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후 조선 조정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 내공 30드림

임진왜란후 조선 조정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 내공 30드림

작성일 2008.06.0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임진왜란후 조선 조정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

 

빨리좀 알려주세요 ㅠㅠ ㅠ 저 낼 수행 내야는데 제발요 ...

 

내공 30드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최대한 간략하게 적겠습니다 ㅎㅎ;;

 

 임란이 발생하자 조선 정부는 바로 북쪽으로 도망갑니다;; 이를 몽진이라고 하는데, 요컨데 사직(국왕)을 보전하기 위해 도망가는 것을 좋게 말한 것이죠. 여하튼 북쪽으로 도망간 선조는 당시 중국의 통일 왕조였던 명나라는 이를 돕기 위해 10여만에 이르는 명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합니다.

 결국 7여년에 걸친 왜란은 끝나고 조선은 다시 국토를 회복하게 됩니다.

 

 조선 정부는 왜란 이후 일본과는 국교를 단절하고 중국 명나라에 臣從, 즉 신하로써 복종할 것을 맹세합니다. 이를 國家再造之恩, 즉 국가를 다시 만들어준 은혜라고 불렀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왜란을 도운 명나라는 너무 많은 국력을 소모하게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북동쪽에서 만주족(당시에는 아직 여진족이라고 합니다만...)이 명나라가 왜란에 신경을 쓰는 사이에 국력을 크게 키워서 독립을 쟁취하게 됩니다. 또한 왜란 당시 일본군 패잔병과 중국 해안의 일부 해적들이 힘을 합쳐 중국 남동 해안을 노략질 하는 등 중국의 국력은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이러한 가운데 명나라는 국내에서는 농민군의 반란, 국외에서는 만주족과 왜구, 그리고 북서쪽의 몽골족의 반란 등을 겪으면서 결국 1644년 멸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만주족은 명이 멸망한 혼란기를 틈타 중국 본토를 얻어 거대한 제국(청나라)을 건국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당시 조선 정부는 명나라가 왜란 당시 조선을 도운 것을 잊지 못하고 맹목적인 지지를 보내었으며, 청나라가 중국 본토를 점령하고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에도 이러한 외교 정책을 계속해서 유지합니다.

 다만 광해군, 즉 왜란 직후에는 국가가 어려운 상태라는 변명을 내세워 명나라와 만주족(당시 후금, 이후 청나라로 이름 바꿈) 사이에서 중립외교, 즉 중간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명은 조선에 대해서 섭섭함을 느끼게 되었으나 아무래도 아직 국가의 기틀이 잡히지 않은 만주족은 조선에 호의적인 감정을 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광해군이 국내 정치에 있어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 여기에 대해서도 매우 복잡한 내부 사정이 있으니 이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다면 다시 한번 문의주세요^^;; - 결국 인조반정을 쫒겨나게 됩니다.

 인조는 광해군의 모든 것을 부정하고 왕위에 오른 만큼 결국 광해군의 중립 외교를 폐기하고 명나라를 적극 지지하게 됩니다. 이는 당시 권력을 독점하고 싶었던 인조반정을 주도한 서인들의 뜻이기도 했습니다. 뭐 결국은 명나라가 멸망하고 일부 명 부흥 세력이 그야말로 깔짝(?)거리는 상황 정도에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속됩니다.

 만주족은 중국 본토로 진출하기 직전, 조선이 자신들의 등뒤를 노릴수도 있다는 걱정을 가지고 결국 2차례의 호란, 즉 조선 침공을 감행합니다. 그리고 결국 삼전도의 굴욕으로 나타나는 캐굴욕을 겪게 되죠 ㅎㅎ;;

 

 요약하자면, 왜란 이후 조선 조정의 외교 정책은 '오직 명나라!!!'의 사대외교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는 당시 국제정세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고 싶지 않아하는 서인들의 잘못된 정세 인식의 결과였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리고화이팅!!!!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왜란후에는 국제적 정세가 변동을 합니다

 

일단 전쟁의 일으킨 당사자인 왜는 나라의 변동이 생기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나서 전국의 혼란이 있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혼란을 잠재우고 전국을 통일하면서

 

에도막부 시대를 엽니다. 그이후에는 일본으로 개칭을하면서

 

다소 안정적이게 나라가 돌아가죠

 

중국쪽에서는 큰변화가 생기죠

 

명나라가 왜란, 민란등으로 인해 나라가 도탄해 빠지고

 

그사이를 틈타 누루하치가 부족들을 통합하여 후금을 건설합니다

 

그이후 홍타이지가 즉위하고 후금에서 청으로 나라이름을 바꾸고

 

만주국가 시대에 도래하죠

 

동아시가아 이렇게 급격하게 변한 만큼 조선의 외교 정책도

 

변햇겟죠

 

우선 선조가 전후에 복구사업을 합니다. 나라는 피폐해지고 인구는 확줄어들게 되어

 

조세도 안들어서 나라가 불안하고 공명첩을 무분별한 발행으로 양반도 증가하여

 

신분제의 동요까지 일게 됩니다. 이런혼란속에서 조선은 대외정책을 약간 강경하기 보다는

 

눈치를살피며 안정적이게 할 필요가 있엇고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아버지인 선조의 뜻을 이어받아 전후에 도탄에 빠진나를 잘 수습하기를 원하였습니다.

 

광해군의 가장 골칫거리는 먼저 그동안 수교를 하엿던 명나라가 망해가고 새로이 만들어진

 

청나라는 무서운 존재였겟죠.  나라 사정이 사정인 만큼 광해군은  명나라와의 그동안의 의리와

 

청나라에대한 무시할수없는 관계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중립적인 외교를 펼칩니다.

 

이점은 역사상에서도 인정해줄만한 업적입니다.

 

중립외교로 대표적인게 먼저 명나라가 청나라와의 전쟁에서 군대를 요청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섭불리 파견을 못해주는게 명나라를 도와주자니 청나라에 미움을 사게 되고

 

명나라를 배반하자니 임진왜란때 파병해준것도 잇고 의리를 지켜야하고

 

고민을하다가 강홍립에게 밀명을하죠 상황을 적당히봐서 청나라에 승기가 기울면 투항을하라고 그럽니다

 

강홍립은 이 작전을 훌륭하게 수행해 내고 청나라황제에게 조선의 사정을 말하니

 

청나라 황제도 현명한자라 이해를 해주게 됩니다

 

그렇게 나라를 안정시키고 백성들을 안정시킬수 잇게

 

지방의 공물을 바쳐야하는 제도를 수정하여 쌀 무명 돈으로 내게 하는 대동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부담을 덜고 집을 지어주고 구휼미를 제공하는등등의

 

나라의 안정을 기하게 되는 정책을 펼치다가......

 

우리나라 일대의 악인집단인 서인이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몰아냅니다..

 

여기서 조선의 역사는 뒷켠으로 기운다고 보셔야 됩니다

 

조선은 국가 이념이 유교였습니다. 서인을 이것을 이용해서

 

광해군을 몰아낼 명분을 세우죠  명나라의 의를 저버리고 청나라 편을 든것에대해 말이죠

 

하지만 서인들은 자기들이 집권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광해군은 북인과 함께 나라 정책을

 

펼쳣습니다.

 

서인이 집권하고 나서 다 쓰러져가는 명나라를 편들고 청나라에는 적대시합니다

 

청나라는 이에  1627년  1636년  정묘호란  병자호란으로 처들어와

 

남한산성에서 청황제에게  이마에 피가 나게 절을 합니다  원래는 3번하는데

 

청황제는 이마가 맞닿지 않았다는 핑계로 9번을 하게 합니다.

 

조선은 전란의 상처가 다아물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시 전란의 피해를 입게되죠.

 

이때부터 청나라에 눌려서 조선은 찍소리도 못하게 됩니다.

 

서인이 집권을하면서  나라는 망칠때로 망치고 백성들을 수탈하는 등등

 

나라를 망치게되죠.............

 

그이후 일본과의 수교는 인조때 재기 됩니다.

 

에도막부에서는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조선에게 수교를 요청하고  조선은 받아들입니다.

 

에도막부에서는 막부가 새로즉위할때 나라에 위엄을 떨치기위에

 

그당시에 조선은 일본보다 위였기때문에 조선의 통신사가 왓다가면

 

위엄을 떨칠수 잇게되며 막부의 위신이 더욱더 서게 되어서

 

초청을 했엇죠.

 

 

아 말이 좀 길어졌습니다 여러 저러한 상황을 말하려하다보니 길어졋군요

 

음 필요한 내용만 골라서 추스리시길 바랍니다.

 

조정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 내공 30드림

임진왜란후 조선 조정의 외교 정책에 대해서 빨리좀 알려주세요 ㅠㅠ ㅠ 저 낼 수행 내야는데 제발요 ... 내공 30드림 왜란후에는 국제적 정세가 변동을 합니다 일단 전쟁의...

임진왜란후 조선의 대처방법및 정책

임진왜란후 조선의 대처방법및 정책에 대해서좀....... 인조와 조정 대신들은 이미 강화도로 피했고 배후를... 섬기는 외교 질서가 수립되었다. 압록강 북쪽에 흩어져 살던...

조선정책 (내공 드림)

조선정책 좀요ㅠㅜ... 내공얌얌 신고 들어가구요... 등 조선의 체제 정비등을 들수 있겠구요. 외교정책으로... 중기에는 우리 역사상 가장큰 대란인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이...

조선 임진왜란대해서 조사해주세요.

조선임진왜란에 관한 사진하고 글을 올려주시기 바래요.내공은 70드래그 임진왜란:1597년 제2차 침략전쟁을 따로... 출발한 조정은 적군의 수도 공격에 대비하여 우의정...

조선시대 정책대해서 ..

... 내공 10걸어요... 제발 해주세요... 제 소원 입니다... 팁은 올려 드릴께요/// 조선 시대의 정책에 대해서 몇개... 임진왜란 1. 임진왜란 (1) 임진왜란이 일어나게 된 배경 ①...

임진왜란대해서(내공드림)

... 부탁부탁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선조 25)~98년에 2차례에 걸쳐... 일본의 조선 침입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서로 엇갈리게 보고함에 따라 조정의 견해도 양분되었고, 이에...

조선건국후 달라진 정책 및 백성들의...

6학년 사회숙제를하고있는데요 조선건국후 달라진 정책및... 좋구염^_^ 내공 30겁니다^^ 2.조선의 건국 고려 말에 왜구... 취하는 외교 활동을 폈다. 일본과 여진에 대해서는...

쇄국정책에서 의문점에 대해서...내공30

... 그시대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공부하시는분이라면... 그의 두번째 정책은 바로 왕권강화. 그 방법은 임진왜란때... 정확히 얘기해 (명성황후가 아닌) 고종은 조선외교정책을...

임진왜란 발생 당시의 동아시아 정세...

... (가토군)에 대해서 동시에 공격하는 태세를 갖추었다....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자, 광해군은 이를 거부하고 중립외교를 선포하였다. 당시 조정의 세력가들은 임진왜란 때...

장군과 임진왜란대해서(내공 55드림)

... 임진왜란대해서 임진왜란의 결과 일단 각 나라별로 살펴보죠. 조선-피해가 가장 컸고, 인구및 토지가 1/3로... 그 이순신은 5월 2일에야 조정의 출전 명령을 전달받았다....