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사원에 대해서

고려 사원에 대해서

작성일 2003.08.2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주 빨리 해주셧음 죠케써요~

오늘까지;; ㅠㅠ;,

음,_

질문은 ---->>>

고려 시대 불교 정책과 사원 경제의 발달을 관련지어 설명해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불교정책(숭불정책)

  (1) 원인 : 왕권강화, 민심수습

  (2) 태조 : 불교행사 장려(연등회 팔관회), 사찰건립(비보사찰), 토지지급

  (3) 광종 : 승과제도(선종시.교종시), 왕사.국사제도(승려의 정치간섭을 정치적으로 보장), 귀법사 창설(화엄종)

  (4) 성종 : 억불정책(연등회 팔관회 폐지 - 유교보급과 국가재정 부족으로)

  (5) 현종 : 불교행사 부활, 대장경 조판

  (6) 문종 : 흥왕사 건립, 별사전 지급

  ※ 국가의 보호 : 사원전, 별사전, 승과, 왕사, 국사, 면세, 면역

2) 종파 : 신라말부터 5교 9산의 대립 계속 → 불교사상의 정리와 발전

  (1) 화엄종(광종) : 왕권강화(왕실불교)

  (2) 법상종 유행 : 불교행사 중시(귀족들의 교파 - 왕실에 방해가 됨)

  (3) 천태종

     ① 의천 - 화엄종의 입장 + 선종(교선일치) → 종파통합

     ② 지관 - 교관겸수

     ③ 완전한 종파통합이 이루어지지는 못함 → 또다시 귀족불교화

  (4) 조계종

     ① 지눌 - 무신정권의 지원

     ② 세속적 불교 반대 - 예술불교와 귀족불교를 반대함

     ③ 내용 - 화엄사상 + 선사상 = 선교일치 → 인간의 심성 내면세계 중시 - 성리학과 유사(성리학 전래의 배경, 과도기적 역할)

     ④ 돈오점수, 정혜쌍수

 

불교의 발달


천 태 종

조 계 종

창시자

대각국사 의천

보조국사 지눌

내용

교종중심 + 선종(교관겸수, 교선상의)

선종중심 + 교종(돈오점수, 정혜쌍수)

지지세력

왕실, 중앙귀족(문신)

지방호족(무신)

융성시기

고려 중기

고려 후기

중심사원

국청사, 귀법사

송광사

3) 명승의 활동

  (1) 의통 : 중국 천태종 13대 교조

  (2) 제관 :『천태사교의』(천태종의 교리)

  (3) 의천 : 국청사 건립, 천태종 개창, 주전론 제기, 교장도감, 속장경 간행

                『대각국사 문집』,『석원사림』,『원종문류』,『천태사교의주』,『신편제종교장총록』

  (4) 지눌 : 송광사 - 정혜결사준, 진심진설, 종교결사(수선사)

  (5) 혜심 : 유불일체설, 대몽항쟁, 팔만대장경

  (6) 보우 : 조선불교에 영향, 임제종(보우, 한용운)

 

4) 대장경사업

  (1) (초조)대정경(부인사판) - 불력으로 거란침입 격퇴 목적

  (2) 속장경

       ⊙ 대각국사 의천이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간행

       ⊙ 초조대장경에서 빠진 것을 송, 요, 왜 등에서 수집

       ⊙ 주로 불교연구서인 논, 소, 초(선종계 불경은 없음)

       ⊙ 판목이 대장경과 같이 부인사에 보관 중 몽고 3차 침입 때 소실

       ⊙ 목록서인 [신편제종교장총록]은 현존

 

5) 후기의 불교

  (1) 고종 때 각훈이 해동고승전에서 교종의 입장에서 불교사를 정리

  (2) 조계종 성립

  (3) 불교의 폐해

     ① 원의 라마교의 영향으로 정신적 타락

     ② 국가재정 궁핍 - 사원전, 별사전 면세

     ③ 군역기피의 소굴 - 면역

     ④ 고리대 성행

  (4) 불교타락의 반성

     ① 내부 - 지공법사(인도 선종전래), 보우(중국에서 임제종 수입)

     ② 외부 - 배불론의 대두(성리학자)

 

6) 영향

  (1) 긍정적 : 호국사상(대장경, 승병), 계몽적 역할, 예술 발달

  (2) 부정적 : 도덕의 타락, 사원경제 발달

 

============================================================================

 

고려에서 사원이 갖는 역할은 어떤 것들인가?

 

불교의 번성과 더불어 고려 때의 사원은..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를 가리켜 사원 경제라고 부르며 그 중심이 된 것은 토지와 노비였다.

사원은 이들 토지로부터 들어오는 미곡을 상업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직물류, 기와, 면화 등을 생산하여 판매하였고..

심지어 양조업에도 손을 대고 고리대를 자행하여 비판을 받았다.

사원은 이러한 경제적 부를 지켜가기 위해 무력이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사원에는 불도만을 닦는 승려와는 달리..

수원 승도라는 비승 비속적간적 존재 등이 있어 사원전을 경작할 뿐만아니라..

승군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수도 개경 및 전국에 수 많은 사원이 건립되었으며..

사원은 각 분야에서 큰 비중물 차지하였다.

먼저 사원은 왕실·귀족층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하여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태조는 불교를 통하여 민심을 수습하고 많은 사원을 건립하여..

왕실의 지지 세력을 확보하려 하였고, 광종은 불교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하여..

호족 세력에 반발하는 일반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사원은 원래 많은 승려들이 모여 불도를 닦는 곳이지만..

사원의 규모가 커지고 불교 행사가 빈번해지자..

각종 물품의 생산과 소비 활동이 활발해져 국가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비중이 커지게 되었고..

또한 불경 간행 및 불교 예술의 발달 등으로 문화의 중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원 간섭기에 미신적인 면이 많은 라마 불교가 들어오면서..

불교 행사, 사원과 탑의 건립 등으로 재정의 낭비가 커지게 되고..

승려들의 토지 겸병과 고리 대금업, 상업 행위, 사원이 군역 도피의 소굴이 되는 등..

그 부패가 커짐에 따라 신진 사대부들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고려의 사원 경제
불교의 번성과 더불어 고려의 사원 경제도 무척 비대해져서 많은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였다.
토지는 본래 가지고 있던 사유지와 국가에서 분급해준 수조지에 왕실과 귀족, 백성들이 시납함으로써 사원전은 크게 확대되어 갔다. 더우기 이러한 토지는 면세의 특혜를 누리고 있었으니 사원 경제의 폐단을 일단 짐작해 볼 수 있다.
사원은 상업에도 종사하여 직물, 기와, 면화 등을 생산, 판매하였고, 심지어 양조업에 손을 대고 고리대를 자행하기도 하였다.
한편, 사원은 이러한 경제적 부를 지키기 위해 무력이 필요하였는데, 전적으로 불도만을 닦는 승려 외에 사원전의 경작을 담당하고, 승군의 역할을 담당하는 인원이 상당수 존재하였다.

고려 사원에 대해서

... 발달 ============================================================================ 고려에서 사원이 갖는 역할은 어떤 것들인가? 불교의 번성과 더불어 고려 때의 사원은.. 경제적인 면에서...

고려시대 토지 제도에 대해서...!!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대해서 정리 좀 해주세요ㅠ 머릿속에 잘 정리가 안되요!! 참고로... 지급되었던 토지였다 사원전:사원에 지급된 토지로 면세.면역의 특권을 누릴수 있었다

고려대해서...

흠...제가 학교에서 고려대해서 배웠는데요... 선생님이 숙제를내주시진않았지만... 국가의 대업은 부처의 호위를 받아야 하므로 사원 경영에 문란함이 없도록 하라. 2....

고려대해서

... 뭐냐면 고려의 문화에 대해서 정리 팔만대장경에대하서 정리 직지심체요절에 대해... 그러므로 선·교의 사원을 세워 주지를 보내어 수호하게 하고 각기 그 업을 닦게 하라....

고려대해서

고려대해서 1.고려의인물 2.고려의문화재 3.고려의정치 4.고려의문화 5.고려의사회... 국가의 대업은 부처의 호위를 받아야 하므로 사원 경영에 문란함이 없도록 하라. 2....

고려의 토지제도의 역사에 대해서 국사...

... 이번 수행평가가 고려의 토지제도의 역사에 대해 A⁴... 그리고 한 부분에 대해서만 정리하지 말고 이부분 저부분... 지급 ○사원전 : 사원에 지급 ○외역전 : 지방의 향리에게...

고려대해서

고려대해서 정확한 답변 부탁합니다. 1 신라말기의 호족세력 2 고려의 토지제도... (宮院田)·사원전(寺院田)·둔전(屯田)·투화전(投化田) 등이 있었다. 3 고려의 기본군제는...

국사 고려시대의 전시과에 대해서...

... 한인전,외역전,군인전,사원전,공해전 등등은 1/10의... 이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좀 해주세요. 소유권과 수조권이... // <<고려사>> 78권, 지 32, 식화 1, 전제. 님이 열거하신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