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성골,진골은 어떻게 다른가요?(내공 25)

신라의 성골,진골은 어떻게 다른가요?(내공 25)

작성일 2003.05.10댓글 4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성골,진골은 둘다 왕족이었다던데 둘은 정확이 어떻게 다른가요?

그리고 골품제도 관등표에 보면 진골과 4,5,6두품만 나와있고 성골은 없거든요. 왜죠?

그리고 왜 무열왕 이후 성골출신 왕이 안나왔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성골과 진골, 두품제도는 신라 골품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신라가 주변 부족을 흡수하는 데서 발생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성골은 일반적으로 양 부모가 모두 왕족인 사람을 성골이라 했으며 진골은 부모 중 한쪽이 왕족인 경우 진골이라하였습니다.

통일전 신라의 왕은 모두 성골에서 나왔습니다. 그러나 선덕여왕 이후 후사를 잊지 못하게 되자 성골이 사라지고 왕으로 오른 사람이 태종무열왕 즉 김춘추였습니다. 이때 부터 성골이 아닌 진골이 왕위에 오르게 되며 성골은 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성골은 귀족이 아닌 왕족이었으므로 표기가 되질 않은 것이고 통일 후에는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태종무열왕이후 성골이 나오지 않은 것은 성골이라는 것이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통일 이후에는 1~3두품도 없어지게 됩니다. 두품을 나눈 것은 부족세력 흡수과정에서 부족의 크기와 세력범위와 관련있는 듯 합니다. 그리고 1~3두품은 일반 평민과 비슷하였기 때문에 신라중대(통일 이후)에는 골품제에서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성골은 부모가 모두 왕족인 경우입니다.

그에 비해 진골은 부모 중 한쪽은 왕족이고 한쪽은 귀족인 경우입니다.

성골은 왕족이기 때문에 관등표에 나올 필요가 없겠죠? 성골 다음에 진골과 6두품이 신분에 맞는 관직에 오르니 말입니다.

선덕여왕은 성골로서 마지막 왕이었습니다. 그 다음부터 왕족 아버지와 왕족 어머니에 난 자식이 한 명도 없는 거죠. 그래서 한쪽은 왕족이지만 한쪽은 귀족인 진골 출신이 왕위를 이어갔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골품제도는 혈통의 존비(尊卑)에 따라 정치활동에서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주어지는 제도로서 성골(聖骨)·진골 및 6~1두품(頭品)까지 모두 8개의 신분층으로 구성되었다.

진골은 성골 다음의 계급으로, 성골이 부모 모두 왕족이었던 데 비해 진골은 부계(父系)와 모계(母系) 가운데 한쪽만 왕족이고 한쪽은 귀족일 때 성립한다. 진골도 성골과 마찬가지로 왕족이었으나 처음에는 왕이 될 자격이 없었다고 하며, 진덕여왕을 끝으로 성골이 사라지자 태종무열왕(김춘추)이 즉위하면서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이처럼 같은 왕족이면서도 양자를 구별한 이유는 뚜렷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진평왕을 전후하여 진흥왕의 직계 자손들이 자신들을 방계와 구분하여 가문의 순수성과 정통성을 강조하려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한편, 진골 품계는 김씨 왕족 외에 전(前) 왕족이자 중·고시대의 왕비족으로도 추정되는 박씨족(朴氏族)이나 신라에 병합된 비교적 큰 국가의 왕족들에게도 주어졌다. 예를 들어 본가야의 왕족이나 고구려의 왕족 출신인 보덕국왕(報德國王) 안승(安勝)은 모두 김씨 성을 받고 진골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

이들은 비록 '신김씨(新金氏)'라 하여 본래의 신라 왕족과는 구별되었으나, 진골 대우를 받음으로써 김씨 왕족과 혼인할 수 있었다.

진골은 제5관등인 대아찬 이상의 최고 관등에 오를 수 있으며, 각 중앙관서의 장관직을 독점하였다. 또 국가로부터 식읍(食邑)이나 녹읍(祿邑)을 받았으며 사병(私兵)을 양성하고 사원을 경영하여 재산을 빼돌리는 등 호사스런 생활을 하였다.

이처럼 진골귀족의 세력이 점차 비대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왕권은 약해졌으며, 이후 진골귀족 간의 왕위쟁탈은 사회에 혼란을 가져와 후삼국으로 분열되는 계기가 되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신라가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병합한 피정복민을 신라의 지배체제 속에 편입시킬 때, 그 등급을 정하기 위한 하나이 기준으로서 골품제를 제정하였다.
골품제가 법으로 완성된 것은 법흥왕 때이며, 골품제는 왕족을 대상으로 하는 골제와 경주의 귀족 및 일반민을 대상으로 하는 두품제가 결합된 것으로 성골 진골의 두 골과 6두품으로부터 1두품에 이르는 여섯 두품을 포함하여 8등급으로 나누어졌다.

성골은 왕이 될 수 있는 최고의 신분이었는데, 부계와 모계가 모두 순수한 왕족(박 석 김)으로 신라의 가장 으뜸 신분층이었다. 《삼국사기》와《삼국유사》에 보면 성골은 처음 박씨 7왕, 석씨 8왕, 김씨 13왕으로 서로 혈족 결혼을 하며 순수한 성골을 지켜 왕위를 독점하였으나 진덕 여왕을 마지막으로 하여 소멸되었다.
진골 역시 왕족이었으나, 왕이 될 자격이 없었다. 그러나 성골이 소멸하자 진골인 김춘추가 태종 무열왕이 되면서부터 신라말까지 진골 출신이 왕이 되었다.
이 진골에는 신라 왕족뿐만 아니라, 가야나 고구려 왕족의 일부도 포함되었다. 6두품은 신라 6부의 후예와 신라에 정복된 작은 나라 지배층의 후손들로 구성되었다.

진골은 17위부터 1위까지의 관등에 다 오를 수 있었지만, 6두품은 6위의 아찬, 5두품은 10위의 대나마, 4두품은 12위의 대사까지밖에 오를 수 없었다. 진골 귀족이 행정 관리나 군대의 고위 관직을 독차지하였기 때문에 6두품은 승려나 유학자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같은 백성이라 하더라도 골품제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경주인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이들은 지방민에 비하여 우월한 신분을 누리고 있는 셈이었다.

골품제는 혈통이나 가문을 중시하였고 엄격하게 세습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일상 생활과 사회 생활이 규제되었다. 관직과 혼인은 물론, 의식주의 일상 생활 용어까지도 골품에 따라 정해졌다. 이러한 골품제는 진골 귀족의 특권을 보장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신라 하대에 중앙 진골 귀족의 권위가 약해지고 지방의 호족들이 성장하자 골품제는 차츰 그 힘을 잃고 붕괴해갔다.


*성골과 진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제도 안에 있던 신분의 하나였습니다.
성골이 사라진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말 그대로 성골인 귀족이 한 명도 남지 않아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왕권을 이을 남자가 없자 여왕이 나타났고 차츰 성골 핏줄이 약해지자 결국에는 멸종된게 아닐까 싶네요

성골,진골은 어떻게 다른가요?(내공 25)

국사 교과서에 보면 성골,진골은 둘다 왕족이었다던데 둘은 정확이 어떻게 다른가요?... 성골진골, 두품제도는 신라 골품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신라가 주변 부족을...

김춘추는 성골?진골?

... 되면서 성골에서 진골로 내려간 것 맞죠? 맞으면 그 시대 족보좀 자세하게.. 내공25짜리입니다.ㅠㅠ 가진게 이것밖에 김춘추는 삼한통일을 기획하고 신라 중흥을 실현한...

나라정(鄭) 신라골품제 때 진골인가요...

... (鄭) 신라골품제 때 진골인가요 6두품인가요 내공100임... 먼저 골족은 성골(聖骨)과 진골(眞骨)로 구분되었으며... 진지왕(25대)의 손자였다. 그리고 김춘추의 아버지이자...

신라의 마지막 성골

신라의 사회에서 골품제라는 것이 있다. 일반... 25대왕 진지왕은 정사를 돌보지않고 잡스러운 일을 반복하여... 내공추가 100입니다. 성골진골이 별 다른 점이 없지는 않은 것...

통일신라 김춘추

... 김춘추가 진골 왕인거라면 성골들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내공 100 1. 태종 무열왕... 게다가 김춘추는 신라25대 왕인 진지왕의 후손이었으니 큰 적임자였죠. 어머니가 26대...

★통일 후 신라의 발전!! [내공 25...

... 신라의 왕족에는 성골진골이 있었는데 처음에는 성골만이 왕이 될 수 있었지요. 그러나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성골의 대가 끊어지면서 진골도 왕이 될 수 있었죠. 이 때...

백제에는 없었던 여왕이 신라에는 있나요?

... 내공 25걸게요. 신라왕이 될 자격이 있는자는 성골이어야하며 성골을 유지하기... 떠나면 진골로 신분이 떨어졌다. 따라서 진평왕이 죽었을 때 궁궐 안에 남아있던 성골은...

신라에서 가장 유명한 왕비는 누구인가염?

... 주세염~ㅠㅠ 내공 25겁니다~ 마니 마니 부탁드려염~^_^ ◐신라(新羅)의 여왕(女王)들◑ <삼국유사>에는 '성골(成骨)... 성골(聖骨)이고 29대 태종 무열왕 이후는 진골(眞骨)이다...

통일신라와 발해에 대하여{제 질문에...

... 감사내공까지 드릴테니 제발 내일 아침까지 급해요... 또한 김춘추는 진골출신의 첫번째 왕이기도했다. 신라사회는 엄격한 골품제에 따라서 왕족인 성골귀족이 아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