들, 즉 왕자가 여러명이 있으면 하나는 왕세자로 책봉되잖아요.

 

그러면 그 왕세자에게 다른 왕자, 즉 그 왕세자의 형제들이 존칭을 써야 하나요?

 

쓴다면 어떻게 부르는지... 좀 알려주세요~ 내공드릴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런 경우 보통 세자 저하라고 호칭하더군요.

왕자들이 동생들이라면 사적인 자리에서는 형님이라고 하겠지요.

해당 글은 지식스폰서가 활동 기간 (04년~08년 6월 종료)중에 작성한 글 입니다.
  • 지식스폰서가 작성한 답변은 본문 내 자기소개 및 출처란의 실명, 상호명, URL표시를 허용합니다.
  • 출처란에 표시된 정보가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음란성, 불법성, 청소년 유해사이트 등으로 변질된 경우는 허용이 되지 않습니다.
지식스폰서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세자 저하" "저하"라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아들이 여럿 있으면 그 중 하나가 왕세자가 되는 것이 아니고,

 

정식 중전에게서 낳은 첫 아들(적장자라 부릅니다)이 우선 세자가 되고,

 

중전에게서 낳은 아들이 없을 경우,

 

후궁에게서 난 첫 아들이 세자가 되는 것입니다.(서장자라 부릅니다)

 

물론 예외적인 경우가 많지만

이것이 원칙이지요.

 

그리고 세자에 책봉이 되면 누구나 존칭을 쓰지요.

다음 왕위를 이을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낳아준 어머니까지도 존대를 하므로, 하물며 형제들은 말할 것도 없겠지요.

 

그리고 위엣 분, 대군은 중전에게서 난 왕자들은 부르는 말입니다.

적자들이지요. 

후궁에게서 난 아들은 군이라 부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세자와 왕세자의 차이는 없다입니다.

세자는 왕세자의 줄임말이죠.

부마가 부마도위의 줄임말임을 아시지요?

같은 이치입니다.

왕세손과 세손의 차이도 마찬가지로 없습니다.

 

 

1. 문종, 인종, 현종, 숙종, 경종, 정조, 순조, 헌종, 순종은 왜 왕자시절 대군 명칭이 없었지요?

왕의 적장자로 태어나면 태어나면서 부터 원자의 칭호를 받습니다.

뜻풀이 그대로 왕의 가장 으뜸가는 아들이라는 뜻입니다.

태종대왕때 양녕대군을 원자로 책종한 의식을 제외하고 그 이후로는 왕의 적자는 태어나면서 부터 의식없이 원자로 불리워졌습니다.

원자는 왕세자의 바로 전단계이기 때문에 왕의 적장자로 태어나면 원자가 되고 원자가 되면 왕세자로 책봉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습니다.

숙종때 왕의 장자인 장희빈의 아들 균을 원자로 책봉하려던 사건이 사화로 불거진 것이 원자와 왕세자 관계를 증명하는 단적인 사건입니다.

왕의 적자는 대군의 작위를 받지만, 왕의 장자는 당연히 왕의 후계자로서 원자로 불리다가 3세에서 9세 사이에 왕세자로 책볼 될뿐 대군호를 따로 받진 않습니다.

위에 언급하신 왕들은 모두 왕의 적장자(또는 서장자)로서 태어나면서부터 원자로불리다가 왕세자로 바로 책봉되신 분들입니다.

 

2. 성종은 잘산대군이라고 불러야 하나요? 자을산대군이라고 불러야 하나요? 아님 자을산군이라고 불러야 하나요?

성종은 대군호를 받은 일이 없습니다.

성종은 세조의 적장자인 추존덕종대왕의 적차남입니다.

추존덕종대왕은 왕세자시절 사망하였고, 이후 성종이 등극하였을때 덕종으로 추존되었으므로, 성종은 애초에 덕종의 아들이 아니라 예종(덕종의 동생. 세종의 뒤를 이어 8대 임금에 등극)의 아들로 왕위에 오른 것입니다.

따라서 성종의 군호는 정2품 왕세자의 아들에게 주어지는 군호이지, 왕의 아들에게 주어지는 무품의 왕자군호가 아닙니다.

정답은 자을산군입니다.

 

3. 조선의 최고 폭군 연산군은 왕자시절 연산군? 아님 연산대군? 답해 주세요.

연군산 역시 성종대왕의 적장자로 원자를 거쳐 자동적으로 왕세자가 된 케이스입니다.

애초에 연산군이라고 책봉을 받지 않았던 것이지요.

연산군이 연산군으로 불리는 이유는 그가 폐위당했기 때문입니다.

폐주에게는 왕의 적자에게 붙여지는 대군이란 칭호도 너무 성스러워, 서자에게 붙여지는 군의 자구이를 주는 것입니다.

광해군의 경우는 달라서 그는 선조의 서차자로 이미 등극 전에 광해군이라는 군호를 받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가 폐위당하고 난 후 예전의 광해군 작위로 돌아간 것 뿐이지요.

그 역시 그가 왕의 적자여서 왕자시절 광해대군이라고 불렸다고 해도.

폐위당하면 광해대군이 아닌 광해군으로 불렸을 겁니다.

 

4. 그런데 고려의 추존임금을 좀 알려주시면 안되요? 고려도 좀 홈피에 넣고 싶은데.. 왕 순서대로 넣고 그 중간에 추존임금을 넣어주세요. 예를 들어..○○-만약 이곳에 추존임금...(○○)이렇게요.

집에 책이 있는데 인터넷으로는 찾기가 힘들군요.

박영규 저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참조하세요.

 

5. 세자빈과 세자 후궁의 호칭좀 알려주시고 품계도 알려주세요 그리고 왕의 비와 왕의 후궁 호칭두요,

세자

- 정궁 :  세자빈, 빈궁(무품)

- 후궁 :  귀인(종1품. 아주 드문 경우로 세자빈과 같이 간택되어 뽑혀온 후궁의 경우. 또는 공이 있는 경우)양제(종2품),양원(종3품),승휘(종4품),소훈(종5품)

- 정궁 : 중전, 곤전, 내전, 왕비, 왕후, 국모(무품)

- 후궁 : 빈(정1품),귀인(종1품),소의(정2품),숙의(종2품), 소용(정3품),숙용(종3품),소원(정4품),숙원(종4품)

 


 

아닌 왕자는 세자에게 존칭을 썼나요?

... 그러면 그 왕세자에게 다른 왕자, 즉 그 왕세자의 형제들이 존칭을 써야 하나요? 쓴다면 어떻게 부르는지... 좀 알려주세요~ 내공드릴께요~ "세자 저하" "저하"라 부르는 것이...

세자와 공주

... 했는지 '세자저하' 라고 했는지 궁금합니다. 이렇게 친남매간에 존칭을 붙여주었나요, 아니면 누님이나 오라버니 같은 말을 썼나요? 그리고 공주가 자신의 언니인 또다른...

왕의 아내는 중전, 세자의 아내는?

... 세자는 공식석상에서 '저하'라는 극존칭호를 받습니다) 왕위와 관련있는 사람만이 받았던 마마 칭호는.. 왕세자의 부인인 세자빈이나, 왕의 친 자식인 왕자, 공주들에게...

세자도 궁녀를 후궁으로 삼을 수 있나요??

... 말투를 썼나요?? 궁녀는 왕의 여자라고 해서 왕을 제외한 남자를 가까이 해서는 안됩니다. 이는 왕자라고 해도... 왕세자의 어미가 아닌 이상 너라 지칭 할 수 도 있습니다....

태자?세자?

... 간에 존칭을 썻습니다. 물론 중전은 자식이기에 하대를 하기도 했겠지만 맏아들은 보통 세자가 되니 세자가 아닌... 대군은 왕비의 몸에서 태어난 왕자에게 내려지는...

세자에 대한 존칭어를 알고 싶어요

... 왕세자존칭어 저하의 새로운 해석 우리는... 많은 왕자들이 각각의 지방제후, 즉 임금[王]이 되었을 때에... 王"이 아닌, 그와는 전혀 다른 의미의 "..王"이 많이 나온다....

세자 명칭

... 왕세자가 아닌 왕자들은 중전태생이냐 후궁태생이냐에 따라 대군과 군으로... 대군과 군은 일반 왕자로 계승권이 없어서 왕실의 극존칭인 마마를 사용할 수 없고 대감이란...

조선시대 존칭

... 세자는 공식석상에서 '저하'라는 극존칭호를 받습니다) 왕위와 관련있는 사람만이 받았던 마마 칭호는.. 왕세자의 부인인 세자빈이나, 왕의 친 자식인 왕자, 공주들에게...

왕자는 어떻게 불리나요

... 세자가 아닌 결혼한 왕자는 뭐라고 불리나요? 왕은 전하, 왕비는 중전마마,세자는... 붙는 존칭이 자가입니다 그래서 공주자가, 옹주자가라고 부릅니다 물론 후궁 중 '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