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삼국통일의 긍정적측면과 부정적 측면

신라의 삼국통일의 긍정적측면과 부정적 측면

작성일 2006.09.17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삼국통일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서술하시오.

삼국통일은 우리 역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

릴레이지식에 맡기겠습니다.


#신라의 삼국통일의 의의와 한계 #신라의 삼국통일의 의의 #신라의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 #신라의 삼국통일의 단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여기서 말하는 역사는 바로 우리민족의 역사을 말하는것입니다. 그런면에서 신라의 통일은 ... 일부에서는 통일전쟁이 아니고 생존전쟁에서 백제의 땅을 차지했을뿐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도 그럴것이 고구려의 영토을 당에 건내준것부터가 신라가 전쟁의 중심이 아니었다는걸 알수 잇습니다. 그러므로 신라의 삼국통일이라는 말을 틀린말입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이 주가 되면 됬지 신라의 통일이라는 단어는 맞는 말이 아닙니다. 고구려도 백제도 외세을 끌어들이지 않았느냐는 말을 하는데.. 고구려와 말갈은 그 당시 하나의 나라였습니다. 돌궐은 당을 견제하기위해 외교의 노력으로 움직였던거고 또 돌궐이라는 나라는 당시 우리민족의 역사에 관여한바가 없습니다. 오로지 당을 견제하기 위함이었지 ,그리고 백제와 왜는 왜의 천황가는 당시 백제인들이었습니다 백제의 말한마디면 사활을 걸고 싸울만큼 왜는 백제의 속국이나 다름없는 나라엿습니다. 신라가 민족의 문제에 고구려의 영토을 내주기로 하고 도움을 청한일과는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신라의 통일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면 통일 그 자체 말고는 찾기가 힘듭니다.

부정적인 측면을 생각하면 긍정적인 면은 희석되어버리고도 남습니다.  신라의 통일은 그야말로 최악의 통일시나리오 입니다. 우선 당이라는 외세을 민족의 역사속으로 깊이 끌여들였다는것 당은 신라요청을 반겼을겁니다. 왜? 고구려에 번번히 참패을 해온터라 후방의 신라의 도움은 천군만마을 얻는듯했겠지요 수구적인 생존에 연연해야했던 신라의 통일로써 민족의 영토가 협소해졌다는것보다도 전 우리민족이 약소국으로 전락해버린 불행한 사건이라고밖에 전 생각이 안듭니다. 신라는 통일이후 민족의 영토와 자주을 되찾기 위해 그 어떤 노력을 했습니까? 당에 머리을 조아리고 오로지 그들의 생존에만 매달렸지 이런 나약한 나라가 당이라는 외세에 덕분에 살아남은것이죠 후삼국때을 보세요 신라는 스스로 나라을 갖다 바친 나약한 나라였습니다. 이런나라가 통일이랍시고 했으니 민족이 약소국으로 전락하는것은 자명한일이죠,

신라의 삼국통일은 이어서는 안될 민족의 불행의 시작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측면의 주체가 오늘날 '우리'라는 데서
이미 정치적인 질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날의 우리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신라의 삼국통일이 우리에게 주는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라는 것이 맞다면
정치적인 질문이 틀림없을 겁니다.

역사는 당대의 당시의 사람들의 입장에서 보아야지 지금의 우리의 입장에서 보는 것은 과거의 역사가 아니라 현대정치사라고 생각됩니다. 고구려의 역사는 고구려인의 입장에 즉입하여 보아야하며 신라의 역사는 신라인의 입장에 즉입하여 보아야 역사라 할 것입니다.

역사는 지나온 발자취일 뿐입니다.긍정적인 면이나 부정적인 면이 있을 리가 없습니다. 있다면 오늘날의 우리가 어느 정파의 입장에 서느냐에 따라서 부정적으로 혹은 긍정적으로 가치평가하는 것이겠죠.

전라도에 살고있어서 혹은 북한에 살고있어서 자신을 백제계나 고구려계로 동일시하는 입장이라면 신라의 삼국통일을 부정시 할 것이고, 경상도지방에 살아서 자신을 신라계라고 생각한다면 긍정적으로 바라보겠지요.

하지만 다 틀렸습니다. 신라가 통일을 하여 삼국의 백성들은 이사라는 지리적인 이동의 전출입으로 뒤섞였고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하여 핏줄을 섞기를 오랜 세월을 거듭하여 더 이상 전라도에 산다고 백제계로 동일시할 근거가 없어졌고, 경상도에 산다고 신라계로 생각할 아무런 근거가 없어진 지가 오래 되었습니다. 도무지 백제계, 신라계, 고구려계로 구별할 수가 없는 한민족이 된 지가 오래 전 일이 되었습니다.이토록 구분할 수가 없는 '하나'가 되었기에 통일이라고 말 할 수도 있겠지요.

신라의 삼국의 통일은 우리민족의 역사입니다. 우리가 부정시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부정시하는 사관이 있다면 그것이 바로 우리를 적대시하는 주변국, 중국이나 일본의 식민사관일 뿐입니다.

우리에게서 통일신라 부정론은 식민사학의 지역주의적인 변용의 자학사관에 불과합니다. 이런 자학사관을 우리민족이 지역주의에 얽메여 고집한다면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항할 도리가 없고 일제의 역사왜곡에도 전혀 당당한 대응을 할 수가 없는 매국사관일 것입니다.

위의 분이 부정적인 면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제 나름으로 비판하자면:




1. 당나라와 손을 잡아서 통일을 하였다는것.--- 이것은 당이라는 외세를 끌여들여서 신라는 반민족이라고 비난하는 것일 겁니다. 그러나 신라가 당을 끌여들이기 이전에, 백제는 왜를 끌여들였고 고구려는 그런 백제와 연합을 하여 남으로는 왜적을 끌여들였고 북으로는 돌궐과 말갈을 끌여들였습니다. 외세를 끌여들서 신라가 반민족이라면 백제와 고구려도 둘다 외세를 끌여들인 반민족이라고 해야 합니다. 그리되면 우리민족은 모두가 반민족이 됩니다.아예 우리민족성 그 자체를 반민족이라고 자학하는 결과 외에는 얻을 것이 없게 되는 것이지요.



2.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나·당전쟁으로 인해 고구려의 대부분의 영토를 빼았겼다는것등.--- 고구려를 멸망시킨 것은 고구려 자신과 당나라였지요, 결코 신라가 아닙니다. 신라가 당과 연합을 맺기 이전에 고구려를 먼저 찾아가서 연합을 맺기를 청했으나 고구려가 내쳤습니다. 이로써 고구려는 신라를 적으로 내쳤습니다. 당시의 세계최강국이었던 당과 화친을 도모함으로써 전쟁을 피할 노력을 하지 않은 체 고구려는 대당강경책으로 당을 전쟁에 끌여들였습니다.신라가 끌여들인 것이 아닙니다. 다만 신라는 고구려가 적으로 내친 결과로 당과 함께 국가보존을 꽤했을 뿐, 그것은 오늘날의 법언으로 말하자면 정당방위랍니다.

그리고 고구려의 대부분의 영토을 빼앗긴 것은 고구려가 당에 빼앗긴 것이지 신라가 빼앗긴 적은 없습니다. 다만 고구려가 빼앗겼던 땅을 신라는 대당항전을 통해서 당나라의 땅을 일부 빼앗은 것이지요. 고구려가 망한 책임은 고구려에 있지요, 왜 신라에게 그 책임을 뒤집어씌우는지 전 그 이유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아마도 고구려와 백제가 망한 책임을 신라에 뒤집어씌우는 것, 이것이백제와 고구려의 지역주의적인 자학으로 중-일의 식민사학에 부역하는 것이며 현대의 지역주의적인 정치의 반영일 겁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긍정적 

 

1.삼국을 통일했다는것

 

2.당나라와의 전쟁중 이겼다는것

 

 

부정적

 

1.외세의 힘을 빌렸다는것(당나라)

 

2,신라가 통일을함으로써 고구려의 그 많은영토 대부분을 당나라가 가져갔다는것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올리신 질문에 대하여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신라의 삼국통일에대한 긍정적인면은??

 

1. 최초의 삼국통일 이란것.

 

2.그 당시 신라 사람들의 지혜를 볼수 있어다는것..

 

3. 당나라와의 젅쟁중 이겼다는것.

 

신라의 삼국 통일의 부정적인면은??

 

1. 당나라와 손을 잡아서 통일을 하였다는것.

 

2.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나·당전쟁으로  인해 고구려의 대부분의 영토를 빼았겼다는것등.

 

많은 도움이 되셨길 빔니다~

신라의 삼국통일의 긍정적측면과 부정적...

삼국통일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서술하시오. 삼국통일은 우리 역사에서 어떤... 그러므로 신라의 삼국통일이라는 말을 틀린말입니다. 고구려와 백제의 멸망이 주가...

신라의 삼국통일 긍정적측면 부정적측면

신라의 삼국통일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측면이 어떤것이있을까요 간략하게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긍정적인 측면 - 한민족이 하나가 되었다 부정덕인 측면 - 외세를...

신라의 삼국통일의 긍정적 측면

학교에서 신라의 삼국통일긍정적측면을 3분간 발표할 분량정도 써주세요 내용을... 또한, 긍정적 측면보다 부정적 측면이 더욱 많고 또한 강렬합니다. 그래서, 고구려가...

빅데이터의 긍정적 측면부정적 측면

빅데이터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알려주세요ㅠ 음 빅데이터의 긍정적측면이라고 하면 다양한 분야로 데이터분석이 활용되어 더 나은 비즈니스적 가치를...

영조 탕평책 긍정적, 부정적 측면

역사 수행으로 영조 탕평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평가하는건데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뭐가 있을까요ㅠ? 긍정적 측면 - 붕당을 완화시키고 왕권 강화 효과를...

이모티콘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이모티콘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각각3개씩 알려주실 수 있나요? 이모티콘 긍정적 측면 1.메신저를 이용한 상호 작용에 이득이 된다 2.블로그 등 인터넷 환경에 기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